목차
Ⅰ. 서론
1. 선정 동기
2. 삼성 인재상
Ⅱ. 본론
1. 인사조직 개요
2. 사내 교육
1) 리더쉽 교육
-삼성 리더쉽 개발 센터(SLDC)
-리더십, 개발 C/T 체제
-리더십 교육 체계도
2) 마케팅 교육
-삼성 글로벌 마케팅 연구소(SIGM)
-마케팅 교육 체계도
6. 기술 교육
-첨단기술 연구소
-기술 교육 체계도
7. 현장 교육
-현장 교육 체계도
8. 신입사원 교육
Ⅲ.INTERVIEW with SAMSUNG ELECTRONICS Human resources team's employee
Ⅳ 결론
1. 선정 동기
2. 삼성 인재상
Ⅱ. 본론
1. 인사조직 개요
2. 사내 교육
1) 리더쉽 교육
-삼성 리더쉽 개발 센터(SLDC)
-리더십, 개발 C/T 체제
-리더십 교육 체계도
2) 마케팅 교육
-삼성 글로벌 마케팅 연구소(SIGM)
-마케팅 교육 체계도
6. 기술 교육
-첨단기술 연구소
-기술 교육 체계도
7. 현장 교육
-현장 교육 체계도
8. 신입사원 교육
Ⅲ.INTERVIEW with SAMSUNG ELECTRONICS Human resources team's employee
Ⅳ 결론
본문내용
Course
해외현지인 Marketing 역량 강화 Course
Global Export Course(CMO)
마케팅 직무전화 과정
CRM
6. 기술 교육
-첨단기술 연구소
7천2백평 규모의 이 곳은 신입사원부터 사장에 이르기까지 최신 기술동향을 재교육하는 기관이다. R&D 기술만을 별도로 교육시키기 위해 연수기관을 운영하는 기업은 국내에서 삼성전자가 유일하다. 90년 이건희 회장의 제2창업 선언과 함께 설립된 첨기연은 회사의 장기 전략에맞춰 교육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다.
1990년 이후로 사내 연구개발 관련 인력의 기술교육을 전담하여 오고 있으며, 급변하는 기술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교육체계를 혁신하여 기술 전략에 근거한 현장 중심, 과제수행 중심, 학습자 중심의 기술교육을 통해 핵심기술 개발역량 강화 및 실무응용력을 갖춘 기술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있다.
3S(S/W, System, Service) 중심의 기술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DSP, 통신, 광학등 첨단기술 분야에는 해외 선진 대학과의 산학연계도 추진하고 있으며 기술교육 관련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을 개발, 운영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기술교육 Knowhow를 CD-ROM, Web과정 등으로 개발하여 대외 판매 중에 있다.
\"1+1,2+2\"라고 불리는 산학프로그램도 실행하고 있는데 이것은 국내 톱 클래스 대학과 공동 석박사 과정을 운영하는 단계까지 이르뤘다. 연세대(디지털) 고려대(통신) 성균관대(반도체) 한양대(소프트웨어) 경북대(전자공학) 등과 공동으로 운영하는 이 과정은 1년간 대학원에서 공부한 뒤 나머지1년간을 해당업무에 종사할 경우 석사학위를 주는 프로그램이다. 각 커리큘럼은 대학과 삼성전자 공동의 지적재산권으로 등록돼 있다.
-기술 교육 체계도
S/W
System S/W
Device Drivber, pSOS, PJAVA, RTOS,WinCE, RISC Proc 등
Application S/W
Network PGM, Graphics, Embeded DB, 인터넷 보안 등
S/W 개발방법론
객체지향 설계, S/W 공학, S/W Test & QA,알고리즘 구현, CORBA 등
System
회로설계
VHDL Cording Guideline, Test Synth, Low Power IC 등
ASIP
DS/SS MODEM, Micro Mouse System, Mixed Signal 설계 등
DSP
영상신호압축, 영상/오디오 신호처리, 음성인식, LBC기술 등
Service
통신/Network
초고속 정보통신망, IMT_200, Internet protocol, WAP 등
Internet Biz
E-C구축, Html해석기, Embeded Web Browser, Web Master 등
광학/재료소자
광학계설계, 비구면Lens, 광신호처리, 회전광학, LCD 등
요소기술
기계설계
메카트로닉스, Tribology, MEMS, 소음제어, 회전체진동 등
CAD/CAM/CAE
3D Modeling, 3차원기구, 유한요소법, 사출성형해석 등
개발품질
전장품 구매/부품 검사, TRIZ 실무, 다구찌실험계획 등
7. 현장 교육
삼성전자 근무 현장에서 각 사업별 특화 기술, 생산기술 및 사원의 자기개발을 위한 각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있다.
사업별 교육 조직은 디지탈 미디어 중심의 수원사업장, 반도체 중심의 CDI (기흥소재)와 정보통신 중심의 구미 사업장에 교육 부서가 있으며 각 교육부서는 현장 학습 조직을 활성화 하기 위해 WEB 기반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현장 교육 체계도
계층교육
승격자 교육- 신입사원 교육
기술교육
제품별 특화교육
- 기반기초 기술
- 생산/제조 기술
품질교육
외국어교육
정보화교육
현장교육
OJT/SDP- 팀학습/세미나
8. 신입사원 교육
새롭게 채용된 신입 인력을 최대한 빠른 시간에 회사에 적응, 구현능력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해 실무 중심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신입인력은 그룹 입사 후 1년에 걸쳐 체계적인 교육을 받게 되며, 교육성과 극대화를 위해 형성 평가 단계를 강화하고, 교육생 관찰표 등을 이용하여 각 교육생의 특성을 파악하고 부서 배치시 기준 자료로 활용토록 하고 있다. 이러한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한 4백 페이지 분량의 전자입문 과정 교재 제목은 \"Solution for MDC(마켓 드리븐 컴퍼니. 시장지향기업을 위한 해결책)\". MDC는 삼성전자의 기업목표이다.
Ⅲ.INTERVIEW
with SAMSUNG ELECTRONICS Human resources team\'s employee
<인재양성의 전체 조직과 구성에 관련된 질문>
1.부서간 협력체계-.삼성 전자는 핵심인력의 육성을 위해서 회사의 인사부서, 교육부서 및 현업부서가 삼위일체 되어 인력의 육성 체계를 수립,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인사부서와 ,교육부서, 현업부서의 협조 체계가 어떻게 구축되어 있는지요?
-교육부서는 원칙적으로 모두 인사부서 소속입니다.
인재육성을 위한 각종 교육과정은 직무별, 계층별 교육(임원금/간부급/사원급 등), 필요시 더욱 세분화 가능)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2.조직의 목표달성-경력개발은 직원개인의 경력개발을 통한 조직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도록 이루어져야한다고 배웠습니다. 인사부나 교육부서가 시대 흐름에 따라 조직의 전략적 목표와 이에 필요로 하는 역량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습니까?
-교육이나 인사부서는 조직의 전략적 목표달성을 위한 해당분야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면서 타 부문과의 협력과 협조를 통해 목표를 달성하는 조직입니다. 전략적 목표달성을 위한 필요역량은 정기적인 조사/분석을 통해 Bottom Up으로 파악하기도 하고, 최고 경영진으로부터 Top Down으로 受命을 받아 설정하기도 합니다.
3. 삼성전자의 교육조직-교육조직은 크게 기능별 교육조직과 사업부서별 교육조직으로 양분되어 있는데, 이 두 교육조직의 기능 연계성 및 업무 협조가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각 조직의 주요 기능과 연계성을 알고 싶습니다.
-기능별 교육조직은 리더쉽센터, 점단기술연구소, 글로벌마케팅 연구소 등이 있으며, 조직
해외현지인 Marketing 역량 강화 Course
Global Export Course(CMO)
마케팅 직무전화 과정
CRM
6. 기술 교육
-첨단기술 연구소
7천2백평 규모의 이 곳은 신입사원부터 사장에 이르기까지 최신 기술동향을 재교육하는 기관이다. R&D 기술만을 별도로 교육시키기 위해 연수기관을 운영하는 기업은 국내에서 삼성전자가 유일하다. 90년 이건희 회장의 제2창업 선언과 함께 설립된 첨기연은 회사의 장기 전략에맞춰 교육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다.
1990년 이후로 사내 연구개발 관련 인력의 기술교육을 전담하여 오고 있으며, 급변하는 기술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교육체계를 혁신하여 기술 전략에 근거한 현장 중심, 과제수행 중심, 학습자 중심의 기술교육을 통해 핵심기술 개발역량 강화 및 실무응용력을 갖춘 기술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있다.
3S(S/W, System, Service) 중심의 기술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DSP, 통신, 광학등 첨단기술 분야에는 해외 선진 대학과의 산학연계도 추진하고 있으며 기술교육 관련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을 개발, 운영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기술교육 Knowhow를 CD-ROM, Web과정 등으로 개발하여 대외 판매 중에 있다.
\"1+1,2+2\"라고 불리는 산학프로그램도 실행하고 있는데 이것은 국내 톱 클래스 대학과 공동 석박사 과정을 운영하는 단계까지 이르뤘다. 연세대(디지털) 고려대(통신) 성균관대(반도체) 한양대(소프트웨어) 경북대(전자공학) 등과 공동으로 운영하는 이 과정은 1년간 대학원에서 공부한 뒤 나머지1년간을 해당업무에 종사할 경우 석사학위를 주는 프로그램이다. 각 커리큘럼은 대학과 삼성전자 공동의 지적재산권으로 등록돼 있다.
-기술 교육 체계도
S/W
System S/W
Device Drivber, pSOS, PJAVA, RTOS,WinCE, RISC Proc 등
Application S/W
Network PGM, Graphics, Embeded DB, 인터넷 보안 등
S/W 개발방법론
객체지향 설계, S/W 공학, S/W Test & QA,알고리즘 구현, CORBA 등
System
회로설계
VHDL Cording Guideline, Test Synth, Low Power IC 등
ASIP
DS/SS MODEM, Micro Mouse System, Mixed Signal 설계 등
DSP
영상신호압축, 영상/오디오 신호처리, 음성인식, LBC기술 등
Service
통신/Network
초고속 정보통신망, IMT_200, Internet protocol, WAP 등
Internet Biz
E-C구축, Html해석기, Embeded Web Browser, Web Master 등
광학/재료소자
광학계설계, 비구면Lens, 광신호처리, 회전광학, LCD 등
요소기술
기계설계
메카트로닉스, Tribology, MEMS, 소음제어, 회전체진동 등
CAD/CAM/CAE
3D Modeling, 3차원기구, 유한요소법, 사출성형해석 등
개발품질
전장품 구매/부품 검사, TRIZ 실무, 다구찌실험계획 등
7. 현장 교육
삼성전자 근무 현장에서 각 사업별 특화 기술, 생산기술 및 사원의 자기개발을 위한 각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있다.
사업별 교육 조직은 디지탈 미디어 중심의 수원사업장, 반도체 중심의 CDI (기흥소재)와 정보통신 중심의 구미 사업장에 교육 부서가 있으며 각 교육부서는 현장 학습 조직을 활성화 하기 위해 WEB 기반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현장 교육 체계도
계층교육
승격자 교육- 신입사원 교육
기술교육
제품별 특화교육
- 기반기초 기술
- 생산/제조 기술
품질교육
외국어교육
정보화교육
현장교육
OJT/SDP- 팀학습/세미나
8. 신입사원 교육
새롭게 채용된 신입 인력을 최대한 빠른 시간에 회사에 적응, 구현능력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해 실무 중심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신입인력은 그룹 입사 후 1년에 걸쳐 체계적인 교육을 받게 되며, 교육성과 극대화를 위해 형성 평가 단계를 강화하고, 교육생 관찰표 등을 이용하여 각 교육생의 특성을 파악하고 부서 배치시 기준 자료로 활용토록 하고 있다. 이러한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한 4백 페이지 분량의 전자입문 과정 교재 제목은 \"Solution for MDC(마켓 드리븐 컴퍼니. 시장지향기업을 위한 해결책)\". MDC는 삼성전자의 기업목표이다.
Ⅲ.INTERVIEW
with SAMSUNG ELECTRONICS Human resources team\'s employee
<인재양성의 전체 조직과 구성에 관련된 질문>
1.부서간 협력체계-.삼성 전자는 핵심인력의 육성을 위해서 회사의 인사부서, 교육부서 및 현업부서가 삼위일체 되어 인력의 육성 체계를 수립,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인사부서와 ,교육부서, 현업부서의 협조 체계가 어떻게 구축되어 있는지요?
-교육부서는 원칙적으로 모두 인사부서 소속입니다.
인재육성을 위한 각종 교육과정은 직무별, 계층별 교육(임원금/간부급/사원급 등), 필요시 더욱 세분화 가능)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2.조직의 목표달성-경력개발은 직원개인의 경력개발을 통한 조직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도록 이루어져야한다고 배웠습니다. 인사부나 교육부서가 시대 흐름에 따라 조직의 전략적 목표와 이에 필요로 하는 역량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습니까?
-교육이나 인사부서는 조직의 전략적 목표달성을 위한 해당분야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면서 타 부문과의 협력과 협조를 통해 목표를 달성하는 조직입니다. 전략적 목표달성을 위한 필요역량은 정기적인 조사/분석을 통해 Bottom Up으로 파악하기도 하고, 최고 경영진으로부터 Top Down으로 受命을 받아 설정하기도 합니다.
3. 삼성전자의 교육조직-교육조직은 크게 기능별 교육조직과 사업부서별 교육조직으로 양분되어 있는데, 이 두 교육조직의 기능 연계성 및 업무 협조가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각 조직의 주요 기능과 연계성을 알고 싶습니다.
-기능별 교육조직은 리더쉽센터, 점단기술연구소, 글로벌마케팅 연구소 등이 있으며, 조직
키워드
추천자료
교사양성제도(교원양성제도)의 분류, 교사양성제도(교원양성제도)의 시행기관, 교사양성제도(...
교사양성제도(교원양성제도)의 유형, 교사양성제도(교원양성제도)의 체제, 교사양성제도(교원...
교원양성제도(교사양성제도)의 체제, 교원양성제도(교사양성제도)의 기관현황, 교원양성제도(...
교원양성제도(교사양성제도)의 유형, 교원양성제도(교사양성제도)의 변천, 교원양성제도(교사...
교사양성제도(교원양성제도)의 체제, 교사양성제도(교원양성제도)의 비합리성, 교사양성제도(...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교원,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교육, 양성평등(남녀평등)과 성교육, 양성...
양성평등교육(남녀평등교육)의 개념, 양성평등교육(남녀평등교육)의 목표, 양성평등교육(남녀...
양성평등교육(남녀평등교육) 의미, 양성평등교육(남녀평등교육) 배경, 양성평등교육(남녀평등...
양성평등문화(남녀평등문화)의 개요, 양성평등문화(남녀평등문화)와 학교문화, 양성평등문화(...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가족,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가족정책,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경제, 양...
양성평등의식(남녀평등의식)의 개념, 양성평등의식(남녀평등의식)과 양성평등, 성희롱, 양성...
양성평등(남녀평등)과 여성교육, 양성평등(남녀평등) 여성운동, 양성평등(남녀평등) 여성인적...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교육,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교원, 양성평등(남녀평등)과 성교육, 양성...
양성평등(남녀평등)과 사회,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교육, 양성평등(남녀평등)과 성차별, 양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