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 노년기의 소득, 지출, 은퇴, 퇴직, 정년퇴직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책 및 노인복지 방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복지) 노년기의 소득, 지출, 은퇴, 퇴직, 정년퇴직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책 및 노인복지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노년기 소득과 지출
2. 은퇴
1)은퇴 개념
2) 은퇴 사유
3)은퇴노인가계의 경제구조
4)은퇴준비(은퇴자금마련)
3. 퇴직
1)퇴직의 의미
2) 정년퇴직제도의 현상
3)우리나라 정년퇴직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책

Ⅲ. 결론

◎부록

본문내용

(권중돈 2006)
노년기의 수입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최대로 소득을 올릴 수 있는 현역기에서 벗어나 반 취로기에 접어들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에는 퇴직 등 고용형태 변화로 인하여 소득이 격감 되고 재취업기회의 상실로 인한 무소득 상태로 전락하게 된다. 이에 더 나아가 취로불능기 즉, 65세 이상이 되면 자녀에게 경제적으로 의존을 하고 의료비의 지출이 크게 늘어나게 된다.
노년기 소득의 유형은 크게 공적소득원과 사적소득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적소득원은 공적연금 및 공적부조 등 공적 이전소득으로 구성되며, 사적 소득원은 다시 근로를 통한 근로소득과 저축, 임대, 이자소득, 사적연금 등에 의한 자산소득, 그리고 자녀 등으로부터의 사적 이전소득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권중돈 2006)
<노년기의 소득원 유형 분류>
소득원 유형
소득원
세부소득원
근로,사업소득
노동
임금소득,사업소득,부업소득
자산소득
시장
부동산임대소득,금융이자소득,저축,개인저축,퇴직금 등
사적이전소득
가족
자녀,친척 등 비공식적 지지망으로부터의이전소득 등
공적 이전소득
국가
공적연금, 경로연금, 교통수당,생계급여등
2004년도 전국노인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 욕구조사
가장 많은 노인들이 해당 소득원으로부터 소득을 얻고 있다고 보고한 소득원은 교통수당이다. 조사대상 노인의 89.7%가 교통수당을 받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친인척 보조금이 76.9%로 뒤를 이었다. 노후에도 경제생활을 통하여 근로 및 사업부업 소득을 얻고 있는 노인인구비율은 27.8%로 나타났다. 구체적 내역을 보면, 근로소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14.1%, 사업부업소득을 갖고 있는 경우가 14.4%로 나타났다. 또한 재산소득, 금융소득, 개인연금 등 자산소득을 갖고 있는 경우는 노인의 12.5%로 나타났다. 이 중에 재산소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8.9%, 금융소득을 갖고 있는 경우가 4.5%, 개인연금을 갖고 있는 경우는 0.4%로 나타났다. 공적이전소득을 갖고 있는 경우는 노인의 92.6%에 달했다.
사적이전소득을 갖고 있는 경우는 전체 노인의 78.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친인척보조금을 갖고 있는 경우가 76.9%로 가장 많았으며, 기타소득금액 5.4%, 사회단체보조금액 1.0%로 나타났다.(2004년 노인욕구 실태조사)
소득원
55세이상
60세 이상
65세 이상
근로,사업소득
71.4
60.7
37.9
자산소득
13.6
17.8
26.8
사적 이전소득
11.1
15.7
27.5
공적 이전소득
3.9
5.7
7.8
< 중년기 이후 소득원 구성의 변화 >
*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0a).노인의 소득실태분석과 소득보장체계 개선방안연구
이제 구체적인 노인의 소득수준 분포를 살펴보면, 노인 개인의 소득수준이 20만원 미만인 노인이 33.3%, 20만원에서 40만원미만이 32.0%, 40만원에서 60만원미만이 6.8%, 80만원에서 100만원미만이 3.6%, 100만원 이상은 12.3%로 나타났다. 즉, 노인 개인소득이 40만원 미만인 경우가 64.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소득액
전국
도시
농어촌
20만원 미만
33.3
32.4
35.1
20∼40만 원 미만
32.0
32.0
32.0
40∼60만 원 미만
12.1
11.8
12.7
60∼80만 원 미만
6.8
6.4
7.6
80∼100만 원 미만
3.6
2.9
5.0
100만 원 이상
12.3
14.5
7.7
월평균소득액(만 원)
48.6
52.9
39.7
< 노인 1인당 월평균 소득액 > (단위:만 원)
*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5).2004년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자욕구조사.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의 산업별 구성비율을 살펴보면, 농수산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55.9%로 가장 많고 도소매 음식숙박업, 사업, 개인, 공공서비스업 종사자가 각각 17.5% , 16.0%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업별로는 농업 및 어업 종사자가 53.5%로 가장 많고 다음은 단순노무직 근로자, 서비스 근로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02) 2004 남녀 노인독신가구의 경제상태와 소비지출의 영향요인 분석
농촌가구는 도시나 도시근교가구보다 식료품비, 공과금 등의 지출이 많으며, 집세나 주거유지비는 도시가구가 농촌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또 가구, 가사용품비, 피복신발비, 의료비 등은 도시근교 가구가 농촌 가구보다 많은데 이러한 결과는 거주지역에 따라 생활물가수준과 생활양식이 달라지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김순미 2004)
< 노인의 지역 및 소득원별 월평균 소득액 > (단위:만 원)
소득원
전국
도시
농어촌
근로,사업소득
56.0
65.8
43.9
자산소득
61.0
72.8
26.1
사적 이전소득
17.6
19.2
14.6
공적 이전소득
11.8
13.4
8.4
월평균 총소득액
48.6
52.9
39.7
자료: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5).2004년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의 종사상 지위를 살펴보면, 자영업주가 59%정도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무급 가족종사자이었으며, 임금근로자 중에서는 일용직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임시직, 상용직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노인 인구 중에서 임금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낮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직업기술 낙후와 같은 노인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노동시장에서의 노인분리라고 하는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노년기에는 직업적 지위도 높고 임금수준도 높은 이전의 직업에서 물러나, 전문지식이나 기술수준이 이전의 직업에 비해 낮은 제2의 직업(second career)또는 임금고용상태에서 퇴직한 후 완전히 은퇴하기 이전에 새로운 직업에 종사하게 되는 교량직업(bridge job)으로 직업적 전이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Atchley 2000)
< 노인 취업자의 산업,직업별 구성비율 >
산업별
농림어업
광공업
건설업
도소매음식숙박
사업,개인 공공서비스
전기,운수,창고,금융
구성비율
52.7
5.3
2.4
17.7
18.5
3.5
직업별
입법공무원,고위임원직및 관리자
전문가
기술공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4.17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51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