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인지, 인성, 사회성, 성격, 의식 발달과정
Ⅱ.아동 정신장애의 개요
■아동 정신장애의 발생
■아동의 건강을 위협하는 환경적 요소
■정신장애 발생과 관련 요인
■정신장애 유병 율을 높이는 요인
■ 아동정신질환의 특성
■치료 빨리 못하는 아동의 문제
Ⅲ.이론적 배경
1. 애착이론
2. 가족체계이론
3. 행동이론
4. 인지이론
5. 원상회복력 모형
Ⅳ.아동의 장애
1.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1)자폐장애(Autistic disorder) : Leo kanner가 처음 기술
2)레트장애(Rett's disorder)
3)소아기 붕괴성 장애(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4)아스퍼거 장애(Asperger's disorder)
2.주의력 결핍 과잉운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장애(ADHD)≫
1.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에 대한 가장 흔한 잘못된 개념
2.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의 정의
3.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의 원인
4.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의 행동특성
5.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과 관련된 문제들
6.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의 전개과정
7.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아동의 관리
8.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의 치료
3.파괴성 행동장애(Disruptive behavior disorder : OPPD)
4. 섭식장애 (Eating disorder)
5.소아학대
6.기분장애(Mood disorder)
7.소아기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with childhood onset)
Ⅴ.소아환자의 간호
Ⅵ. 소아환자의 치료
Ⅶ. 간호과정
Ⅱ.아동 정신장애의 개요
■아동 정신장애의 발생
■아동의 건강을 위협하는 환경적 요소
■정신장애 발생과 관련 요인
■정신장애 유병 율을 높이는 요인
■ 아동정신질환의 특성
■치료 빨리 못하는 아동의 문제
Ⅲ.이론적 배경
1. 애착이론
2. 가족체계이론
3. 행동이론
4. 인지이론
5. 원상회복력 모형
Ⅳ.아동의 장애
1.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1)자폐장애(Autistic disorder) : Leo kanner가 처음 기술
2)레트장애(Rett's disorder)
3)소아기 붕괴성 장애(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4)아스퍼거 장애(Asperger's disorder)
2.주의력 결핍 과잉운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장애(ADHD)≫
1.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에 대한 가장 흔한 잘못된 개념
2.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의 정의
3.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의 원인
4.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의 행동특성
5.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과 관련된 문제들
6.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의 전개과정
7.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아동의 관리
8.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의 치료
3.파괴성 행동장애(Disruptive behavior disorder : OPPD)
4. 섭식장애 (Eating disorder)
5.소아학대
6.기분장애(Mood disorder)
7.소아기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with childhood onset)
Ⅴ.소아환자의 간호
Ⅵ. 소아환자의 치료
Ⅶ. 간호과정
본문내용
니의 항체에 이상반응을 보인다.
E. 정신 역동적 원인 : 확실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지 않음
(3)자폐장애의 감별진단
①소아정신분열증 : 5세 이전에는 발병이 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
대개 사춘기 지나서 발병, 정상발달 하다가 어느 시점에서 정신병적 퇴행
발달의 과거력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
②Mental Retardation : 사회성 발달에서 차이가 있음(사람을 좋아한다)
③특수 발달성 수용성 표현성 복합언어장애 : 사회성으로 감별된다.
④선천성 deafness : 사회성에 의해 감별됨
⑤정신사회적 박탈 : 환경이 좋아지면 회복
ex) 반응성 애착장애 : pathogenic care가 원인
2)레트장애(Rett\'s disorder)
생후 6개월까지는 정상발달을 하다가 이후 심각한 퇴행현상 보임
여자에서만 발견
쌍둥이 일치율100% ∴유전적 원인이 시사됨
특징적 손운동과 언어능력 완전 소실
나중에 두뇌성장 감퇴75% 경련성 질환
질병이 경과되면 muscle tone 증가되어 spastic → 대부분 휠체어 생활
3)소아기 붕괴성 장애(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과거 Heller 증후군
생후 2~3년간 정상적인 발달을 보이다가 3~4세부터 수개월간에 걸쳐서 지적, 사회적 기능 및 언어기능이 붕괴되는 장애
남자가 많다.
자폐장애와 증상이 유사하나 이전에 습득된 기능이 상실된다는 점이 다르다.
4)아스퍼거 장애(Asperger\'s disorder)
자폐장애와 유사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장애를 보이지만, 지능이 정상이고, 언어장애가 없는 경우
2.주의력 결핍 과잉운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장애(ADHD)≫
1.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에 대한 가장 흔한 잘못된 개념
정신만 차리면 집중할 수 있다.
나이가 들면 없어진다.
내가 양육을 잘못해서 그렇다.
2.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의 정의
- 낮은 집중력으로 인하여 짧은 주의집중기간이나 충동성 및 과잉운동이 지속되는 장애의 결과로 파괴적인 행동과 학업의 부진 문제가 나타난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는 아동기의 가장 흔한 증상중의 하나로서 학령기 아동의 3~8%의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이들은 세상과 접촉하는 영역에서 문제를 일으킨다.
3.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의 원인
1) 유전적 원인
ADHD아동의 30~40%는 부모와 형제 중 주의력 결핍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① 형제자매끼리 이환율이 일반 인구보다 2배 더 높다.
② 생부모가 ADHD 확률이 더 높다.
③ 소아의 부모에서 일반 인구보다 알코올 사용장애와 반사회적
인격장애가 더 빈번하게 발생
2) 뇌 기능
- 선천적인 신경 생물학적 뇌의 손상
(흡연, 알코올, 약물 복용)
- 도파민, 노에피네프린의 결핍
* 뇌 손상
① 출생 전후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미세한 뇌손상
: 외상, 감염, 독성물질, 대사장애, 조숙아..
② 음식물에 포함된 첨가제, 색소, 방부제, 설탕
③ PET
- 전두엽과 Caudate nucleus에서 혈류와 신진대사 감소
→전두엽이 inhibitory mechanism을 적절하게 수행하지 못함
- temporal cortex와 occipital cortex의 sensory region에 뇌 혈류↑
3) 신경화학적 요인
① Dopamine hypothesis
: ADHD 환자에서 CSF내의 HVA농도↓
: Psychostimulant에 effect
② Noradrenergic hypothesis : 특히 hyperactivity에
증거 : a. despramine
b. clonidine(α₂- agonist)이 hyperactivity 치료에 effective
4) 신경생리학적 요인 : 자율적인 반응성이 증가 혹은 감소
5) Child abuse, neglect
6) severe early malnutrition
7) Drug induced ADHD
: carbamazepine, benzodiazepine, phenobarbital
8) 기타
- 가정환경( 부모의 양육태도)
- 결손가정
♡ 예후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①지능이 낮을수록
②사회경제적인 여건이 나쁠수록
③공격성이 심할수록
④과잉행동 증상이 심할수록
⑤사회성 기술이 낮을수록
⑥최초 진단시기가 늦을수록
⑦부모 및 교사의 이해 및 관심이 적을 때
⑧참을성이 부족할수록
⑨가족에 정신병리가 있을 때
4.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의 행동특성
①주의력 결핍증상들
일의 자세한 내용에 대한 주의가 부족하거나 일이나 공부에서 부주의하여 실수가 많다.
다른 사람이 직접 이야기하는 데도 듣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정당한 지시에 따르지 못하는 경향이 있으며 학교숙제, 일, 가정의 일 등을 적절히 마치지 못한다.
일이나 행동을 조직하고 체계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학교 공부나 숙제 등 지속적 정신적 노력이 필요한 일이나 활동을 피하거나 싫어한다.
물건을 자주 잃어버린다.
외부의 자극에 대해 쉽게 산만해진다.
일상생활의 활동을 자주 잊어버린다.
②과잉운동 증상
침착하지 못하고 손이나 발을 움직이거나 자리에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하고 움직인다.
한자리에 가만히 있지 못하고 이곳 저곳 돌아다닌다.
상황에 부적절하게 이곳저곳 뛰어다니거나 지나치게 높은 곳을 오르는 행동이 있다.
놀이에 어려움이 있거나 여가활동을 조용히 하지 못한다.
항상 부산하게 바쁘며 마치 차에 의해 운전되듯 급한 행동을 한다.
③충동적인 행동
질문이 끝나기도 전에 대답을 불쑥 해버린다.
자신의 순서를 흔히 잘 지키지 못한다.
흔히 다른 사람들을 방해하거나 다른 사람들 일에 끼어 든다.
충동적인 행동 또는 주의력 결핍 증상들이 7세 이전부터 있어야 한다.
이러한 장애가 두 가지 이상에서 일어나야 한다.
사회적 학습적 직업적 기능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뚜렷한 장애가 있어야 한다.
다른 질환의 경과로 보여서는 안된다.
④공격적 행동
충동성이 공격성을 야기 시킨다.
분노를 통제하지 못한다.
부정적 언어로 또래로부터 거부당한다.
⑤교우관계의 어려움
또래들과 놀
E. 정신 역동적 원인 : 확실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지 않음
(3)자폐장애의 감별진단
①소아정신분열증 : 5세 이전에는 발병이 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
대개 사춘기 지나서 발병, 정상발달 하다가 어느 시점에서 정신병적 퇴행
발달의 과거력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
②Mental Retardation : 사회성 발달에서 차이가 있음(사람을 좋아한다)
③특수 발달성 수용성 표현성 복합언어장애 : 사회성으로 감별된다.
④선천성 deafness : 사회성에 의해 감별됨
⑤정신사회적 박탈 : 환경이 좋아지면 회복
ex) 반응성 애착장애 : pathogenic care가 원인
2)레트장애(Rett\'s disorder)
생후 6개월까지는 정상발달을 하다가 이후 심각한 퇴행현상 보임
여자에서만 발견
쌍둥이 일치율100% ∴유전적 원인이 시사됨
특징적 손운동과 언어능력 완전 소실
나중에 두뇌성장 감퇴75% 경련성 질환
질병이 경과되면 muscle tone 증가되어 spastic → 대부분 휠체어 생활
3)소아기 붕괴성 장애(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과거 Heller 증후군
생후 2~3년간 정상적인 발달을 보이다가 3~4세부터 수개월간에 걸쳐서 지적, 사회적 기능 및 언어기능이 붕괴되는 장애
남자가 많다.
자폐장애와 증상이 유사하나 이전에 습득된 기능이 상실된다는 점이 다르다.
4)아스퍼거 장애(Asperger\'s disorder)
자폐장애와 유사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장애를 보이지만, 지능이 정상이고, 언어장애가 없는 경우
2.주의력 결핍 과잉운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장애(ADHD)≫
1.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에 대한 가장 흔한 잘못된 개념
정신만 차리면 집중할 수 있다.
나이가 들면 없어진다.
내가 양육을 잘못해서 그렇다.
2.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의 정의
- 낮은 집중력으로 인하여 짧은 주의집중기간이나 충동성 및 과잉운동이 지속되는 장애의 결과로 파괴적인 행동과 학업의 부진 문제가 나타난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는 아동기의 가장 흔한 증상중의 하나로서 학령기 아동의 3~8%의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이들은 세상과 접촉하는 영역에서 문제를 일으킨다.
3.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의 원인
1) 유전적 원인
ADHD아동의 30~40%는 부모와 형제 중 주의력 결핍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① 형제자매끼리 이환율이 일반 인구보다 2배 더 높다.
② 생부모가 ADHD 확률이 더 높다.
③ 소아의 부모에서 일반 인구보다 알코올 사용장애와 반사회적
인격장애가 더 빈번하게 발생
2) 뇌 기능
- 선천적인 신경 생물학적 뇌의 손상
(흡연, 알코올, 약물 복용)
- 도파민, 노에피네프린의 결핍
* 뇌 손상
① 출생 전후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미세한 뇌손상
: 외상, 감염, 독성물질, 대사장애, 조숙아..
② 음식물에 포함된 첨가제, 색소, 방부제, 설탕
③ PET
- 전두엽과 Caudate nucleus에서 혈류와 신진대사 감소
→전두엽이 inhibitory mechanism을 적절하게 수행하지 못함
- temporal cortex와 occipital cortex의 sensory region에 뇌 혈류↑
3) 신경화학적 요인
① Dopamine hypothesis
: ADHD 환자에서 CSF내의 HVA농도↓
: Psychostimulant에 effect
② Noradrenergic hypothesis : 특히 hyperactivity에
증거 : a. despramine
b. clonidine(α₂- agonist)이 hyperactivity 치료에 effective
4) 신경생리학적 요인 : 자율적인 반응성이 증가 혹은 감소
5) Child abuse, neglect
6) severe early malnutrition
7) Drug induced ADHD
: carbamazepine, benzodiazepine, phenobarbital
8) 기타
- 가정환경( 부모의 양육태도)
- 결손가정
♡ 예후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①지능이 낮을수록
②사회경제적인 여건이 나쁠수록
③공격성이 심할수록
④과잉행동 증상이 심할수록
⑤사회성 기술이 낮을수록
⑥최초 진단시기가 늦을수록
⑦부모 및 교사의 이해 및 관심이 적을 때
⑧참을성이 부족할수록
⑨가족에 정신병리가 있을 때
4.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의 행동특성
①주의력 결핍증상들
일의 자세한 내용에 대한 주의가 부족하거나 일이나 공부에서 부주의하여 실수가 많다.
다른 사람이 직접 이야기하는 데도 듣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정당한 지시에 따르지 못하는 경향이 있으며 학교숙제, 일, 가정의 일 등을 적절히 마치지 못한다.
일이나 행동을 조직하고 체계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학교 공부나 숙제 등 지속적 정신적 노력이 필요한 일이나 활동을 피하거나 싫어한다.
물건을 자주 잃어버린다.
외부의 자극에 대해 쉽게 산만해진다.
일상생활의 활동을 자주 잊어버린다.
②과잉운동 증상
침착하지 못하고 손이나 발을 움직이거나 자리에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하고 움직인다.
한자리에 가만히 있지 못하고 이곳 저곳 돌아다닌다.
상황에 부적절하게 이곳저곳 뛰어다니거나 지나치게 높은 곳을 오르는 행동이 있다.
놀이에 어려움이 있거나 여가활동을 조용히 하지 못한다.
항상 부산하게 바쁘며 마치 차에 의해 운전되듯 급한 행동을 한다.
③충동적인 행동
질문이 끝나기도 전에 대답을 불쑥 해버린다.
자신의 순서를 흔히 잘 지키지 못한다.
흔히 다른 사람들을 방해하거나 다른 사람들 일에 끼어 든다.
충동적인 행동 또는 주의력 결핍 증상들이 7세 이전부터 있어야 한다.
이러한 장애가 두 가지 이상에서 일어나야 한다.
사회적 학습적 직업적 기능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뚜렷한 장애가 있어야 한다.
다른 질환의 경과로 보여서는 안된다.
④공격적 행동
충동성이 공격성을 야기 시킨다.
분노를 통제하지 못한다.
부정적 언어로 또래로부터 거부당한다.
⑤교우관계의 어려움
또래들과 놀
추천자료
[아동간호] 신증후군 케이스
[아동간호학]급성위장염(AGE), 급성인후두염(APT) case study
[아동간호학 케이스]급성 기관지염(Acute bronchitis)
아동간호학- 급성장염(AGE)
[아동간호] 가와사키 보고서 (카와사키/Kawasaki syndrome)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학 실습 : 천식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아동간호학] 폐렴(broncho pneumonia), 천식(Asthma) case study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dy - 폐렴(pneumonia)
[아동간호학] 가와사키병 (카와사키병, KAWASAKI Disease), 좌심형성부전 증후군 HLHS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발달장애(developmental disabilities)의 이해와 분류
[아동간호학] 급성간염(acute hepatitis)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PED)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