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 한국음식문화의 배경
2. 한국의 전통음식-김치
2-1)김치의 역사적 고찰
2-2)김치의 종류
2-3)김치의 효능 및 영양
3.한국음식 음식의 문제점
3-1) 외국인의 입맛을 고려하지 않은 자극적인 향과 맛
3-2) 표준화 되지 않은 요리법
4. 세계화된 대표적인 한국음식 김치의 수출현황
5.김치 수출시 문제점
5-1)대일 수출의 문제점
5-2)대미 수출의 문제점
6.세계화를 위한 전략
6-1)현지 수입업체에 대한 지속적인 마케팅지원
6-2)김치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추진
6-3)원거리 수송이 가능한 제품 개발 및 유통망구축
6-4)현지인의 입맛에 맞는 김치의 개발
6-5)인터넷을 활용한 김치의 홍보와 판매
Ⅲ결론
<문헌자료>
Ⅱ본론
1. 한국음식문화의 배경
2. 한국의 전통음식-김치
2-1)김치의 역사적 고찰
2-2)김치의 종류
2-3)김치의 효능 및 영양
3.한국음식 음식의 문제점
3-1) 외국인의 입맛을 고려하지 않은 자극적인 향과 맛
3-2) 표준화 되지 않은 요리법
4. 세계화된 대표적인 한국음식 김치의 수출현황
5.김치 수출시 문제점
5-1)대일 수출의 문제점
5-2)대미 수출의 문제점
6.세계화를 위한 전략
6-1)현지 수입업체에 대한 지속적인 마케팅지원
6-2)김치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추진
6-3)원거리 수송이 가능한 제품 개발 및 유통망구축
6-4)현지인의 입맛에 맞는 김치의 개발
6-5)인터넷을 활용한 김치의 홍보와 판매
Ⅲ결론
<문헌자료>
본문내용
하는 사람에 따라 맛이 달라질 수밖에 없죠. 이렇게 되면 제품의 고유 이미지를 형성시킬 수 없고 상품화할 수도 없는 겁니다.(주간동아 2003. 9) 주간동아 2003년 9월호 - 숙명여대 식품영양학과 한영실 교수
위의 말을 잘 생각해보면 우리나라 음식조리과정의 문제점을 알 수 있다. 정확한 레시피가
없고 애매모호한 말들이 많다. 기본적인 밥을 짓는 것을 생각해보면 물의 양이 쌀을 불렸을 때와그렇지 않을 때가 다르기 때문에 눈대중으로 맞출 수밖에 없다. 서양의 음식조리와는 사뭇 다르다. 각각의 가정의 음식 맛이 다른 것도 이 때문인데 이것을 우리나라 사람들은 일명 “손맛”이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하는 사람에 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음식문화이기도 한데 이런 부분들을 차근차근 고쳐서 어디서든지 똑같은 맛을 낼 수 있어야 우리음식의 세계화하는데 큰 발전이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4. 세계화된 대표적인 한국음식 김치의 수출현황
<2001년 김치 수출 실적>
(단위 : 톤, 천불)
구분
1997
1998
1999
2000
2001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전체
12,080
36,692
15,939
47,743
15,939
47,743
23,433
78,847
23,785
68,731
일본
11,237
37,648
15,229
42,236
15,229
42,236
22,261
76,463
22,200
65,028
미국
70
190
164
439
164
439
235
580
634
1,518
괌
96
266
93
212
93
212
57
170
59
171
자료 : 한국식품개발연구원 2002. 내부자료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347,000불에서 1,021,000불로 173% 성장 한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수출이 일본으로 되어지고 있지만 미국의 잠재적인 시장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김영일,<김치수출 동향과 전망> 월간식품저널, 2001,11 p49
여기서 우리는 일본의 시장과 미국시장의 문제점과 과제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5.김치 수출시 문제점
5-1)대일 수출의 문제점
일본의 김치는 1994년부터 한국산 김치에 대한 붐이 조성되어 한국식 김치의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김치 생산업체가 약 3,000여개 정도로 늘어났다. 이런 상황은 우리김치 수출에 있어서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으며 일본인에 맞는 기무치를 상대로 우리는 경쟁을 해야만 한다.
우리나라 대일 김치수출이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해 오면서도 199년 이후 수출물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출금액이 감소한데는 일본의 경기침체와 엔화약세 및 수출단가 하락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물량위주의 수출주도로 인한 김치상품의 브랜드화 및 상품 다양화가 미흡했고, 일본에 지역편중의 마케팅 전략 또한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 되었다. 이러한 핵심요인을 토대로 한 대일 김치 수출상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준연,<한국 김치산업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대학원, 2003, p56
첫째, 저가 및 불알전한 원료 수급 문제점.
둘째, 김치수출 과당 경쟁 및 수출에 대한 전문지식 결여.
셋째, 생산 및 품질관리 기술과 산업체 상호 협조체제의 미흡.
넷째, 일본내 마케팅 활동에서 지나치게 일정지역에 편중.
다섯째, 수출업체별 제품 차별화 및 고품질화 미흡.
여섯째, 수출시장이 지나치게 일본에 편중되어 있어 일본 이외에는 김치에 대한 인지도가
낮음.
일곱째,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이 미흡.
이상 일곱 가지를 대일 수출시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5-2)대미 수출의 문제점
지난 2001년 국제 식품규격위원회(CODEX)의 김치에 대한 국제
위의 말을 잘 생각해보면 우리나라 음식조리과정의 문제점을 알 수 있다. 정확한 레시피가
없고 애매모호한 말들이 많다. 기본적인 밥을 짓는 것을 생각해보면 물의 양이 쌀을 불렸을 때와그렇지 않을 때가 다르기 때문에 눈대중으로 맞출 수밖에 없다. 서양의 음식조리와는 사뭇 다르다. 각각의 가정의 음식 맛이 다른 것도 이 때문인데 이것을 우리나라 사람들은 일명 “손맛”이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하는 사람에 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음식문화이기도 한데 이런 부분들을 차근차근 고쳐서 어디서든지 똑같은 맛을 낼 수 있어야 우리음식의 세계화하는데 큰 발전이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4. 세계화된 대표적인 한국음식 김치의 수출현황
<2001년 김치 수출 실적>
(단위 : 톤, 천불)
구분
1997
1998
1999
2000
2001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전체
12,080
36,692
15,939
47,743
15,939
47,743
23,433
78,847
23,785
68,731
일본
11,237
37,648
15,229
42,236
15,229
42,236
22,261
76,463
22,200
65,028
미국
70
190
164
439
164
439
235
580
634
1,518
괌
96
266
93
212
93
212
57
170
59
171
자료 : 한국식품개발연구원 2002. 내부자료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347,000불에서 1,021,000불로 173% 성장 한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수출이 일본으로 되어지고 있지만 미국의 잠재적인 시장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김영일,<김치수출 동향과 전망> 월간식품저널, 2001,11 p49
여기서 우리는 일본의 시장과 미국시장의 문제점과 과제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5.김치 수출시 문제점
5-1)대일 수출의 문제점
일본의 김치는 1994년부터 한국산 김치에 대한 붐이 조성되어 한국식 김치의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김치 생산업체가 약 3,000여개 정도로 늘어났다. 이런 상황은 우리김치 수출에 있어서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으며 일본인에 맞는 기무치를 상대로 우리는 경쟁을 해야만 한다.
우리나라 대일 김치수출이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해 오면서도 199년 이후 수출물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출금액이 감소한데는 일본의 경기침체와 엔화약세 및 수출단가 하락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물량위주의 수출주도로 인한 김치상품의 브랜드화 및 상품 다양화가 미흡했고, 일본에 지역편중의 마케팅 전략 또한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 되었다. 이러한 핵심요인을 토대로 한 대일 김치 수출상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준연,<한국 김치산업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대학원, 2003, p56
첫째, 저가 및 불알전한 원료 수급 문제점.
둘째, 김치수출 과당 경쟁 및 수출에 대한 전문지식 결여.
셋째, 생산 및 품질관리 기술과 산업체 상호 협조체제의 미흡.
넷째, 일본내 마케팅 활동에서 지나치게 일정지역에 편중.
다섯째, 수출업체별 제품 차별화 및 고품질화 미흡.
여섯째, 수출시장이 지나치게 일본에 편중되어 있어 일본 이외에는 김치에 대한 인지도가
낮음.
일곱째,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이 미흡.
이상 일곱 가지를 대일 수출시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5-2)대미 수출의 문제점
지난 2001년 국제 식품규격위원회(CODEX)의 김치에 대한 국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