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락공원의 INBOUND 활성화 방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락공원의 INBOUND 활성화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개 의 글

2. 인바운드 관광산업의 중요성

3. 국내 INBOUND 관광 COURSE 및 외국인들의 관광동향

4. 국내 INBOUND 관광현황

5. INBOUND에 관련한 위락공원 상품현황

6. INBOUND 고객을 위한 위락공원의 방향- 체재형 종합 휴양지로 전환
7. 외국인 취향의 창조적인 신상품 개발

8. PUBLIC RELATION의 강화

9. 내한 외국인에 대한 배려

10. 맺음말

11. 제안

본문내용

향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위락공원과 인 바운드 여행사간에는 유기적인 연계가 요구되나 위락공원도 여행사도 고객에게 신상품 소개나 홍보물 제공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고 있다. 이제는 위락공원도 주도적으로 나서서 관광사에 각종 초청행사 등을 통해 수시로 신상품과 EVENT를 고지하여 외국인 유치에 도움을 주어야겠다. 또한 해외에 있는 현재 여행사 및 그 나라의 국민을 대상으로 국내 위락공원이 적극적으로 홍보활동을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그 나라의 매스컴, 정기간행물을 이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현재 OUTBOUND 여행사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유대관계를 맺어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지도록 힘써야 한다. 그리고 외국인은 인쇄물에 정보를 의존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포스터, 전단, 교통안내도, 관광지도 등 각종 홍보물을 공항, 호텔, 면세점, 대사관, 문화원에 비치하여 내한한 외국인들에게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며 해외에 홍보가 되지 않았던 자랑스런 관광명소, 행사, 공연, 문화재 등 우리가 갖고 있는 관광지원을 최대한 발굴하여 적극적으로 널리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
내한 외국인에 대한 배려
국내 도로 표지판만을 보더라도 통일 되지 않은 영문 표기가 간혹 발견되곤 하는데 우선 각종 안내표지판의 국제화가 필요하다. 영어는 보편화 된 언어로 거의 전 세계가 사용중이므로 더 말할 나위가 없고 인접 일본인과 중국어권의 동남아인을 위한 일어, 중국어도 병기할 필요가 있다. 위락공원에 있어서 근무자의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바로 고객의 접점에서 그들이 취하는 태도여하에 따라 위락공원의 모든 것이 평가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5.04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78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