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긍정의 힘, 무엇을 말하는가?
본론- 긍정의 힘이 주는 영향력, 그 실체를 찾아서
- 긍정의 힘, 우리 삶의 원천.
- 긍정의 힘의 의미와 의의-개인적인 생각을 중심으로
결론- 긍정의 힘의 교훈과 시사점.
본론- 긍정의 힘이 주는 영향력, 그 실체를 찾아서
- 긍정의 힘, 우리 삶의 원천.
- 긍정의 힘의 의미와 의의-개인적인 생각을 중심으로
결론- 긍정의 힘의 교훈과 시사점.
본문내용
게 소화해서 독자들에게 호소한다. 이것은 \'해 아래 새 것이 없는\" 인생사의 돌고 도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저자의 탁월한 책 쓰기의 결과물이라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니다.
하지만 저자는 심리학과 신학의 중심이 다분히 혼합적인 기준을 삼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가계의 저주 문제는 그리스도의 구속사역과 충돌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조엘 오스틴은 \"우리 대부터 저주를 풀고 가문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 올려야 한다\"고 역설한다.
정말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에게 가계의 저주가 흐르는가? 그렇다면 우리는 예수를 믿으면서도 저주 아래 신음하는 온전한 구원을 이루지 못한 것이 된다.
혼돈되는 사상과 신학
죄의 본성으로 인해 드러난 악한 습관, 상처들이 답습될 뿐이지 그것을 저주라고 말할 수는 없다.
저자가 만약 이런 의미로 \'저주\'라는 말을 사용했다면 용어 선택이 적절하지 못했다고 보아야 한다.
하지만 그리스도인들은 분명히 \'가계의 저주\'를 이어받지 않고 있다. 저자는 긍정의 힘, 혹은 비전을 품었을 때 고통과 가난의 저주가 풀렸다고 말한다.
그러나 우리의 고통과 저주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해 풀렸다.
결코 비전이나 긍정의 힘 때문에 저주가 풀린 것이 아니다.
그러나 주문처럼 되뇌는 긍정적 비전과 말, 선포가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 이것은 말장난으로 그칠 수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구원을 받았음에도 여전히 죽을 때까지 죄와 싸운다. 자기부인과 영적전투에서 피흘림이 계속된다.
그런데 성공, 행복, 비전성취라는 이름으로 그리스도인들의 믿음의 삶에 혼돈을 줄 수 있다.
<긍정의 힘>은 그리스도인들의 고난에 대해서는 침묵하거나 애써 외면하고 있다. 오히려 고난과 고통이 오는 까닭은 긍정적 비전과 사고가 없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긍정적 사고방식을 가져도 고난이 있다.
모든 것을 낙관적으로 봄으로서 자칫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물론 이 책의 주제가 고난과 멀기 때문에 이 문제를 다루지 않을 수 있다. 모든 주제를 취급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난을 받는다고 긍정적 사고가 없다는 식으로 몰아가는 것은 잘못된 가르침이다.
<긍정의 힘>은 자기 컨트롤을 하는 마인드 컨트롤과 별 차이가 없음을 발견한다. \'할 수 있다!\'(I cna do it)는 사고방식은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력을 미친다.
고난과 슬픔, 고통 등의 어려운 상황을 이겨나갈 수 있는 양약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긍정적 사고다. 이 책의 저자는 모든 부정적인 상황에서 항상 긍정적인 사고를 하라고 권한다. \"이제부터는 어떤 식으로 행복하고 긍정적인 삶을 기대하세요\"라고 말한다.
이런 태도는 심리학적으로 자기암시다. 자기마음을 조절하고 조정하여 항상 자기에게는 좋고 긍정적인 일들만 일어날 것이라고 암시한다. <아멘 뉴스 인용>
이책은 미치 엘봄의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처럼 다 읽고난 뒤에는 앞으로의 새로우면서도 긍정적인 미래를 예시하게 한다.
\'긍정의 힘\' 말 그대로
하지만 저자는 심리학과 신학의 중심이 다분히 혼합적인 기준을 삼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가계의 저주 문제는 그리스도의 구속사역과 충돌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조엘 오스틴은 \"우리 대부터 저주를 풀고 가문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 올려야 한다\"고 역설한다.
정말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에게 가계의 저주가 흐르는가? 그렇다면 우리는 예수를 믿으면서도 저주 아래 신음하는 온전한 구원을 이루지 못한 것이 된다.
혼돈되는 사상과 신학
죄의 본성으로 인해 드러난 악한 습관, 상처들이 답습될 뿐이지 그것을 저주라고 말할 수는 없다.
저자가 만약 이런 의미로 \'저주\'라는 말을 사용했다면 용어 선택이 적절하지 못했다고 보아야 한다.
하지만 그리스도인들은 분명히 \'가계의 저주\'를 이어받지 않고 있다. 저자는 긍정의 힘, 혹은 비전을 품었을 때 고통과 가난의 저주가 풀렸다고 말한다.
그러나 우리의 고통과 저주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해 풀렸다.
결코 비전이나 긍정의 힘 때문에 저주가 풀린 것이 아니다.
그러나 주문처럼 되뇌는 긍정적 비전과 말, 선포가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 이것은 말장난으로 그칠 수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구원을 받았음에도 여전히 죽을 때까지 죄와 싸운다. 자기부인과 영적전투에서 피흘림이 계속된다.
그런데 성공, 행복, 비전성취라는 이름으로 그리스도인들의 믿음의 삶에 혼돈을 줄 수 있다.
<긍정의 힘>은 그리스도인들의 고난에 대해서는 침묵하거나 애써 외면하고 있다. 오히려 고난과 고통이 오는 까닭은 긍정적 비전과 사고가 없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긍정적 사고방식을 가져도 고난이 있다.
모든 것을 낙관적으로 봄으로서 자칫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물론 이 책의 주제가 고난과 멀기 때문에 이 문제를 다루지 않을 수 있다. 모든 주제를 취급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난을 받는다고 긍정적 사고가 없다는 식으로 몰아가는 것은 잘못된 가르침이다.
<긍정의 힘>은 자기 컨트롤을 하는 마인드 컨트롤과 별 차이가 없음을 발견한다. \'할 수 있다!\'(I cna do it)는 사고방식은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력을 미친다.
고난과 슬픔, 고통 등의 어려운 상황을 이겨나갈 수 있는 양약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긍정적 사고다. 이 책의 저자는 모든 부정적인 상황에서 항상 긍정적인 사고를 하라고 권한다. \"이제부터는 어떤 식으로 행복하고 긍정적인 삶을 기대하세요\"라고 말한다.
이런 태도는 심리학적으로 자기암시다. 자기마음을 조절하고 조정하여 항상 자기에게는 좋고 긍정적인 일들만 일어날 것이라고 암시한다. <아멘 뉴스 인용>
이책은 미치 엘봄의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처럼 다 읽고난 뒤에는 앞으로의 새로우면서도 긍정적인 미래를 예시하게 한다.
\'긍정의 힘\' 말 그대로
추천자료
조직이 조직구성원에대하여 수행하는 긍정/부정적인 기능을 구체적으로 제시
한국사회 혈연과 지연-그 부정적인 영향과 긍정적인 영향
판운동의 원인과 긍정적 효과
박정희 대통령의 긍정적인 모습 - 외교, 경제, 자주국방
의료보험민영화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에 대한 고찰
살림의경제학 독후감(긍정)
긍정이걸작을만든다
현대여가의 기능(여가의 긍정적, 부정적 기능)과 여가문화
우리나라에서 아동권리가 잘 이행되는 부분(긍정적인 면)과 아동권리가 잘 이행되지 않는 부...
외국의 자원봉사활동의 긍정적인 부분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자원봉사활동을 체계화 시키고 활...
주제에 따른 긍정적 사례를 나타낸 스토리 텔링
가족상담및치료]가족항상성에 대한 작성하고, 가족항상성에 긍정적일 때와 부정적일 때를 각...
독후감 - 나를 긍정적으로 보기
미투 운동(MeToo)의 긍정적영향과 미투운동의 문제점 그리고 궁극적으로 나아가야할 방향 및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