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코치 역할을 떠맡긴다. 도무지 속을 알 수 없는 초원을 성가시게만 생각했던 정욱. 하지만 초원과 함께 시간을 보낼수록 그는 아이같이 순수하고 솔직한 초원에게 조금씩 동화되어 가고, 초원도 정욱에게 마음을 열기 시작한다. 정욱은 매번 속도조절에 실패해 지쳐 쓰러지기는 하지만 지구력이 남다른 초원에게서 마라톤 서브쓰리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본격적으로 훈련에 들어간다.
한편 불성실하게만 보이는 정욱이 도통 미덥지 않은 경숙은 어느 날 정욱과 말다툼을 벌이게 된다. “‘자식 사랑과 집착을 착각하지 말라”는 정욱의 말에 아무 대꾸도 할 수 없는 경숙. 경숙은 정욱의 말대로 이제껏 ’좋다’, ‘싫다’는 의사 표현도 할 줄 모르는 아이를 자신의 욕심 때문에 혹사시키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을 떨쳐버릴 수가 없다. 이제껏 쌓아온 모든 것이 무너져 내린 듯한 기분의 경숙. 그녀는 이제 마라톤도, 서브쓰리도 모두 포기하기로 마음먹고 초원이에게 마라톤을 그만두라고 말하지만 그러기에는 이미 초원이가마라톤에 강한 집착을 보인 상태이다. 결국 초원이는 가족들이 모르는 사이 마라톤 경기 장소로 출발한다. 그 사실을 알고 깜짝 놀란 엄마는 당장 초원이를 찾아나서고, 마침내 경기장에서 초원이를 찾아내지만 초원이는 엄마의 손을 놓고 달리기 시작한다. 그렇게 해서 초원이는 마침내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하게 된다는 내용이다.
본 영화에서 장애인의 스포츠 참여는 사회적으로 우리나라가 아직 장애인에 대한 일방적 편견을 갖고 있다는 것을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있다. 우리는 주위에서 자폐아를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사회는 자폐아에 대한 동정과 격려는 해주지 못할망정 신기한 눈으로 쳐다보고, 심지어는 웃기까지 하는 사람도 있다. 영화 속의 한 예로 주인공 초원이가 지하철역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얼룩말 무늬의 치마를 입은 여성의 엉덩이를 만졌다가 그 여성의 남자친구에게 심하게 맞는 장면이 나온다. 이것은 아직 우리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시각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화의 후반부에서 초원이는 주위의 말림에도 불구하고 풀코스 마라톤에 참가한다. 달리는 초원이의 얼굴에서 그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던 행복한 미소가 아름답게 표현되었다. 우리 사회는 초원이와 같은 자폐아에 대한 일방적 편견을 버리고 자폐아의 스포츠 참여에 용기와 희망을 심어줘야겠다.
제목 : 킹 핀 (Kingpin, 1996)
감독 : 피터 패럴리, 바비 패럴리
출연 : 우리 해럴슨, 랜디 퀘이드, 바네사 엔젤, 빌 머레이
기타 : 1996-11-23 개봉 / 113분 / 코미디 / 15세 관람가
영화 ‘킹 핀’은 도박 스포츠로 인해 장애인이 된 주인공 로이의 시련과 극복을 해학적으로 표현한 영화이다.
떠돌이 프로골퍼 빅 어니는 거액의 도박 볼링 시합을 미끼로 해 로이의 왼손을 후크 선장으로 만들어 버린다. 1996년 갈고리 손의 허름한 중년의 사내로 변한 로이. 그는 쪼글쪼글한 집주인 여자에게 몸까지 바쳐야 하는 신세이다. 할 일 없이 볼링장을 배회하던 로이는 순진한 아미쉬 교도, 이스마엘을 발견한다. 왕년의 챔피언은 꿈에 그리던 볼링 레인으로 복귀할 기회를 잡은 것이다.
아미쉬 교도로 분장한 로이. 갖가지의 설득과 회유, 숫소 젖 짜기, 다 세운 건물 무너뜨리기 등 사고만 벌인다. 결국, 신의 전령, 로이 이스마엘과 르노의 백 만 불짜리 볼링시합에 참가하게 된다. 볼링의 \"볼\"자도 모르는 이스마엘. 로이는 볼링을 비롯해 담배피우는 법, 여자꼬시기 등 세상사의 A에서 Z를 완벽히 가르친다. 우연히 만난 섹시한 창녀, 클라우디아가 이들과 합류, 그녀의 터질 듯한 가슴과 몸매는 사기볼링에서 상대방을 헷갈리게 한다.
백 만 불짜리 볼링시합의 최후의 승자를 가리기 위해 우여곡절 끝에 르노에 도착한 세 사람. 그러나 돈 가방을 쥔 클라우디아는 없어지고, 이스마엘의 손 부상까지 겹친다. 궁여지책으로 고무손을 가지고 17년 만에 레인에 서는 로이. 그러나 그의 공포의 고무손은 자주 공과 함께 굴러가긴 하지만, 위력을 발휘한다.
이 영화는 앞서 소개한 ‘말아톤’ 과는 달리 장애와 도박, 이 두 가지를 소재로 하고 있으나 나는 영화를 보면서 장애를 중심으로 영화를 감상하였다. 절단장애를 갖고 있는 주인공 로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포츠에 참여하는 그의 모습은 비록 이 영화가 코미디로 묘사되었다고는 하나 이 영화를 보는 이로 하여금 용기와 희망을 선사한다. 팔을 못 쓰는 그에게 볼링은 감히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하지만 그는 평범한 장애인과는 달리 삶에 의욕과 희망을 갖고 있다. 영화 후반부에서 그가 백 만 불짜리 볼링시합에서 승리를 한 장면에서는 정말 감동적이었다.
제목 : 포레스트 검프 (Forrest Gump, 1994)
감독 : 로버트 제멕키스
출연 : 톰 행크스, 로빈 라이트 펜, 게리 시나이즈, 미켈티 윌리암스
기타 : 1994-10-15 개봉 / 142분 / 드라마, 코미디 / 12세
관람가
영화 포레스트 검프는 지능이 낮고 다리마저 불편한 포레스트 검프가 바람처럼 달릴 수 있는 남다른 재능을 갖고 스포츠에 참여해 자신의 장애를 극복하게 되는 내용이다.
포레스트 검프는 아이큐가 75이다. 그러나 그의 어머니는 아들의 교육에 대단히 열성적이며 다리마저 불편했던 포레스트에게 다른 아이들과 똑같은 교육의 기회를 주기위해 무엇이든 희생하는 남부의 여인이다. 포레스트는 보통 사람보다 좀 아둔한 자기에게 친절히 대해주고, 나중에 동반자까지 된 친구 제니를 만나 학교를 무사히 다닌다. 어느 날 악동들의 장난을 피해 도망치던 포레스트는 바람처럼 달릴 수 있는 소질을 보이게 된다. 그로 인해 고등학교도 미식축구 선수로 가게 되고 급기야 대학에까지 축구 선수로서 입학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어릴 때부터 아버지에게 학대를 받아온 제니는 언제나 자신의 꿈인 포크송 가수가 되기 위해 애쓰다가 대학까지 제적당하고 소위 히피 그룹에 끼어 여기저기를 떠돌아다닌다. 한편 청년이 된 포레스트는 대학 졸업 후 군에 입대하여 베트남에서 빠른 다리 덕분에 전우들을 구하는 공로를 세운다. 그 공로로 훈장까지 받고 제대한 포레스트는 전장에서 죽은 동료의 꿈을
한편 불성실하게만 보이는 정욱이 도통 미덥지 않은 경숙은 어느 날 정욱과 말다툼을 벌이게 된다. “‘자식 사랑과 집착을 착각하지 말라”는 정욱의 말에 아무 대꾸도 할 수 없는 경숙. 경숙은 정욱의 말대로 이제껏 ’좋다’, ‘싫다’는 의사 표현도 할 줄 모르는 아이를 자신의 욕심 때문에 혹사시키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을 떨쳐버릴 수가 없다. 이제껏 쌓아온 모든 것이 무너져 내린 듯한 기분의 경숙. 그녀는 이제 마라톤도, 서브쓰리도 모두 포기하기로 마음먹고 초원이에게 마라톤을 그만두라고 말하지만 그러기에는 이미 초원이가마라톤에 강한 집착을 보인 상태이다. 결국 초원이는 가족들이 모르는 사이 마라톤 경기 장소로 출발한다. 그 사실을 알고 깜짝 놀란 엄마는 당장 초원이를 찾아나서고, 마침내 경기장에서 초원이를 찾아내지만 초원이는 엄마의 손을 놓고 달리기 시작한다. 그렇게 해서 초원이는 마침내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하게 된다는 내용이다.
본 영화에서 장애인의 스포츠 참여는 사회적으로 우리나라가 아직 장애인에 대한 일방적 편견을 갖고 있다는 것을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있다. 우리는 주위에서 자폐아를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사회는 자폐아에 대한 동정과 격려는 해주지 못할망정 신기한 눈으로 쳐다보고, 심지어는 웃기까지 하는 사람도 있다. 영화 속의 한 예로 주인공 초원이가 지하철역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얼룩말 무늬의 치마를 입은 여성의 엉덩이를 만졌다가 그 여성의 남자친구에게 심하게 맞는 장면이 나온다. 이것은 아직 우리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시각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화의 후반부에서 초원이는 주위의 말림에도 불구하고 풀코스 마라톤에 참가한다. 달리는 초원이의 얼굴에서 그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던 행복한 미소가 아름답게 표현되었다. 우리 사회는 초원이와 같은 자폐아에 대한 일방적 편견을 버리고 자폐아의 스포츠 참여에 용기와 희망을 심어줘야겠다.
제목 : 킹 핀 (Kingpin, 1996)
감독 : 피터 패럴리, 바비 패럴리
출연 : 우리 해럴슨, 랜디 퀘이드, 바네사 엔젤, 빌 머레이
기타 : 1996-11-23 개봉 / 113분 / 코미디 / 15세 관람가
영화 ‘킹 핀’은 도박 스포츠로 인해 장애인이 된 주인공 로이의 시련과 극복을 해학적으로 표현한 영화이다.
떠돌이 프로골퍼 빅 어니는 거액의 도박 볼링 시합을 미끼로 해 로이의 왼손을 후크 선장으로 만들어 버린다. 1996년 갈고리 손의 허름한 중년의 사내로 변한 로이. 그는 쪼글쪼글한 집주인 여자에게 몸까지 바쳐야 하는 신세이다. 할 일 없이 볼링장을 배회하던 로이는 순진한 아미쉬 교도, 이스마엘을 발견한다. 왕년의 챔피언은 꿈에 그리던 볼링 레인으로 복귀할 기회를 잡은 것이다.
아미쉬 교도로 분장한 로이. 갖가지의 설득과 회유, 숫소 젖 짜기, 다 세운 건물 무너뜨리기 등 사고만 벌인다. 결국, 신의 전령, 로이 이스마엘과 르노의 백 만 불짜리 볼링시합에 참가하게 된다. 볼링의 \"볼\"자도 모르는 이스마엘. 로이는 볼링을 비롯해 담배피우는 법, 여자꼬시기 등 세상사의 A에서 Z를 완벽히 가르친다. 우연히 만난 섹시한 창녀, 클라우디아가 이들과 합류, 그녀의 터질 듯한 가슴과 몸매는 사기볼링에서 상대방을 헷갈리게 한다.
백 만 불짜리 볼링시합의 최후의 승자를 가리기 위해 우여곡절 끝에 르노에 도착한 세 사람. 그러나 돈 가방을 쥔 클라우디아는 없어지고, 이스마엘의 손 부상까지 겹친다. 궁여지책으로 고무손을 가지고 17년 만에 레인에 서는 로이. 그러나 그의 공포의 고무손은 자주 공과 함께 굴러가긴 하지만, 위력을 발휘한다.
이 영화는 앞서 소개한 ‘말아톤’ 과는 달리 장애와 도박, 이 두 가지를 소재로 하고 있으나 나는 영화를 보면서 장애를 중심으로 영화를 감상하였다. 절단장애를 갖고 있는 주인공 로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포츠에 참여하는 그의 모습은 비록 이 영화가 코미디로 묘사되었다고는 하나 이 영화를 보는 이로 하여금 용기와 희망을 선사한다. 팔을 못 쓰는 그에게 볼링은 감히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하지만 그는 평범한 장애인과는 달리 삶에 의욕과 희망을 갖고 있다. 영화 후반부에서 그가 백 만 불짜리 볼링시합에서 승리를 한 장면에서는 정말 감동적이었다.
제목 : 포레스트 검프 (Forrest Gump, 1994)
감독 : 로버트 제멕키스
출연 : 톰 행크스, 로빈 라이트 펜, 게리 시나이즈, 미켈티 윌리암스
기타 : 1994-10-15 개봉 / 142분 / 드라마, 코미디 / 12세
관람가
영화 포레스트 검프는 지능이 낮고 다리마저 불편한 포레스트 검프가 바람처럼 달릴 수 있는 남다른 재능을 갖고 스포츠에 참여해 자신의 장애를 극복하게 되는 내용이다.
포레스트 검프는 아이큐가 75이다. 그러나 그의 어머니는 아들의 교육에 대단히 열성적이며 다리마저 불편했던 포레스트에게 다른 아이들과 똑같은 교육의 기회를 주기위해 무엇이든 희생하는 남부의 여인이다. 포레스트는 보통 사람보다 좀 아둔한 자기에게 친절히 대해주고, 나중에 동반자까지 된 친구 제니를 만나 학교를 무사히 다닌다. 어느 날 악동들의 장난을 피해 도망치던 포레스트는 바람처럼 달릴 수 있는 소질을 보이게 된다. 그로 인해 고등학교도 미식축구 선수로 가게 되고 급기야 대학에까지 축구 선수로서 입학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어릴 때부터 아버지에게 학대를 받아온 제니는 언제나 자신의 꿈인 포크송 가수가 되기 위해 애쓰다가 대학까지 제적당하고 소위 히피 그룹에 끼어 여기저기를 떠돌아다닌다. 한편 청년이 된 포레스트는 대학 졸업 후 군에 입대하여 베트남에서 빠른 다리 덕분에 전우들을 구하는 공로를 세운다. 그 공로로 훈장까지 받고 제대한 포레스트는 전장에서 죽은 동료의 꿈을
추천자료
사회복지개론-장애인 복지 : 남동장애인종합복지관을 다녀와서
2007년 장애인복지의 실태와 장애인복지 정책의 과제 및 개선방안 [장애인복지 방안]
[장애인][장애][장애인의 정의][장애인의 판별기준][장애발생원인][장애인 인구 실태][장애인...
장애의 개념, 장애인복지서비스의 종류, 장애인복지서비스의 의의, 장애인자립생활의 기반과 ...
[장애인 자기주장권리][장애인 자기주장훈련][사회적 기술][장애인복지]장애인의 개념, 장애...
[사회복지시설][장애인주거복지][노인주거복지시설][노인의 집]사회복지시설 장애인주거복지,...
본인의 관심분야(노인복지,아동복지,장애인복지,청소년복지,여성복지,등)에 대한 정책의 현황...
장애인 가족 (가족복지론, 장애인가족복지, 장애인가족서비스, 장애인가족정책) 보고서
[장애인복지론] 장애인복지기관을 조사하고 기관의 장애인복지 프로그램 특성에 대하여
장애인복지정책_소득보장제도, 고용보장제도, 의료보장제도, 장애인접근권, 장애인자립생활, ...
장애인관련법에 대한 비판과 대안(장애인복지관련 법안, 장애인복지법 비판, 장애인관련법률 ...
장애인복지론 과목을 배움으로 변화되거나 새롭게 알게 된 점과 사회복지사로서 장애를 가진 ...
[장애인복지론] 장애인복지서비스의 개념과 접근모형을 분석하고 학습자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장애인복지론_영화 맨발의 기봉이 , 말아톤 , 7번방의 선물 가운데 1편을 선택, 시청한 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