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조사] 비만과 운동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석/조사] 비만과 운동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비만과 운동

1. 진단과 평가
2. 비만의 결과
3. 비만의 경제적 비용
4. 비만의 예방
5. 치료의 개요
6. 위험도의 증가
7. 임상추적의 개요

논문

참고문헌

본문내용

) 감소되었고, 제지방률은 유의하게(p<.001) 증가되어 신체조성이 개선되었다.
2. 12주 트레이닝 후 수축기 혈압과 확장기 혈압이 유의하게(p<.001, p<.01) 감소되어 혈압이 개선되었다.
3. 12주 트레이닝 후 TC, TG, FFA, LDL-C는 유의하게(p<.01, p<.05)감소되었고, HDL-C는 유의하게(p<.05)증가하여 지질·지단백이 개선되었다.
4. 12주 트레이닝 후 Apo A-I과 C-II가 유의하게(p<.001, p<.05) 증가되었고, Apo B가 유의하게(p<.05) 감소되어 아포지단백이 개선되었다.
5. 12주 트레이닝 후 LPL이 유의하게(p<.001) 증가되어 지단백 분해 효소가 개선되었다. 이상과 같이 50%HRmax의 유산소트레이닝은 신체조성, 혈청지단백·아포지단백 및 LPL을 개선시켜 비만여성의 지질대사 이상에 의한 심혈관질환을 예방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운동시 비만아동의 심전도 ST분절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최대운동부하에서 얻은 60% VO₂max 자전거 에르고메타 운동시 비만아동의 심근산소소비량, 산소소비량 및 심전도 ST segment의 변화를 구명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남자 아동 14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를 비만군(fat ≥ 20%, 7명)과, 비교군(fat < 20%,7명)으로 구분하여, bycicle ergometer로 60% VO₂max 운동부하에서 10분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유산소 능력과 심근산소소비량 및 심전도 ST segment의 변화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산소섭취량은 안정시에 비만군와 비교군에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운동 시작 1분부터 비만군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운동 5분부터는 비만군에서 유의(p<.05)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2. 심근산소소비량은 안정시에 비만군이 비교군에 비해 유의(p<.05)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시에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3. ST level은 안정시와 운동시에 비만군과 비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60% VO₂max 운동시에는 각 군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ST slope는 안정시와 운동시에 비만군과 비교군간에 유의차는 없었으며, 60% VO₂max 운동시에는 각군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5. ST Index는60% VO₂max 운동시에 각 군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비만아동의 경우 60% VO₂max 운동시 산소소비량의 변화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운동 중에 심전도의 ST level은 감소하고, ST slope는 증가되는 의의 있는 결과를 얻었다.
5. 에어로빅스 트레이닝이 비만여중생의 복부 및 대퇴지방에 미치는 영향
체지방률이 35% 이상인 비만여중생 7명과 대조군 7명을 대상으로 1∼10주까지는 1회 40분 주 4회, 11∼20주까지는 주5회의 에어로빅스트레이닝을 실시하여 신체구성, 최대산소섭취량, 복부 및 대퇴지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0주 트레이닝 후 신장은 유의하게(p<.05) 증가되었고, 체지방률, 안정시심근산소소비량(beats·㎜Hg)은 유의하게(p<.05, p<.01) 감소되었다.
2. 20주 트레이닝 후 체중당최대산소섭취량, 최대산소맥은 각각 유의하게 (p<.01, p<.05)증가하였다.
3. 20주 트레이닝 후 복부의 피하지방, 내장지방, V/S는 각각 유의하게(p<.05, p<.01, p<.05)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4. 20주 트레이닝 후 대퇴지방은 유의하게(p<.05) 감소되었다. 이상과 같이 비만 여중생에 있어서 에어로빅스 트레이닝은 신체구성 및 최대산소섭취량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부의 내장지방과 피하지방 및 대퇴지방을 감소시켜서 비만으로 인한 질환의 이환률 감소와 성인 비만으로 이행하는 것을 예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6. 비만학생들의 운동후 회복시 초과 산소소비량 및 지속시간에 관한 연구
남자 중학생 고도비만자를 대상으로 최대산소섭취량의 50%, 80% 운동강도로 20분간 지속적 운동시 EPOC량 및 지속시간, 운동 시 에너지소모량 그리고 생리적 변인과 EPOC량의 관련성을 구명하기 위한 두 가지 강도별 운동수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50%, 80% VO₂max 운동강도에 의한 20분간 지속적 운동수행시 운동 에너지소모량은 각각 172.01±20.39Ca1, 264.68±35.60Ca1로 운동강도간 유의한 차이(p<.001)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50%, 80% VO₂max 운동강도에 의한 20분간 지속적 운동수행시 EPOC 량은 각각 15.39±5.27kca1, 22.36±6.82kca1로 운동강도간 유의한 차이(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50%, 80%□O_(2)max 운동강도에 의한 20분간 지속적 운동수행시 EPOC 지속시간은 각각 17.23±1.25분, 28.36±3.56분으로 나타났으며, 운동강도간 유의한 차이(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50%, 80% VO₂max 운동강도에 의한 20분간 지속적 운동수행 시 혈중젖산농도, 호흡교환율과 체온의 변화 양상은 80% VO₂max의 운동강도가 50% VO₂max 강도보다 유의한 차이(p<.05, p<.01)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에서 50%, 80% VO₂max 운동강도로 20분간 운동 수행시 EPOC의 양 및 지속시간은 운동강도가 높음에 따라 증가시킨다는 것과 이러한 상승에 혈중젖산농도와 체온의 상승이 관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호흡교환율 이 두 운동 유의한 차이(p<.05)가 있는 것으로 보아 에너지 이용형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운동후 초과산소섭취량과 연계하여 생각해 볼 때 운동의 효율적인 측면에서 고 강도 운동이 동일시간의 저 강도 운동보다 체중조절을 목적으로 운동을 실시하는 비만자와 일반인 특히 성장기 청소년들에게 제시될 수 있음이 규명되었다.
『참고문헌』
운동처방론 - 동아대학교 출판부, 2006, 저자: 박상갑, 김우규, 박현태, 김은희, 권유찬, 문대성
각종논문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5.09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85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