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식물의 생애 및 특성, 용도, 관리방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식물의 생애 및 특성, 용도, 관리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노루귀
▣ 할미꽃
▣ 하늘나리
▣ 패랭이꽃
▣ 제비꽃
▣ 윤판나물
▣ 용담
▣ 앵초
▣ 산철쭉
▣ 산국

본문내용

화되는데, 백색 또는 연분홍색으로 잎이 나오기 전에 핀다. 내한성, 내음성이 강하고 내서성이 약하다. 이른 봄 개화시에는 햇볕이 잘드는 곳을 택하여 재배하는 것이 좋다. 특히 이른 봄에 개화하는 복수초, 바람꽃 등과 함께 광도에 따라 개화상태가 민감하게 변화하므로 낙엽수 하부 등에 재배하는 것이 적합하다. 꽃이 지고나면 반그늘 조건이 좋으며 특히 여름철에는 서늘한 환경조건이 이상적이다. 토양은 부엽토가 많이 쌓인 비옥한 곳이 좋다.
▩ 용 도
ㅇ 관 상 용
소정원의 지피식물로 활용되고 분화용 소재로 이용한다. 화분에 심을 때에는 적은 분이 좋은 직경이 10㎝ 크기 정도면 적당하다. 꽃과 잎이 아름답고 아담하여 테라리움 등 소품재배로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ㅇ 약 용
한방에서는 진통, 충독, 장치료 등에 이용되나 유독성 식물이므로 함부로 먹어서는 안된다.
▩ 관리방법
ㅇ 적 지
재배지역은 완전히 개방된 노지나 절개지 등은 부적합하고 노지에 재배시에는 40%정도 그늘을 만들어 주어야 하며 조경식물로 이용코자 할 때는 관목과 교목을 식재한 주변에다 햇볕이 하루에 4시간 정도 비추도록 배식하는 것이 생장에 적당하다. 토양은 부식질이 많고 배수가 양호한 토양에서 잘 자라며 pH는 5.1∼5.3, 온도는 겨울철에 -5℃∼5℃여름철 18∼24℃, 봄, 가을에는 10∼15℃정도 되는 곳이 알맞다.
ㅇ 번 식
번식은 성숙된 종자를 채종하여 파종하는 실생법과 근삽, 포기나누기가 있으나, 포기나누기는 근주를 나누기가 곤란하여 실생법을 이용한다. 5∼6월에 성숙된 종자를 채종하여 묘상에 직파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채종 후 모래에 섞어 두었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하여도 된다. 묘판에 먼저묘를 기른 후 본엽이 4∼5매가 나오면 그때 옮겨 심는다. 실생 파종 후 3∼5년에 개화주로 육성된다. 실생번식은 종자가 개화 2개월 후에 성숙되는데, 채취 후 즉시 또는 저온저장 하였다가 봄에 파종한다. 근삽은 발근이 30∼50일 정도 소요되나 이른봄에 삽목하면 당년에 개화주로 키울수 있다. 분주는 잎이 지고난 가을에 2∼3년마다 3∼4개의 눈을 붙여서 나눈다.
ㅇ 시비 및 부초
식재지를 조성할 때는 먼저 완숙된 퇴비를 토양에 골고루 뿌려서 경운기 로타리를 이용하여 골고루 섞어지게 한다. 거름은 300평당 1,000㎏정도 시용한다. 복합비료 대신 깻묵을 40∼50㎏ 주어도 좋다. 잡초발생 억제와 토양수분 유지를 위해서 왕겨 썩은 거름을 지표면에 덮어 주면 효과적이다.
ㅇ 관수 및 차광
휴면이 시작된 후 여름가뭄이 지속되면 고사될 위험이 발생하므로 인공관수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볕가림을 해주어야 정상적인 생장을 한다. 햇볕가림 비율은 40%가 적당하다.
ㅇ 분 관 리
분재배시는 5∼10mm의 마사토 단용으로 식재하거나 모래와 부엽 이끼를 7 : 2: 1의 비율로 섞어서 사용한다. 물주기는 생장기인 4∼6월 까지 2∼3일에 1회씩 관수하며 개화가 끝난 이후에는 건조하지 않게 관리하여야 한다. 비료는 마그암프K나 유박 등을 2∼3회 시비하여 준다.
ㅇ 병충해 방제
병충해는 뿌리혹선충 피해가 심하므로 이병상토 사용을 지양하고 상토소독 후 사용한다.
▣ 할미꽃
▩ 생애 및 특성
줄기 길이가 30∼40㎝로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여 5개의 소엽으로 된 우상복엽이며, 식물체에 흰털이 많고 뿌리는 굵고 흙갈색이다. 꽃은 4월에 개화하며 30∼40㎝화경 끝에 1개씩 밑을 보고 피는데 겉은 흰털이 있고 속은 적자색으 띤다. 열매는 수과끝의 암술대가 4㎝길이의 털로 되어 할머니의 흰머리처럼 보인다. 내한성, 내서성이 강하고 내음성이 약하며 호광성이다.
▩ 용 도
ㅇ 관 상 용
이름봄 야생화 상품으로는 각광을 받을 수 있는 품목으로 학교 교재원 식물, 시민공원, 자연학습장, 휴양림, 청소년수련장 등에 조성되는 학습원, 지피조경에 식재되는 우리고유의 식물이다. 출하 후 식재되었을 때 활착율을 높이기 위해서 포트묘로 양성 출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관리방법
ㅇ 적 지
통풍이 잘되는 장소가 좋고 토양은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가 적합하며, 뿌리가 깊게 들어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토심이 깊은 곳에 식새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관리하기가 좋다.
ㅇ 분 재 배
분화용으로 생산하고자 할 때는 긴 화분을 이용하는 것이 좋은데 보통 6∼7호분을 이용한다. 용토의 배합율은 일바적으로 마사토와 부엽토를 5:5의 비율로 한다. 옮겨심기나 분갈이 시기는 가을철이 좋은데 이때 직근성이고 잔뿌리가 적기 때문에 잔뿌리가 자려나가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 하늘나리
▩ 생애 및 특성
초장이 20∼30㎝, 줄기가 사각형으로 백색털이 있고 잎은 대생, 피침형, 타원형이다. 꽃은 적자색 또는 분홍색 5∼7월에 개화한다. 생육적온이 15℃로 내음성, 내건성이 강하고 춘파 1년초로 취급하는데 추파도 가능하다.
▩ 용 도
ㅇ 관상용
집단으로 식재하는 것이 관상가치가 좋고 폿트묘로 육묘하여 심으면 당년에 꽃을 볼 수가 있다. 분재배시에는 잔뿌리가 얕게 많이 나오므로 높이가 낮은 분을 사용하고 웃자람을 줄이기 위해서 최소한의 비료와 관수를 하여야 한다.
ㅇ 식 용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데 쓴맛이 강하므로 데쳐서 하루정도 우려낸 다음 양념을 해서 먹는다.
▩ 관리방법
ㅇ 적 지
꿀풀은 양지바른 경사지나 절개지, 스키장 경사면 등 다소 척박하고 경사지 장소로 다른 식물들의 적응성이 떨어지는 장소에 식재 하면 좋다. 햇빛을 좋아하는 관계로 하루에 4시간 이상 햇빛이 드는 장소에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ㅇ 파종 또는 정식 전 후 관리
거름기가 많고 배수가 잘되는 사양토 또는 양토가 좋다. 식재 시기는 봄과 가을이 적당하며 식재하기전에 퇴구비를 300평에 900∼1200㎏ 골고루 뿌려주고 경운을 해준다. 식재 후 1차관수를 하여주고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식재거리는 보통 20∼30㎝ 간격으로 심는데 밀식하여 심을 경우 다음해 많은 개체가 출현되어 도장의 우려가 있게 된다.
▣ 패랭이꽃
▩ 생애 및 특성
높이 30cm의 다년생 초본, 길가풀밭이나 건조한 전석지 등에 자생, 여러대가 같이 나와 곧게 자라고 전체에 분백색이 돈다.꽃은 5월∼8월에 개화가 되며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5.25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13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