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쿨하우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렘-쿨하우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약 력 >

S,M,L,XL

CCTV

Seoul National University Art Museum Project

주요작품

건축에 관한 렘 쿨하스의 사고: Finding Freedom

렘 쿨하스에게 도시란..

정신착란증의 뉴욕(Delirious New York), 1978
ㆍ정신착란증의 뉴욕에서 보여주고 있는 그의 도시에 대한 관점
ㆍ아무것도 없는 것을 생각하기(Imaging nothingness), 1985
ㆍ기존 도시론에 대한 비판

쿨하스의 새로운 도시론 특성

결 론

본문내용

시청사와 인접하고 있으며 앞 광장에는 시민들을 위한 야외 스케이트장이 마련되어 있다. Dance Square 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매스와 아방가르드적인 색채와 재료인데 진입하는 방향과 길에 따라서 각각 다른 얼굴을 가진 이 건축물은 다가감에 따라 새로운 모습과 역동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Dance의 키네틱 에너지와 이에 걸맞는 공간구성은 이곳을방문하는 이들에게 다양한 리듬의 예술적 이미지를 던져주고 있다.
Rem Koolhaas: continous circuit
쿤스트할의 동선 개념과 단면도
건축에서는 외부와 내부를 분리 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한다. 이런 식으로, 그 덩어리는 내부 의 끊임없는 변화가 주는 고통 으로부터 외부 세계를 보호한 다.
렘 쿨하스(혹은 콜하스)가 언급하는 내부와 외부 사이의 불일치는 제한된 용적 안에 다양한 도시민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원리였으며, 이는 이질적인 공간을 한 통일체 내부에 지니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20세기 초 근대건축의 투명성에 의한 내-외부 공간관계의 연속성과 그 다양성은 그의 건축작업에 있어서 계속적으로 시도되고 있는 비중 있는 실험 중의 하나이다.
렘 쿨하스는 이견이 없는 20세기말-21세기초를 아우르는 스타건축가중의 선두주자다. 쿤스트 할(Kunsthal, 1987-1992)에서 쿤스트할은 세 개의 전시실, 오디토리엄, 레스토랑이라는 프로그램이 명확한 경계나 구획 없이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의 기본 개념은 연속된 순환, 즉 흐르는 연속 동선에 의한 것으로 경계가 사라진 상태에서 관람객들은 어느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계속 나아간다. 이질적인 각 프로그램들은 이 연속적인 판을 통해 흐름 자체로서 공간화되어 공간을 비위계적으로 통합시키고 있다. 쿤스트할은 외관상으로는 한 개의 커다란 매스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그 박스는 두 개의 동선에 의해 네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는 단순한 볼륨의 내부에 연속성을 갖는 바닥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단순한 외피 속에 복잡한 동선을 부여하는 것이다.
즉 바닥면과 바닥면이 단순하게 적층되는 것이 아니라 각 층의 단면이 위아래에서 서로 닿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매스나 볼륨의 조작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실제적인 작업에서 오직 면을 접거나 갈라내어 다른 면과 이음새없이 연결시킨다. 이러한 경우의 특징은 공간이 볼륨사이에 있기보다는 표면사이에 있다는 것이다. 주목할 점은 공간의 불연속성을 부여하던 바닥판의 조작을 통해 역설적으로 공간의 연속성을 부여하는 요소로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쿨하스는 경사면을 전시공간으로부터 격리시켜 외부공간과 관계맺음으로써, 경사로에 의한 연속적 공간 이동 속에서 내-외부 공간 관계의 극적 전환을 체험시키는 동시에, 투명한 공간 경계를 통해서 경사로의 틈을 이용한 연속적 공간 관계 체험을 연출하고 있다.
건축에 관한 렘 쿨하스의 사고: Finding Freedom
1988년 6월 MoMA에서 개최된 \'해체주의 건축전시회\'가 데리다의 해체이론에 부합하는 건물들의 전시회가 아닌 러시아 구성주의와의 형태적 유사함으로 모여진 건물들이었던 점을 감안할 때, 비록 초기의 렘 쿨하스의 드로잉은 레오니도프와 말레비치의 영향 아래 절재주의적 추상기하학으로 나타났었지만 이것만으로 그의 작품을 해체적 성향으로 단정지을수는 없다. 그러나 분명히 그의 건축은 모더이즘적인 성향의 건축에서 벗어난 실험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다.
그는 Finding Freedom 이라는 인터뷰를 통해 자기가 추구하는 건축에 있어서의 자유로움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또한 그는 최근 자신의 작품을 소개하면서 모더이즘적인 사상에서 벗어나 실험적인 건축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성향에 바탕을 둔 그의 실험적 성향을 크게 압축하면 다음과 같다.
1) 근대적 질서의 파괴 : 플라토닉 솔리드, 그리드 체계를 통한 근대적인 질서체계 를 고의적으로 파괴하는 경향이다. 다양한 수법을 통해 기존의 질서체계가 지니는 공간의 균질성을 깨트린다. 특 히 기둥의 배치과정에서 그 간격이나 방향, 기울어진 단 면 또는 재료 등을 변화시켜 균질적인 공간을 차별화하고 있다.
2) 비기하학적 형태사용 : 90년대를 넘어서면서 최근의 그의 작품에서 비대칭적 형태, 유기적인 형태 혹은 다원적인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형태가 그의 건축에서 비어있는 공간의 형상으로 자주 나타나고 있다.
3) 혼돈의 수용 : 도시계획에 있어서 일정한 부분은 통제를 하고 그 나머지는 혼돈을 허용하는 태도가 그의 건축에서도 그대로 적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는 혼돈만을 추구하는 다른 현대건축가들에 대한 비판을 통해서 볼 때 혼돈 그자체가 목적이 아닌 그러한 혼돈을 통한 새로운 질서의 창출이 목적이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실험적 성향들에 대한 효과는 물리학 용어인 엔트로피로서 설명할수 있다. 기하학적으로 가장 순수한 질서가 형성될 때 엔트로피는 가장 작지만 보는 이에겐 유쾌함이나 즐거움이 없다고 볼수 있는데 즉 그의 건축에서는 안정된 질서로부터 카오스를 향한 방향성을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방향성으로 인해 건축공간들은 역동성, 변화와, 복합성을 지니게 된다.
렘콜하스가 혼돈을 다루는 두가지 경향
1) 혼돈을 인정하고 수용하려는 시도: 렘 콜하스는 앞에서 말한바와 같이 르 꼬르 뷔제의 \'빛나는 도시\'에 대해 현대도시가 가지고 있는 \'밀집의 문화\'를 반영하 지 못했다는 점을 들어 비판한다. 또 도시론에 \"무슨일이 일어났 는가라\"는 글에서 그는 새로운 도시론을 질서라는 환상에서 벗어나야 하 며, 현대도시의 불확정성을 담을수 있는 장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요코하마나 서울공항 프로젝트에서 그는 다른 기 능의 프로그램의 띠를 중첩으로 \'혼돈\'을 만들고 있다.
2) \'혼돈\'을 제어하려는 시도: 질서부여
유라릴에 대한 질문에 렘 콜하스는 \'릴의 경우에 혼돈을 최소화 하려는 방식\'을 사용했다라고 밝히고 있다.
렘 쿨하스에게 도시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도시의 대규모화는 인간의 근본적인 면(감성과 관계)을 변화시켰고, 거대자본, 시장, 유행, 범죄, 빈민, 교통 등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5.26
  • 저작시기200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13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