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원론] '오설록'의 중국시장 마케팅 전략 분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케팅원론] '오설록'의 중국시장 마케팅 전략 분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국내 기업으로써의 오설록

▲ 기 업 소 개

▲ 특 징

▲ 조 직 도

■ 중 국 으 로 의 진 출

▲중 국 개 요

▲중국 차시장 분석☞ SWOT, 5FORCES 분석, STP

■ Business Strategy(4P)

▲ P R O D U C T

▲ P R I C E

▲ P R O M O T I O N

▲ P L A C E

본문내용

료만 하더라도, 단순한 녹차나 녹차라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린티 피나콜라다, 아이스 그린 오렌지등과 같이 다양한 음료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에게 녹차에 있어서는 오설록이 최고라는 이미지를 줄 수 있다. 베이커리나 아이스크림 또한 모든 상품이 녹차를 기본 원료로 하였지만 각각의 특징을 가졌다는 점에서 강점이라 볼 수 있다.
- 유기농 친 환경의 상품-무색소, 무방부제, 가루설록차
오설록의 모든 음료, 베이커리 식품들은 녹차를 바탕으로 한 유기농 친 환경의 상품이라는 점에서 고객에게 깨끗한 이미지를 주고 있다. 이는 건강을 생각하는 고객에게 강하게 어필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 높은 서비스
일반적으로 타 경쟁사들(커피빈, 스타벅스)이 셀프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데 반해, 오설록은 풀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는 것은 오설록만의 큰 장점이다. 즉 고객에게 편리성을 제공함으로써 더 높은 만족도를 줄 수 있다.
공한다.
- 자연 친화적 인테리어
오설록은 고객들에게 도심속의 무릉도원이라는 느낌을 주고자 자연 친화적 인테리어를 하였다. 즉 테이블, 의자, 조명과 같은 내부 인테리어를 그린톤에 맞추어 편안함을 주었고, 통유리를 통해 개방된 느낌을 주고 있다. 또한 계단같은 경우 나뭇잎 계단을 통해 사람들에게 친근함을 주고 있다. 이렇게 자연 친화적 느낌과 함께 깔끔한 인테리어는 고객에게 너무 부담되지도 않으면서 깔끔한 공간이라는 이미지를 주고 있다.
- 체험마케팅
오설록은 다양한 녹차 관련 상품을 체험할 수 있는 코너를 따로 만들어 고객에게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다도를 배울 수 있는 기회와 차 만들기 여행과 같은 오설록만의 체험 공간과 이벤트는 고객의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② 약점 (Weakness)
- 낮은 인지도와 접근성
중국으로 진출하는데 있어 세 개의 기점(상해, 북경, 광저우)에만 우선적으로 진출하기 때문에 진출초기에 사람들에게 인지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오설록을 찾기 위해서는 위의 세 군데에 찾아가야 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떨어진다.
- 기존의 중국 내 다양한 차 혼재
중국은 겨울이던, 30도가 넘는 여름에도 계절에 관계없이 항상 더운 차를 마신다. 항상 어디서든지 차를 마실 수 있도록 찻병 혹은 빈병을 들고 다닌다. 차가 없을 경우에는 아무리 더운 여름이라도 뜨거운 물을 연신 마셔댄다. 택시 기사들도 차병을 준비하여 가지고 다니며 수시로 차를 마신다. 이처럼 차를 마시는 것이 생활화 되어있는 중국에는 홍차, 녹차, 오룡차, 백차, 화차, 긴압차를 대표로하는 여러 종류의 차가 있으며 이는 녹차의 대체품으로 언제든지 오설록 시장의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③ 기회 (Opportunity)
- 웰빙과 다이어트에 관한 관심 확산
중국 사람들이 건강을 중요시하고, 다이어트에 큰 관심을 가지는 시대 문화라는 점은 오설록이 중국으로 진출하는데 좋은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녹차가 몸에 좋다는 것은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시장에 경쟁력을 갖고, 또한 칼로리가 적다는 점에서도 아이스크림이나 고칼로리 음료에 경쟁력을 가짐으로서 다양한 상품으로 사람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다.
- 젊은층뿐만 아니라 중, 장년층까지 공략가능
일반적으로 까페 문화를 즐기는 20대 여성 뿐만 아니라 녹차를 이용했다는 점에서 지역별로 분석해본 결과 30~40대 고객까지 확보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전체 시장의 확대는 오설록에 큰 수익성을 줄 수 있는 것이다.
- 여가 활용시간 증대
중국의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중국 내 고소득층의 비율이 하루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 계층의 사람들은 여가를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는 사람들에게 오설록을 찾을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시간이 없다면 아무리 오설록을 찾고 싶어도 찾지 못할 텐데, 여가 활용 시간이 증대됨으로써 사람들은 오설록을 찾을 기회를 얻게 된다.
- 대규모 인구
- 표적소비층의 증가 - 고소득층의 증대
- 중국인의 체면치례 중시성향(미옌쯔)
- 중국의WTO가입(2004.12)
④ 위협 (Threat)
- 개인의 녹차상품 이용의 용이성
녹차 자체에 대한 맛을 선호하는 것이라면a 이는 티백 녹차, 가루녹차, 캔 녹차, 녹차 베지밀 등과 같이 녹차 제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오설록이 비록 전문화된 녹차 음료나 베이커리를 선보이는 강점에도 불구하고 시중에서 파는 타 녹차제품으로 대체 할 수 있다.
- 중국에서의 모방가능성
오설록이 중국에 진출해 자리를 잡는다면 녹차 전문점은 물론, 커피, 아이스크림 등을 주 메뉴로 하고 있는 모든 까페에서 녹차를 활용한 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다분하다. 따라서 오설록만의 이미지인 녹차상품의 희소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
- 중화사상으로 인한 한국 상품의 거부감
- 중국정치체제의 불안성
▷ 5Forces 분석
. 대 체 재
직접 끓여먹는 잎사귀차 / 티백
차를 마시는 것은 중국인들 속에서 술을 마시는 것보다 훨씬 더 보편적이다. 중국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찻잎을 생산한 국가이며, 그 후에 일본 동남아 및 세계 기타 지역으로 전파되었기 때문에 중국은 \"찻잎의 고향(茶葉的故鄕)\"이라 불린다. 차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기능이 있다. 음료로서 갈증 해소하고, 위장의 소화를 도우며, 손님 접대 시에 사용되고, 선물로 보낸다. 중국인들이 차를 마시는 것은 일반적으로 식사후나 한담할 때이다. 그리고 보편적으로 따뜻한 차를 마시고 차가운 차를 마시지 않으며, 차를 마시면서 한담을 나누고 한잔 한잔 계속해서 마신다. 중국은 지역이 광활하고 인구가 많으며 지역간 격차가 심하여 차의 종류는 100여 종이나 되고 각 지방의 사람들이 차를 마시는 종류와 습관도 같지 않다.
차의 종류를 보면 대체로 화차(花茶), 뤼차(綠茶), 홍차(紅茶), 우롱차(烏龍茶), 진야차(緊壓茶)의 다섯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차의 주요 생산지로는 절강(浙江), 강소(江蘇), 안휘(安徽), 하남(河南), 복건(福建), 귀주(貴州), 운남(雲南) 등지가 있다. 흔히 말하는 \"10대명차(十大名茶)\"는 롱징차(龍井茶; 杭州), 삐루어춘(碧螺春; 太湖 洞庭山), 티에

키워드

경영,   마케팅,   전략,   오설록,   기업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9.03.30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6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