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멋대로해라 (감상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네멋대로해라 (감상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가 가지고 있는 또 다른 미덕은 프랑스의 1950년대를 특징지었던 실존적 불안과 권태를 적나라하게 들어내는 현실의식과, 그 이전의 주류영화로부터 소외되었던 헐리우드 B급영화에 경의를 바친 아웃사이더 정신이다.(고다르는 이 영화를 헐리우드에서 소규모 상업영화를 제작하던 Monigram 영화사에 바치고 있다.) 고다르의 영화 중 가장 관습적인 이 영화는 그나마 무난하게 이해할 수 있는 줄거리를 가지고 있다. 이 영화에서 밀고자로 잠시 얼굴을 내비치는 이가 바로 장 뤽 고다르이다.
- 영화는 마치 B급 갱스터 영화의 멜로드라마처럼 보인다. 주인공 미셸(장 폴 벨몽도)은 별다른 이유 없이 차를 훔치고, 여자들을 울리고, 경찰을 총으로 쏘고, 미국에서 온 애인 패트리샤(진 세버그)를 설득해 도망치자고 유혹한다. 그러나 패트리샤는 경찰에 고발하고, 미셸은 거리에서 총에 맞아 쓰러진다. 고다르는 미셸과 함께 59년 파리를 달린다. 알제리가 프랑스 대혁명정신에 근본적 질문을 던지고, 실존주의가 구조주의에 자 리를 양보하고, 드골정권이 보수반동주의로 변질하고 있는 파리에서 \'새로운 세대\'의 공기와 시
대정신이 무엇인가를 영화는 영화 스스로 질문한다. 고다르는 영화사상 최초로 \'영화에 관한 영화\'를 창조해낸 것이다. 그래서 카메라는 스스로의 자의식을 갖고 주인공과 이야기와 작가 사이에서 영화를 향해 질문을 던진다. 주인공은 갑자기 카메라를 향해 말을 걸고, 화면은 점프 컷과 롱 테이크의 수사학으로 영화의 불문율을 차례로 돌파한다. 영화는 지켜야 할 문법을 갖고 있지 않은 담론이며, 고다르는 영화란 \' 네 멋대로\' 만드는 것이라고 선동한다. 고다르는 단호하게 말한다. 영화에서 이론이란 불가능하다고. 그래서 영화에 관한 이론이란 영화(들)뿐이라고 대답한다. 만일 그러하다면 고다르는 여전히 영화로 영화를 말하는 영화평론가인 셈이다. 그는 <네 멋대로 해라>에서 미래의 영화를 발명 한 것이며, 고다르를 통해서 영화는 무한히 다양한 상상력의 이미지를 타고 도주하는 복화술사가 되었다. \"고다르 이전에 고다르 없고, 고다르 이후에 고다르 없다.\" 평생 고다르가 싫어했던 미셸 푸코의 찬사다.
● ‘네 멋대로 해라’의 새로운 시도
소외효과
독일의 극작가 베를톨트 브레히트가 고안한 극작기법, 마르크스 이론을 극작에 적용한 것으로 친숙한 환경과 대상을 낯설게 보이게 함으로써 일련의 효과를 노리는 미학전략이다. 소회효과의 목적은 개관적 세계와의 거리두기를 통해 비판적인 의식을 가질 수 잇도록 하는 것이다. 죽, 극적화영을 깨뜨림으로써 무대위의 사건ㄱ에 대한 새롭고도 낯선 태도를 갖게 한다.
점프컷
점프 컷은 매치 컷과 반대로, 이어지는 두 개 숏의 연결이 급작스러운 것을 말한다. 이음매 없이 연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컷 자체의 연결에 관객의 주의를 집중시키게 된다. 시간과 공간 상의 전이를 나타내지만 감각을 흐트러뜨리는 면이 있기 때문에 점프 컷이란 이름으로 불린다. 이것은 관객을 놀라게 만들어 내러티브가 어디로 진행하는지 의아하게 한다. 시퀀스 사이에서 점프 컷은 표준적인 컷과는 반대 효과를 만들어 낸다. 내러티브가 하나의 시간과 공간에서 다른 곳으로 아무 설명 없이, 즉 숏이나 보이스오버 없이 전이된다. 이러한 시간과 공간의 단편화는 방향 감각을 헷갈리게 하는 효과(디제시스 내에서 그리고 관객에게)를 만들어 내거나 아니면 모든 삶의 경험은 원인-결과의 연쇄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는 편한 관념에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 이 두 가지 효과는 공존할 수 있다. 장 뤽 고다르는 점프 컷의 이러한 사용에 있어 맨 앞에 놓여야 할 사람이다. (특히, 그의 1960년대 영화들). 그의 캐릭터들은 이 세계에서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5.28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15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