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스트레스의 개념과 유형
Ⅱ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Ⅲ 스트레스의 완화 기법
Ⅳ 연구의 목적
Ⅴ 설문과 가설의 검증
Ⅵ 결론 도출
Ⅶ 부록- 설문지
Ⅱ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Ⅲ 스트레스의 완화 기법
Ⅳ 연구의 목적
Ⅴ 설문과 가설의 검증
Ⅵ 결론 도출
Ⅶ 부록- 설문지
본문내용
억 압
유
26
1.307692
0.470679
0.092308
무
74
1.351351
0.480651
0.055875
부 인
유
26
1.346154
0.485165
0.095149
무
74
1.405405
0.494322
0.057464
투 사
유
26
1.346154
0.485165
0.095149
무
74
1.310811
0.465985
0.05417
주 지 화
유
26
1.346154
0.485165
0.095149
무
74
1.418919
0.49675
0.057746
합 리 화
유
26
1.346154
0.485165
0.095149
무
74
1.283784
0.453911
0.052766
승 화
유
26
1.307692
0.470679
0.092308
무
74
1.297297
0.460188
0.053496
반동 형성
유
26
1.384615
0.496139
0.097301
무
74
1.324324
0.471317
0.05479
동 일 시
유
26
1.346154
0.485165
0.095149
무
74
1.337838
0.476201
0.055357
치 환
유
26
1.192308
0.401918
0.078823
무
74
1.283784
0.453911
0.052766
위의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스트레스의 대처 방안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의 대처 방안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위의 표를 비추어 볼 때, 방어 기재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스트레스가 발생되었을 때 방어 기재를 사용한다는 설문이 1.2-1.4로 나타나고 있다. 즉 방어 기재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무의식 중에서 방어 기재를 알고 있는 않은 사람들보다 더 많이 나타난 다는 것을 볼 수있다. 또한 아홉 가지의 방어 기재의 평균 치 대답이 거의 유사하게 나오는 것을 비추어 볼 때, 특정 방어기재를 의식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당한 스트레스 상황에 적합한 방어 기재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가 이 연구를 통해 얻고자 했던 결론으로는 방어 기재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있는 사람이 스트레스 상황에 봉면했을 때, 방어 기재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보다 무의식중에서 방어기재가 더 많이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방어 기재에 대한 지식이 있는 사람이 스트레스를 더 건강히 해소 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가고도 볼 수 있겠다.
5. 가설 5 와 그 설문
하나. 인간이 성(性)에 따라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대처하는 모습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알아본다.
방어 기재
성
N
평균
표준편차
평균의표준오차
억압
남
51
1.313725
0.468623
0.06562
여
49
1.367347
0.487078
0.069583
부인
남
51
1.392157
0.493089
0.069046
여
49
1.387755
0.492287
0.070327
투사
남
51
1.333333
0.476095
0.066667
여
49
1.306122
0.465657
0.066522
주지화
남
51
1.352941
0.48264
0.067583
여
49
1.44898
0.502545
0.071792
합리화
남
51
1.27451
0.450708
0.063112
여
49
1.326531
0.473804
0.067686
승화
남
51
1.313725
0.468623
0.06562
여
49
1.285714
0.456435
0.065205
반동형성
남
51
1.333333
0.476095
0.066667
여
49
1.346939
0.480929
0.068704
동일시
남
51
1.333333
0.476095
0.066667
여
49
1.346939
0.480929
0.068704
치환
남
51
1.27451
0.450708
0.063112
여
49
1.244898
0.434483
0.062069
위의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스트레스의 대처 방안에 대해 인간의 성(性)에 따라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 볼 수 있었다. 위의 표를 비추어 볼 때, 인간의 성(性)에 따라 다양한 방어 기재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고, 평균 치가 1.2-1.4 로 유사한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인간이 스트레스 상황에 당했을 때, 인간의 성(性)과 관계없이 방어적 기재가 무의식 중에 나타난 다는 것이다.
즉, 인간의 성(性)과 스트레스의 방어 기재를 비추어 볼때, 인간의 성(性)은 스트레스의 방어적 기재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는 볼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릴수 있었다.
Ⅵ. 결론 도출
우리는 위 연구를 통하여서 스트레스에 대한 정의를 내려보고, 스트레스가 인간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 알아 보았다. 또한 인간이 어떠한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는지 학문적 연구를 해 보았고, 인간이 그 당한 스트레스를 건강한 모습으로 해소하기 위한 방어 기재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그리고 그 학문적 이론들이 실제로 우리의 모습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서 다섯가지의 가설을 세우고 한세대학교 10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해 보았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를 해보았다.
우리는 설문을 통하여서 20대 초반으로 한정되기는 했지만, 인간들이 스트레스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있는지 알아 보았고, 스트레스의 발생 상황과 그 방어 기재에 대해서 연구해 보았다.
설문자들은 스트레스에 대해서 막연한 지식만을 가지고 있었고, 발생 원인이나 방어 기재들에 대해서 지식 혹은 생각을 많이 가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무의식 중에서 방어 기재를 활용하고 있음을 우리는 설문을 통하여서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방어 기재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있는 설문자들이 무의식 중에서도 지식이 없는 설문자들보다 방어 기재를 월등히 높은 비율로 활용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우리가 스트레스를 건강히 해소하고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방어 기재에 대해서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었다.
또한 스트레스 방어 기재에 대한 연구의 연장으로 인간의 성(性)과 스트레스 방어 기재의 활용성을 알아 보았지만, 인간의 성(性)이 방어 기재 활용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지 않음
유
26
1.307692
0.470679
0.092308
무
74
1.351351
0.480651
0.055875
부 인
유
26
1.346154
0.485165
0.095149
무
74
1.405405
0.494322
0.057464
투 사
유
26
1.346154
0.485165
0.095149
무
74
1.310811
0.465985
0.05417
주 지 화
유
26
1.346154
0.485165
0.095149
무
74
1.418919
0.49675
0.057746
합 리 화
유
26
1.346154
0.485165
0.095149
무
74
1.283784
0.453911
0.052766
승 화
유
26
1.307692
0.470679
0.092308
무
74
1.297297
0.460188
0.053496
반동 형성
유
26
1.384615
0.496139
0.097301
무
74
1.324324
0.471317
0.05479
동 일 시
유
26
1.346154
0.485165
0.095149
무
74
1.337838
0.476201
0.055357
치 환
유
26
1.192308
0.401918
0.078823
무
74
1.283784
0.453911
0.052766
위의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스트레스의 대처 방안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의 대처 방안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위의 표를 비추어 볼 때, 방어 기재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스트레스가 발생되었을 때 방어 기재를 사용한다는 설문이 1.2-1.4로 나타나고 있다. 즉 방어 기재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무의식 중에서 방어 기재를 알고 있는 않은 사람들보다 더 많이 나타난 다는 것을 볼 수있다. 또한 아홉 가지의 방어 기재의 평균 치 대답이 거의 유사하게 나오는 것을 비추어 볼 때, 특정 방어기재를 의식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당한 스트레스 상황에 적합한 방어 기재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가 이 연구를 통해 얻고자 했던 결론으로는 방어 기재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있는 사람이 스트레스 상황에 봉면했을 때, 방어 기재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보다 무의식중에서 방어기재가 더 많이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방어 기재에 대한 지식이 있는 사람이 스트레스를 더 건강히 해소 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가고도 볼 수 있겠다.
5. 가설 5 와 그 설문
하나. 인간이 성(性)에 따라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대처하는 모습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알아본다.
방어 기재
성
N
평균
표준편차
평균의표준오차
억압
남
51
1.313725
0.468623
0.06562
여
49
1.367347
0.487078
0.069583
부인
남
51
1.392157
0.493089
0.069046
여
49
1.387755
0.492287
0.070327
투사
남
51
1.333333
0.476095
0.066667
여
49
1.306122
0.465657
0.066522
주지화
남
51
1.352941
0.48264
0.067583
여
49
1.44898
0.502545
0.071792
합리화
남
51
1.27451
0.450708
0.063112
여
49
1.326531
0.473804
0.067686
승화
남
51
1.313725
0.468623
0.06562
여
49
1.285714
0.456435
0.065205
반동형성
남
51
1.333333
0.476095
0.066667
여
49
1.346939
0.480929
0.068704
동일시
남
51
1.333333
0.476095
0.066667
여
49
1.346939
0.480929
0.068704
치환
남
51
1.27451
0.450708
0.063112
여
49
1.244898
0.434483
0.062069
위의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스트레스의 대처 방안에 대해 인간의 성(性)에 따라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 볼 수 있었다. 위의 표를 비추어 볼 때, 인간의 성(性)에 따라 다양한 방어 기재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고, 평균 치가 1.2-1.4 로 유사한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인간이 스트레스 상황에 당했을 때, 인간의 성(性)과 관계없이 방어적 기재가 무의식 중에 나타난 다는 것이다.
즉, 인간의 성(性)과 스트레스의 방어 기재를 비추어 볼때, 인간의 성(性)은 스트레스의 방어적 기재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는 볼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릴수 있었다.
Ⅵ. 결론 도출
우리는 위 연구를 통하여서 스트레스에 대한 정의를 내려보고, 스트레스가 인간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 알아 보았다. 또한 인간이 어떠한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는지 학문적 연구를 해 보았고, 인간이 그 당한 스트레스를 건강한 모습으로 해소하기 위한 방어 기재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그리고 그 학문적 이론들이 실제로 우리의 모습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서 다섯가지의 가설을 세우고 한세대학교 10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해 보았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를 해보았다.
우리는 설문을 통하여서 20대 초반으로 한정되기는 했지만, 인간들이 스트레스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있는지 알아 보았고, 스트레스의 발생 상황과 그 방어 기재에 대해서 연구해 보았다.
설문자들은 스트레스에 대해서 막연한 지식만을 가지고 있었고, 발생 원인이나 방어 기재들에 대해서 지식 혹은 생각을 많이 가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무의식 중에서 방어 기재를 활용하고 있음을 우리는 설문을 통하여서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방어 기재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있는 설문자들이 무의식 중에서도 지식이 없는 설문자들보다 방어 기재를 월등히 높은 비율로 활용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우리가 스트레스를 건강히 해소하고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방어 기재에 대해서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었다.
또한 스트레스 방어 기재에 대한 연구의 연장으로 인간의 성(性)과 스트레스 방어 기재의 활용성을 알아 보았지만, 인간의 성(性)이 방어 기재 활용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지 않음
추천자료
현대사회와 윤리경영 (윤리경영의 사례 중심으로 알아본 현대사회에서의 윤리경영)
현대사회와 여성복지 - 현대사회의 여성문제, 여성복지의 이해, 우리나라의 여성복지정책과 ...
현대사회노인문제 - 현대사회의 노인의 특성 및 노인문제, 바람직한 노후방안
현대사회에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핵가족의 문제로 인한 가족기능의 변화에 대한 대응책...
현대사회에서 급변하는 가족구조에 관련한 신문기사를 찾고 개인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며 ...
[아동복지론] 아동복지의 발전과정 - 사회변화와 아동, 산업화 이전의 아동보호(고대사회, 중...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화가 정신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현대사회신드롬_신드롬속성차별,성차별문제,남녀차별,현대사회의성차별
[현대사회학교폭력현주소] 현대사회 학교폭력의 현주소에 대해 설명하고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현대사회와 유아교육, 아동복지] 현대사회와 아동복지정책 - 아동복지의 개념과 의의, 우리...
[현대사회와 유아교육 보육] 현대사회와 아동교육 - 아동교육의 중요성과 아동교육의 내용 및...
[현대사회와 유아교육 보육] 현대사회와 전자매체 - 아동과 비디오 게임, 아동과 컴퓨터, 컴...
현대사회에서 사회복지의 개념이 점점 확대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며 그 이유를 ...
현대사회에서 개인들에게 나타나는 다양한 사회 위험과 사회 문제들의 유형을 선택하여 여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