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 요
2. 산업의 개요
(1) 국내 시장
(2) 해외 시장
가. 일본 시장
나. 중국시장
3. 국내시장 현황
(1) 경쟁 현황
(2) 유통 현황
(3) 해외시장 현황
가. 일본 시장
나. 중국시장
4. 산업 전망
(1) 성장성
가. 수요 추세
나. 수출입 추이
(2) 수익성
(3) 재무안정성
5. 한성식품 기업분석
(1) 한성기업 개요
(2) 한성식품의 강점
(3) 한성식품의 약점
(4) 한성식품의 향후전략방안
2. 산업의 개요
(1) 국내 시장
(2) 해외 시장
가. 일본 시장
나. 중국시장
3. 국내시장 현황
(1) 경쟁 현황
(2) 유통 현황
(3) 해외시장 현황
가. 일본 시장
나. 중국시장
4. 산업 전망
(1) 성장성
가. 수요 추세
나. 수출입 추이
(2) 수익성
(3) 재무안정성
5. 한성식품 기업분석
(1) 한성기업 개요
(2) 한성식품의 강점
(3) 한성식품의 약점
(4) 한성식품의 향후전략방안
본문내용
치는 주원료인 절임배추나 무 등에 여러 가지 양념류(고춧가루, 마늘, 생강, 파)를 혼합하여 저온에서 젖산 생성에 의해 적절한 숙성과 보존성이 확보되도록 포장되기 전후에 저온에서 발효된 제품으로 정의하고 있다. 김치는 사용되는 주재료에 의해 배추류, 무류, 깍두기류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것을 세분화하면 100여종이 훨씬 넘는다.
[표 1] 김치의 분류
출처 : KIS-LINE
한국의 대표적 전통식품인 김치가 세계적인 식품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계기는 24차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총회에서 제품명을 일본의 ‘기무치’대신 ‘김치(Kimchi)로 통일하는 단일 규격안을 마련하여 김치의 국제 식품규격을 최종 승인한 것이다
김치의 경우 제조원가에서 원재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60%이상으로 높아 원재료의 안정적인 조달이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배추 등 원재료는 계절별 가격 변동폭이 크고 저장성이 약해 안정적인 조달이 쉽지 않다. 폭염, 가뭄, 폭우가 집중되는 하절기(7~9월)에 원재료의 수급불안정으로 수요 및 가격이 급등하는 등 변동폭이 크다. 또한, 최근 배추등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어 환율에 대한 영향력도 커지고 있다.
김치산업은 음식료 산업의 특성상 경기 위축기에 소비가 감소하게 되며, 경기 하강기에는 가정에서의 제조에 의한 대체가 가능해 감소폭이 더욱 크게 나타난다.
2. 산업의 개요
(1) 국내 시장
04년 김치시장은 약 5,630억원 규모로 03년 5,258억원에 비해 7.1% 성장하였다. 그러나 05년에는 김치파동으로 인해 포장김치 전체에 대한 불신이 번져 시장규모가 전년대비 11.2% 감소한 5,000억원 대에 머물렀으며, 06년에도 여전히 정체상태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우리나라 김치의 연간 생산량은 약 150만톤 내외로 그 중 배추김치가 약 70%를 차지하고 총각, 열무, 깍두기, 갓김치 등이 나머지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식생활 서구화 및 핵가족화의 영향으로 최근 1인당 김치 소비량이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03년 들어서면서 사스(SARS)의 영향과 웰빙트랜드 확산으로 감소량이 둔화되었다.
[표 2] 김치시장 규모 (단위:억원)
출처 : 식품유통연감
최근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와 편의성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로 인해 상품김치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94년과 01년을 비교한 자료에 의하면 김치를 직접 담가먹는 비율이 88.8%에서 68.5%로 감소한 반면, 가공품 구입비율은 3.0%에서 9.3%로 증가했다. 최근에는 가정에서 직접 담가먹는 비율이 55%에 지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표 3] 연도별 김치소비량 추이
출처 :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최근 국내 김치시장의 위기는 중국산 김치의 폭발적인 수입 증가에서 비롯되었다. 국내 김치산업은 업소용 김치의 매출이 가정용 김치(포장 및 비포장 포함)의 매출을 합한 수치보다 높은데, 최근 국내산 대비 50~60% 저렴한 중국산 김치가 업소용 김치시장을 점령하게 되어 국내 김치제조업체의 전반적인 매출감소로 이어졌다. 만약, 가정용 김치시장까지 중국산 김치가 유통된다면 국내 김치제조업체의 매출감소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 김치 분류별 시장규모 추이
출처 : 식품유통연감
(2) 해외 시장
가. 일본 시장
일본의 절임야채류 생산은 03년 4.4% 감소에 이어 04년에는 전년대비 8.8% 감소한 103만톤으로 최근 10년중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는 04년 일본의 소비세 총액표시제에 따른 가격 인상과 폭설 등의 기후요인 등으로 인한 국내외 원료부족 등이 원인이 되었다. 04년 일본의 절임야채류의 수입은 전년대비 15.9%증가한 13.2만톤, 244억엔으로 나타났다. 이중 김치위주의 한국산은 3.2만톤, 104억엔으로 전년대비 0.9%증가하였으며, 기타 절임류를 중심으로 한 중국산은 9.4만톤, 119억엔이 수입되어 전년대비 36.2% 증가하였다.
[표 4] 일본의 연도별 절임야채류 수입실적
출처 : 재무성 무역통계
한편, 일본의 김치 생산량은 02년까지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기후 등의 영향에 의한 원료 부족과 중국산 및 한국산 김치의 수입증가 등이 원인이 되어 03년 41만톤에서 04년에는 17.4% 감소한 34.6만을 나타내었다. 한류열풍의 영향으로 한국산 김치수입 증가가 이어져 05년 상반기에는 전년동기대비 약 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일본의 연도별 김치시장 규모
자료 : 재무성 무역통계
김치는 일반 소매점포에서 한국산과 일본산을 함께 취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일본식 마일드 김치와 젓갈을 함유한 한국산 김치로 양극화하여 판매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일본산 김치에도 오징어젓 또는 새우젓을 첨가한 한국풍 김치제품의 생산 및 유통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90년대부터 시작된 일본식 마일드 김치생산 중심에서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김치 이용폭이 확대되고 한국풍 김치선호 경향이 높아져 한국식 김치의 생산이 증가추세에 있으며, 유통업체의 가격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산 원료수입 및 중국 현지생산 기업들도 늘고 있다.
05년말 한국산 김치의 기생충알 검출 파문으로 한국산 김치뿐만 아니라, 일본내 한국산 배추를 사용하는 김치메이커도 매출이 40%까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본내에서는 한국 김치의 선호도가 월등히 높기 때문에 한국산 김치의 안전성이 증명된다면 06년 하반기이후부터 차츰 회복세를 보일것으로 예상된다.
나. 중국시장
지난 몇 년간 중국의 김치를 포함한 절임류의 해외수출 현황을 살펴보면 00년 2억5,220만 달러에서 03년에는 3억1,066만 달러로 증가했으며 최근까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가별 수출현황을 보면 일본으로의 수출이 총 2억2,946만 달러로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높았고, 미국, 홍콩, 한국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중국의 對한국 수출규모는 약 3%정도에 불과하나 수출 증가율은 02년 이후로 매년 100% 이상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05년 한국내 수입되고 있는 중국산 김치에 기생충알 검출에 이어, 중국 당국에서도 한국산 김치에서 기생충알이 발견
[표 1] 김치의 분류
출처 : KIS-LINE
한국의 대표적 전통식품인 김치가 세계적인 식품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계기는 24차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총회에서 제품명을 일본의 ‘기무치’대신 ‘김치(Kimchi)로 통일하는 단일 규격안을 마련하여 김치의 국제 식품규격을 최종 승인한 것이다
김치의 경우 제조원가에서 원재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60%이상으로 높아 원재료의 안정적인 조달이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배추 등 원재료는 계절별 가격 변동폭이 크고 저장성이 약해 안정적인 조달이 쉽지 않다. 폭염, 가뭄, 폭우가 집중되는 하절기(7~9월)에 원재료의 수급불안정으로 수요 및 가격이 급등하는 등 변동폭이 크다. 또한, 최근 배추등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어 환율에 대한 영향력도 커지고 있다.
김치산업은 음식료 산업의 특성상 경기 위축기에 소비가 감소하게 되며, 경기 하강기에는 가정에서의 제조에 의한 대체가 가능해 감소폭이 더욱 크게 나타난다.
2. 산업의 개요
(1) 국내 시장
04년 김치시장은 약 5,630억원 규모로 03년 5,258억원에 비해 7.1% 성장하였다. 그러나 05년에는 김치파동으로 인해 포장김치 전체에 대한 불신이 번져 시장규모가 전년대비 11.2% 감소한 5,000억원 대에 머물렀으며, 06년에도 여전히 정체상태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우리나라 김치의 연간 생산량은 약 150만톤 내외로 그 중 배추김치가 약 70%를 차지하고 총각, 열무, 깍두기, 갓김치 등이 나머지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식생활 서구화 및 핵가족화의 영향으로 최근 1인당 김치 소비량이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03년 들어서면서 사스(SARS)의 영향과 웰빙트랜드 확산으로 감소량이 둔화되었다.
[표 2] 김치시장 규모 (단위:억원)
출처 : 식품유통연감
최근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와 편의성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로 인해 상품김치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94년과 01년을 비교한 자료에 의하면 김치를 직접 담가먹는 비율이 88.8%에서 68.5%로 감소한 반면, 가공품 구입비율은 3.0%에서 9.3%로 증가했다. 최근에는 가정에서 직접 담가먹는 비율이 55%에 지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표 3] 연도별 김치소비량 추이
출처 :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최근 국내 김치시장의 위기는 중국산 김치의 폭발적인 수입 증가에서 비롯되었다. 국내 김치산업은 업소용 김치의 매출이 가정용 김치(포장 및 비포장 포함)의 매출을 합한 수치보다 높은데, 최근 국내산 대비 50~60% 저렴한 중국산 김치가 업소용 김치시장을 점령하게 되어 국내 김치제조업체의 전반적인 매출감소로 이어졌다. 만약, 가정용 김치시장까지 중국산 김치가 유통된다면 국내 김치제조업체의 매출감소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 김치 분류별 시장규모 추이
출처 : 식품유통연감
(2) 해외 시장
가. 일본 시장
일본의 절임야채류 생산은 03년 4.4% 감소에 이어 04년에는 전년대비 8.8% 감소한 103만톤으로 최근 10년중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는 04년 일본의 소비세 총액표시제에 따른 가격 인상과 폭설 등의 기후요인 등으로 인한 국내외 원료부족 등이 원인이 되었다. 04년 일본의 절임야채류의 수입은 전년대비 15.9%증가한 13.2만톤, 244억엔으로 나타났다. 이중 김치위주의 한국산은 3.2만톤, 104억엔으로 전년대비 0.9%증가하였으며, 기타 절임류를 중심으로 한 중국산은 9.4만톤, 119억엔이 수입되어 전년대비 36.2% 증가하였다.
[표 4] 일본의 연도별 절임야채류 수입실적
출처 : 재무성 무역통계
한편, 일본의 김치 생산량은 02년까지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기후 등의 영향에 의한 원료 부족과 중국산 및 한국산 김치의 수입증가 등이 원인이 되어 03년 41만톤에서 04년에는 17.4% 감소한 34.6만을 나타내었다. 한류열풍의 영향으로 한국산 김치수입 증가가 이어져 05년 상반기에는 전년동기대비 약 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일본의 연도별 김치시장 규모
자료 : 재무성 무역통계
김치는 일반 소매점포에서 한국산과 일본산을 함께 취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일본식 마일드 김치와 젓갈을 함유한 한국산 김치로 양극화하여 판매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일본산 김치에도 오징어젓 또는 새우젓을 첨가한 한국풍 김치제품의 생산 및 유통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90년대부터 시작된 일본식 마일드 김치생산 중심에서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김치 이용폭이 확대되고 한국풍 김치선호 경향이 높아져 한국식 김치의 생산이 증가추세에 있으며, 유통업체의 가격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산 원료수입 및 중국 현지생산 기업들도 늘고 있다.
05년말 한국산 김치의 기생충알 검출 파문으로 한국산 김치뿐만 아니라, 일본내 한국산 배추를 사용하는 김치메이커도 매출이 40%까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본내에서는 한국 김치의 선호도가 월등히 높기 때문에 한국산 김치의 안전성이 증명된다면 06년 하반기이후부터 차츰 회복세를 보일것으로 예상된다.
나. 중국시장
지난 몇 년간 중국의 김치를 포함한 절임류의 해외수출 현황을 살펴보면 00년 2억5,220만 달러에서 03년에는 3억1,066만 달러로 증가했으며 최근까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가별 수출현황을 보면 일본으로의 수출이 총 2억2,946만 달러로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높았고, 미국, 홍콩, 한국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중국의 對한국 수출규모는 약 3%정도에 불과하나 수출 증가율은 02년 이후로 매년 100% 이상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05년 한국내 수입되고 있는 중국산 김치에 기생충알 검출에 이어, 중국 당국에서도 한국산 김치에서 기생충알이 발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