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출생력
2. 건강력
3. 영양상태 사정
4. 신체사정
5. 진단적 검사 및 치료계획
-임상검사
-약물
-수혈
-각종검사(임상적의의 포함,)
6.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① BPD; bronchopulmonary dysplasia, 기관지폐이형성증
② NEC; necrotizing enterocolitis, 괴사성장염
7. 미숙아의 특성
8. 실습소감
9. 참고문헌
*부록-검사 보고서(Brain Sono ,안저검사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PKU) ,
**진단(5개)
질환과 관련된출혈.
부종과 관련된 체액과다.
폐 미성숙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처치와 관련된 피부손상.
장기간의 NPO와 관련된 영양결핍위험성.
2. 건강력
3. 영양상태 사정
4. 신체사정
5. 진단적 검사 및 치료계획
-임상검사
-약물
-수혈
-각종검사(임상적의의 포함,)
6.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① BPD; bronchopulmonary dysplasia, 기관지폐이형성증
② NEC; necrotizing enterocolitis, 괴사성장염
7. 미숙아의 특성
8. 실습소감
9. 참고문헌
*부록-검사 보고서(Brain Sono ,안저검사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PKU) ,
**진단(5개)
질환과 관련된출혈.
부종과 관련된 체액과다.
폐 미성숙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처치와 관련된 피부손상.
장기간의 NPO와 관련된 영양결핍위험성.
본문내용
정상범위에 있다.
체온. 호흡양상(호흡수, 호흡음, 리듬, 깊이,
흉부견축정도) 및 피부색을 사정한다.
T:36.5℃, P:155, R:55,피부색은 검은 핑크로. 청색증은 보이지 않음.
호흡, 심박 수, 산소포화도를 모니터한다.
R:55, P:155, SaO2:92%
ABGA를 간헐적으로 측정하여 환아 상태에 맞는 처치를 한다.
ventilator 을 제공한다.
HFV->IMVmode로 전환하여 제공함.
수건을 말아서 환아의 머리와 목 사이에 대주고 목을 신전 시키는 자세를 취해준다.
1시간 마다 suction한다.
색:yellow, 양:moderate
필요시, 수혈한다.
1월 10일 RBC(20cc), pc ph(20cc)를 수혈함.
고체온과 저체온은 모두 무호흡을 유발한다.
모니터를 통한 호흡양상을 사정하고 변화에 대처하기 위함이다.
ABGA로 호흡의 양상을 사정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치료를 계획할 수 있다.
ventilator를 제공하여 기계적 환기를 한다.
환기를 촉진하는 자세를 취해주기 위함이다.
단, 과신전은 오히려 기도를 막을 수 있으므로 주의 한다
suction을 통한 기도개방성을 유지한다.
저산소증을 교정한다.
<1/12>
10일
*PH증가=7.462↑
PCO2증가=48.3↑
PO2감소=68.4↓
HCO3-증가=34.8↑
SaO2 감소=92.9↓
ABGA가 여전히 불균형상태이다.
*1월 8일 ventilator을HFV->IMVmode로 전환하여 제공함.
(Fio255%, RR55,Peep4, PIP12)1:2
처치 후에 SaO2가 감소하면 Fio2를 올려주었다가 SaO2가 정상이 되면 원래의 상태로 바꿔줬다.
*1월 10일 수혈을 하였다.
pc ph 와 RBC를 수혈함.
번호
의미 있는 자료
(주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목 표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평 가
1/8
line을 잡기위해서 처치했던 곳의 skin이 erosion되었다.
Rt ,Lt 팔
Rt다리 , 허벅지
생식기의 주변
ileostomy op site erosion
피부탄력 저하.
처치와 관련된 피부손상.
-손상된 피부가 회복된다.
-더 이상의 피부손상이 없다.
1시간마다 피부의
상태를 사정한다.
Rt ,Lt 팔, Rt다리 , 허벅지,생식기주변, ileostomy op site erosion양상보임.
간호 전후, 손을
깨끗이 씻는다.
1시간마다 dressing을 한다.
n/s으로 irrigation 해주고, 미보(mebo), terramycin 안연고로
Rt ,Lt 팔, Rt다리 , 허벅지, 생식기의주변, ileostomy op site 을 dressing 해줌.
피부손상부위를 거즈로 감싸준다.
Rt ,Lt 팔, Rt다리 , 허벅지를 거즈로 감싸줌.
팔과 다리에 있는 line을 수시로 정리 해주고, 필요시, 옷핀으로 고정(억제대의 효과)하여서 line이나 팔이나 다리의 움직임으로 인해서 더 이상의 피부손상이 없도록 예방한다.
Lt 팔을 감싸 준 거즈에 옷핀으로 고정함.
시트의 주름이 잡히지 않고, 청결히 유지하도록 한다.
혈액채취나, 주사 처치 시, 얇은 포를 대주어서 오염되지 않도록 함.
적절한 영양을 공급한다. TPN으로 영양 공급함.
피부상태를 사정함으로써 또 다른 피부의 손상이 없는지의 여부를 사정한다.
dressing을 통해서 상처의 치유를 촉진한다.
거즈로 감싸줌으로써,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한다.
line을 정리해주고, 필요시, 옷핀으로 고정함을로써 피부손상을 에방한다.
시트를 정리 하고, 청결히 하여, 더 이상의 피부손상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영양결핍은 정상적인 피부통합을 방해하며 적절한 상처치유를 방해함으로 적정한 영양을 공급한다.
<1/12>
Lt다리와 허벅지부분은 피부의 상태가 좋아져서 거즈로 감싸준 부분을 풀러준 상태이다.
그러나, Rt ,Lt 팔과 생식기 주변의 피부는 아직 치료 중인 상태로써, n/s으로 irrigation 해주고,
미보(mebo), terramycin 안연고로 dressing 해준다.
번호
의미 있는 자료
(주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목 표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평 가
1/8
premature
(재태기간 26주,
현재 38주)
체중 8일:2.47kg
장기간의 NPO
(입원 후, 10일을 제외하고는 지속적인 NPO 중이다.)
Albumun 감소
8일: 3.1 mg/dl
피부의 탄력성 저하
장기간의 NPO와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체중의 감소가 없다.
-혈청전해질 및
Alb, 림파구의 수치가 정상범위에 있다.
매일 4 시간 마다 Intake & Output을 모니터한다.
8일:(273.4 / 262)
9일:(291.1 / 349,1회)
10일:(270.6+30+80/ 309, 2회)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66/33mmHg, P:174회
R:55/분, T:36.6℃
혈중 알부민, 림파구, 전해질 수치를 모니터 한다.
Alb=(10일: 2.8↓ mg/dl)
Lymp=(8일:49.6↓,9일:44.1 ↓,10일:56.2)을 모니터 함.
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9일 2.50Kg,
10일 2.46Kg 을 측정함.
TPN(total parental nutrition)을 실시한다.
TPN으로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고 적절한 영양을 제공함.
수액을 통한 영양을 제공한다.
25DW(Tobra+Raci+MVH+HPR+Mg+Phos+Ca+hepa)를 IV함.
input과 output을 check 하여 균형을 맞추기 위함이다.
활력징후는 신체를 사정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이 된다.
혈중 알부민, 림파구의 감소는 영양결핍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대사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체중이 감소되며, 체중감소는 영양상태의 지표이다.
영양결핍을 교정하고 고농도용액을 안전하게 주입.
수액을 통해서 부족한 영양을 제공한다.
<1/11>
*Alb=10일: 2.8↓ mg/dl
Lymp=8일:49.6↓
9일:44.1 ↓
10일:56.2
Na, K, Cl의 전해질수치가
감소하였다.
알부민의 감소 교정을 위해
20%ALBUMIN을 투여함.
*체중의 측정결과:
9일 2.50Kg
10일 2.46Kg으로 감소하였다.
*TPN 과 25DW를 지속적으로 투여하고 있는 중이다.
체온. 호흡양상(호흡수, 호흡음, 리듬, 깊이,
흉부견축정도) 및 피부색을 사정한다.
T:36.5℃, P:155, R:55,피부색은 검은 핑크로. 청색증은 보이지 않음.
호흡, 심박 수, 산소포화도를 모니터한다.
R:55, P:155, SaO2:92%
ABGA를 간헐적으로 측정하여 환아 상태에 맞는 처치를 한다.
ventilator 을 제공한다.
HFV->IMVmode로 전환하여 제공함.
수건을 말아서 환아의 머리와 목 사이에 대주고 목을 신전 시키는 자세를 취해준다.
1시간 마다 suction한다.
색:yellow, 양:moderate
필요시, 수혈한다.
1월 10일 RBC(20cc), pc ph(20cc)를 수혈함.
고체온과 저체온은 모두 무호흡을 유발한다.
모니터를 통한 호흡양상을 사정하고 변화에 대처하기 위함이다.
ABGA로 호흡의 양상을 사정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치료를 계획할 수 있다.
ventilator를 제공하여 기계적 환기를 한다.
환기를 촉진하는 자세를 취해주기 위함이다.
단, 과신전은 오히려 기도를 막을 수 있으므로 주의 한다
suction을 통한 기도개방성을 유지한다.
저산소증을 교정한다.
<1/12>
10일
*PH증가=7.462↑
PCO2증가=48.3↑
PO2감소=68.4↓
HCO3-증가=34.8↑
SaO2 감소=92.9↓
ABGA가 여전히 불균형상태이다.
*1월 8일 ventilator을HFV->IMVmode로 전환하여 제공함.
(Fio255%, RR55,Peep4, PIP12)1:2
처치 후에 SaO2가 감소하면 Fio2를 올려주었다가 SaO2가 정상이 되면 원래의 상태로 바꿔줬다.
*1월 10일 수혈을 하였다.
pc ph 와 RBC를 수혈함.
번호
의미 있는 자료
(주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목 표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평 가
1/8
line을 잡기위해서 처치했던 곳의 skin이 erosion되었다.
Rt ,Lt 팔
Rt다리 , 허벅지
생식기의 주변
ileostomy op site erosion
피부탄력 저하.
처치와 관련된 피부손상.
-손상된 피부가 회복된다.
-더 이상의 피부손상이 없다.
1시간마다 피부의
상태를 사정한다.
Rt ,Lt 팔, Rt다리 , 허벅지,생식기주변, ileostomy op site erosion양상보임.
간호 전후, 손을
깨끗이 씻는다.
1시간마다 dressing을 한다.
n/s으로 irrigation 해주고, 미보(mebo), terramycin 안연고로
Rt ,Lt 팔, Rt다리 , 허벅지, 생식기의주변, ileostomy op site 을 dressing 해줌.
피부손상부위를 거즈로 감싸준다.
Rt ,Lt 팔, Rt다리 , 허벅지를 거즈로 감싸줌.
팔과 다리에 있는 line을 수시로 정리 해주고, 필요시, 옷핀으로 고정(억제대의 효과)하여서 line이나 팔이나 다리의 움직임으로 인해서 더 이상의 피부손상이 없도록 예방한다.
Lt 팔을 감싸 준 거즈에 옷핀으로 고정함.
시트의 주름이 잡히지 않고, 청결히 유지하도록 한다.
혈액채취나, 주사 처치 시, 얇은 포를 대주어서 오염되지 않도록 함.
적절한 영양을 공급한다. TPN으로 영양 공급함.
피부상태를 사정함으로써 또 다른 피부의 손상이 없는지의 여부를 사정한다.
dressing을 통해서 상처의 치유를 촉진한다.
거즈로 감싸줌으로써,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한다.
line을 정리해주고, 필요시, 옷핀으로 고정함을로써 피부손상을 에방한다.
시트를 정리 하고, 청결히 하여, 더 이상의 피부손상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영양결핍은 정상적인 피부통합을 방해하며 적절한 상처치유를 방해함으로 적정한 영양을 공급한다.
<1/12>
Lt다리와 허벅지부분은 피부의 상태가 좋아져서 거즈로 감싸준 부분을 풀러준 상태이다.
그러나, Rt ,Lt 팔과 생식기 주변의 피부는 아직 치료 중인 상태로써, n/s으로 irrigation 해주고,
미보(mebo), terramycin 안연고로 dressing 해준다.
번호
의미 있는 자료
(주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목 표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평 가
1/8
premature
(재태기간 26주,
현재 38주)
체중 8일:2.47kg
장기간의 NPO
(입원 후, 10일을 제외하고는 지속적인 NPO 중이다.)
Albumun 감소
8일: 3.1 mg/dl
피부의 탄력성 저하
장기간의 NPO와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체중의 감소가 없다.
-혈청전해질 및
Alb, 림파구의 수치가 정상범위에 있다.
매일 4 시간 마다 Intake & Output을 모니터한다.
8일:(273.4 / 262)
9일:(291.1 / 349,1회)
10일:(270.6+30+80/ 309, 2회)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66/33mmHg, P:174회
R:55/분, T:36.6℃
혈중 알부민, 림파구, 전해질 수치를 모니터 한다.
Alb=(10일: 2.8↓ mg/dl)
Lymp=(8일:49.6↓,9일:44.1 ↓,10일:56.2)을 모니터 함.
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9일 2.50Kg,
10일 2.46Kg 을 측정함.
TPN(total parental nutrition)을 실시한다.
TPN으로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고 적절한 영양을 제공함.
수액을 통한 영양을 제공한다.
25DW(Tobra+Raci+MVH+HPR+Mg+Phos+Ca+hepa)를 IV함.
input과 output을 check 하여 균형을 맞추기 위함이다.
활력징후는 신체를 사정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이 된다.
혈중 알부민, 림파구의 감소는 영양결핍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대사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체중이 감소되며, 체중감소는 영양상태의 지표이다.
영양결핍을 교정하고 고농도용액을 안전하게 주입.
수액을 통해서 부족한 영양을 제공한다.
<1/11>
*Alb=10일: 2.8↓ mg/dl
Lymp=8일:49.6↓
9일:44.1 ↓
10일:56.2
Na, K, Cl의 전해질수치가
감소하였다.
알부민의 감소 교정을 위해
20%ALBUMIN을 투여함.
*체중의 측정결과:
9일 2.50Kg
10일 2.46Kg으로 감소하였다.
*TPN 과 25DW를 지속적으로 투여하고 있는 중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