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의 현미경 관찰과 염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생물의 현미경 관찰과 염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제목 : 미생물의 현미경 관찰과 염색

2. 실험원리
(1) 현미경
(2) 미생물
(3) 미생물 염색
(4) 그람염색

3. 실험결과
1) 포도상구균 염색결과
2) E.coli 염색결과

4. 고찰

5.참고문헌

본문내용

은색을 띠는 원인이 된다. 반면 탈색처리 과정에서 crystal violet의 흡착이 떨어진 그람음성균의 세포벽에는 safranin 염색약이 잘 염색된다. 그 결과 그람양성균은 crystal violet으로 염색되어 자주색으로 관찰되고, 그람음성균은 safranin 염색약으로 염색되어 빨간색으로 관찰 되는 것이다.
이론상으로는 E.coli는 붉은색 그리고 포도상구균은 자주색으로 관찰되어야 한다. 운이 좋게도 이번 실험은 결과적 오차없이 잘 진행되어 실험결과가 이론적 결과와 일치하였다. 즉, 그람음성균으로 분류되는 E.coli는 붉은색으로 관찰되었고, 그람양성균으로 분류되는 포도상구균은 보라색으로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E.coli는 비교적 세포벽이 얇은 그람음성균이며 포도상구균은 세포벽이 비교적 두꺼운 그람양성균임을 알 수 있다. 즉, E.coli의 세포벽은 80~90%의 펩티도글리칸으로 이루어진 반면에 포도상구균의 세포벽은 10-20%만이 펩티도글리칸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특별히 복잡한 조작이 없었고 단순히 일정시간 동안 염색과 탈색을 반복하는 과정뿐이었다. 따라서 이론으로 예측해 볼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1학년 때의 실험을 통해 현미경 조작법을 잘 익히고 있어서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았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세포벽의 구조적 차이에 따라 세균을 두 종류로 분리할 수 있는 그람염색법과 그 시약에 대해서도 배워볼 수 있었으며, 그람양성균으로 대표되는 포도상구균과 그람음성균으로 대표되는 E.coli의 그람염색 결과를 직접 눈으로 관찰해 볼 수 있었다. 이렇게 직접 육안으로 관찰하는 과정을 통해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 그리고 그람염색에 관해서는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을 듯 하다. 또한 실제로 방선균과 대장균의 형태를 관찰 해 볼 수 있는 유익한 실험이었다. 그러나 실험이 한번에 성공적으로 진행되어 내가 두 번째로 만든 시료를 관찰해 볼 기회가 없었다는 점이 개인적으로 아쉽게 느껴진다.
5.참고문헌
http://ksemt.com/down/mickind.htm
http://myhome.shinbiro.com/~somilove/index.htm
http://cafe.daum.net/mushroom03
http://cms.daegu.ac.kr/sgpark/microbiology/%EC%9B%90%ED%95%B5%EC%A7%84%ED%95%B5.htm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6.0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30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