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문헌고찰
3.본론
1)간호사정(일반정보)
2)신체사정
3)투약
4)진단적 검사
5)간호진단
4.결론
2.문헌고찰
3.본론
1)간호사정(일반정보)
2)신체사정
3)투약
4)진단적 검사
5)간호진단
4.결론
본문내용
-환아의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원인을 사정한 다.
-환아에게 가래를 뱉어 내야 하는 이유를 환아가 이해할 수 있게 잘 설명 한다.
-환자가 분비물 배액을 효율적으로 잘 이행할 수 있도록 중재한다.
-폐의 분비물의 감소여부를 관찰한다.
2.-3// 간호중재
진단
번호
중재
날짜
중 재 내 용
#2
9/13~9/20
-환아의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에 대한 원인을 사정하였다.
->환아는 가래를 뱉어야 하는 이유를 잘 모르고 있으며, 가래 뱉는 것을 어렵게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타진을 통한 체위배액 시 환아는 자신이 맞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환아에게 가래를 뱉어야만 하는 이유에 대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였다.
-환아가 가래를 잘 배출해 낼 시에는, 칭찬하고 격려함을 통하여 환아가 효 육적으로 분비물 배액을 잘 하도록 격려하였다.
-또한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하여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이 용이하도 록 하였다.
-타진을 통한 체위 배액 시행 시에는 타진할 때 환아가 맞는다는 느낌이 들 지 않도록 하였으며, 환아가 체위 배액 시행에 효율적으로 잘 임하도록 칭 찬하고 격려하였다.
-일주일간 호흡 청진을 통해 천식음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환아의 흉부 X-ray 촬영 결과를 통해 폐의 분비물 유무를 관찰하였다.
2.-4 // 간호평가진단
번호
평가
날짜
평 가 내 용
#2
9.20
처음에는 환아가 가래를 뱉어 내는 것을 싫어하고 어려움을 느껴했으나,
가래를 뱉는 것에 대해 잘 설명하고, 가래 배출을 효율적으로 잘 이행시에 칭찬하과 격려를 하였더니, 환아도 자신감을 가지고, 즐겁게 효율적으로 잘 임하게 되었다. 또한 분비물 배출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수분섭취를 격려하였으나 이 부분은 환아가 잘 시행하지 못했다.
가래가 나오면 삼키지 않고, 잘 뱉어 내었고, 타진을 통한 체위 배액 시에도
안 하려하지 않고 잘 임해 주었다.
처음에는 호흡 청진시 천식음이 많이 들렸으나, 점점 천식음이 사라지고,
후에는 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리게 되었다. 또한 흉부 X-ray시 처음에는 분비물이 많이 차 있어 흰부분이 많이 보였는데, 점차 흰부분이 많이 사라지게 되었다.
3.-1// 간호진단
진단
번호
발생
날짜
간 호 진 단
해결
날짜
서명
#3.
9/14
진단명: 질병으로 인한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 과학적 근거
아프거나 입원해 있는 동안 아동의 식욕은 종종 감소한다. 음식의 준비와 제공된 음식 종류는 아동에게 친숙하지 않은 경욱 많다. 입원이 식욕을 상실하게 하는 또 다른 원인이 될 것이다.
▶ 합리적 근거
“아이가 밥은 조금 밖에 안 먹고 군것질만 하려고 해요\"
“엄마가 해주는 것보다 맛이 없어. 나 그냥 초코렛 먹을래”
식사 후 남은 밥의 양을 관찰하면 밥이 많이 남아 있음.
보호자가 환아에게 밥을 더 떠먹이려고 하면, 환아는
인상을 찡그리고 잘 먹지 않으려함.
밥을 안 먹고 초코렛과 사탕을 손에 쥐고 먹고 있음.
9/14~
9/20
3.-2// 간호계획
진단
번호
진 단 명
#3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목표 : 환아의 식사량이 증가하여 그로 인한 영양섭취가 증가된다.
기 대 결 과
간 호 지 시
-환아는 병원식에 낯선느낌을 갖지 않는다.
-환아의 식사량이 증가한다.
-영양이 충분히 공급되어 영양 이 결핍으로 인한 문제가 생기 지 않는다
-환아의 식욕부진의 원인을 사정한다.
-환아가 병원식에 대해 낯설지 않도록 친숙한 느낌 을 갖을 수 있도록 중재한다.
-환아의 식사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중재한다.
-환아의 영양상태를 사정하고, 영양이 결핍되지 않 도록 중재한다.
3.-3// 간호중재
진단
번호
중재
날짜
중 재 내 용
#3
9.14
~
9.20
-환아의 식욕부진에 대한 원인을 사정하였다,
-> 질병과 낯선 병원식으로 인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환아가 병원식에 대해 낯설어 하는 것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환아의 기호식 품을 더 첨가하여 환아가 병원식을 낯설어 하거나 맛없어 하지 않도록 하였 다.
-환아가 밥을 잘 먹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격려하였으며, 밥을 잘 먹어야 되는 이유를 알기 쉽게 설명하고 교육하였다.
-환아의 영양상태를 지속적으로 사정하였으며, 환아의 영양이 결핍되지 않도 록 보호자에게 식이에 대한 교육을 하였다.
3.-4 // 간호평가진단
번호
평가
날짜
평 가 내 용
#3
9.20
환아는 처음에 몸이 많이 아파서, 밥도 잘 먹으려 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환아가 밥을 잘 먹도록 격려 하고, 밥을 잘 먹어야 되는 이유를 지속적으로 설명하교 교육한 결과, 환아는 조금씩 식사량을 늘려 갔으며, 보호자분께서 환아가 좋아하는 음식을 집에서 만들어 오셔서 병원식과 함게 먹였더니 환아는 더욱 좋아하였다. 환아의 영양상태를 지속적으로 사정한 결과 영양결핍으로 인한 문제는 발견되지 않았고, 환아의 충분한 영양섭취로 인하여 환아의 상태도 점차 회복되어져갔다.
Ⅲ.결론
소아과 병동 실습은 실습 하는 동안 기회가 1번 밖에 없어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서 하려고 했던 실습이였던 것 같다. 아직 아동간호학을 많이 배우고 나오지 못해서 모르는 것이 참 많았지만, 이번 소아과 실습을 통하여, 아동의 질환과 치료 및 간호 등에 대해서 많은 것들을 배우게 된 것 같아 좋았다. 폐렴 환아의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하여 폐렴이라는 질환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폐렴 환아에 대하 간호 사정, 진단 및 중재를 해봄으로써 아동간호를 공부하는 나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아직도 모르는 것들이 너무 많은 가운데 소아과 실습은 끝나가지만, 실습 후 학교에 들어가서 아동간호학 수업을 들을 때 이번에 실습 하면서 배웠던 것들이 이론학습을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참고문헌
이성호 외 10명, 인체해부학, 현문사, 1999 330~336page
권광일, 질병의 임상약물 요법 , 신일상사, 2003 567~576
김계숙, 아동간호학,수문사,1991 859~860 page.
전시자외 9명,성인간호학, 현문사, 2005 724page
조결자외 7명, 가족중심의 아동간호학, 현문사, 2005 463page
-환아에게 가래를 뱉어 내야 하는 이유를 환아가 이해할 수 있게 잘 설명 한다.
-환자가 분비물 배액을 효율적으로 잘 이행할 수 있도록 중재한다.
-폐의 분비물의 감소여부를 관찰한다.
2.-3// 간호중재
진단
번호
중재
날짜
중 재 내 용
#2
9/13~9/20
-환아의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에 대한 원인을 사정하였다.
->환아는 가래를 뱉어야 하는 이유를 잘 모르고 있으며, 가래 뱉는 것을 어렵게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타진을 통한 체위배액 시 환아는 자신이 맞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환아에게 가래를 뱉어야만 하는 이유에 대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였다.
-환아가 가래를 잘 배출해 낼 시에는, 칭찬하고 격려함을 통하여 환아가 효 육적으로 분비물 배액을 잘 하도록 격려하였다.
-또한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하여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이 용이하도 록 하였다.
-타진을 통한 체위 배액 시행 시에는 타진할 때 환아가 맞는다는 느낌이 들 지 않도록 하였으며, 환아가 체위 배액 시행에 효율적으로 잘 임하도록 칭 찬하고 격려하였다.
-일주일간 호흡 청진을 통해 천식음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환아의 흉부 X-ray 촬영 결과를 통해 폐의 분비물 유무를 관찰하였다.
2.-4 // 간호평가진단
번호
평가
날짜
평 가 내 용
#2
9.20
처음에는 환아가 가래를 뱉어 내는 것을 싫어하고 어려움을 느껴했으나,
가래를 뱉는 것에 대해 잘 설명하고, 가래 배출을 효율적으로 잘 이행시에 칭찬하과 격려를 하였더니, 환아도 자신감을 가지고, 즐겁게 효율적으로 잘 임하게 되었다. 또한 분비물 배출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수분섭취를 격려하였으나 이 부분은 환아가 잘 시행하지 못했다.
가래가 나오면 삼키지 않고, 잘 뱉어 내었고, 타진을 통한 체위 배액 시에도
안 하려하지 않고 잘 임해 주었다.
처음에는 호흡 청진시 천식음이 많이 들렸으나, 점점 천식음이 사라지고,
후에는 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리게 되었다. 또한 흉부 X-ray시 처음에는 분비물이 많이 차 있어 흰부분이 많이 보였는데, 점차 흰부분이 많이 사라지게 되었다.
3.-1// 간호진단
진단
번호
발생
날짜
간 호 진 단
해결
날짜
서명
#3.
9/14
진단명: 질병으로 인한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 과학적 근거
아프거나 입원해 있는 동안 아동의 식욕은 종종 감소한다. 음식의 준비와 제공된 음식 종류는 아동에게 친숙하지 않은 경욱 많다. 입원이 식욕을 상실하게 하는 또 다른 원인이 될 것이다.
▶ 합리적 근거
“아이가 밥은 조금 밖에 안 먹고 군것질만 하려고 해요\"
“엄마가 해주는 것보다 맛이 없어. 나 그냥 초코렛 먹을래”
식사 후 남은 밥의 양을 관찰하면 밥이 많이 남아 있음.
보호자가 환아에게 밥을 더 떠먹이려고 하면, 환아는
인상을 찡그리고 잘 먹지 않으려함.
밥을 안 먹고 초코렛과 사탕을 손에 쥐고 먹고 있음.
9/14~
9/20
3.-2// 간호계획
진단
번호
진 단 명
#3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목표 : 환아의 식사량이 증가하여 그로 인한 영양섭취가 증가된다.
기 대 결 과
간 호 지 시
-환아는 병원식에 낯선느낌을 갖지 않는다.
-환아의 식사량이 증가한다.
-영양이 충분히 공급되어 영양 이 결핍으로 인한 문제가 생기 지 않는다
-환아의 식욕부진의 원인을 사정한다.
-환아가 병원식에 대해 낯설지 않도록 친숙한 느낌 을 갖을 수 있도록 중재한다.
-환아의 식사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중재한다.
-환아의 영양상태를 사정하고, 영양이 결핍되지 않 도록 중재한다.
3.-3// 간호중재
진단
번호
중재
날짜
중 재 내 용
#3
9.14
~
9.20
-환아의 식욕부진에 대한 원인을 사정하였다,
-> 질병과 낯선 병원식으로 인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환아가 병원식에 대해 낯설어 하는 것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환아의 기호식 품을 더 첨가하여 환아가 병원식을 낯설어 하거나 맛없어 하지 않도록 하였 다.
-환아가 밥을 잘 먹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격려하였으며, 밥을 잘 먹어야 되는 이유를 알기 쉽게 설명하고 교육하였다.
-환아의 영양상태를 지속적으로 사정하였으며, 환아의 영양이 결핍되지 않도 록 보호자에게 식이에 대한 교육을 하였다.
3.-4 // 간호평가진단
번호
평가
날짜
평 가 내 용
#3
9.20
환아는 처음에 몸이 많이 아파서, 밥도 잘 먹으려 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환아가 밥을 잘 먹도록 격려 하고, 밥을 잘 먹어야 되는 이유를 지속적으로 설명하교 교육한 결과, 환아는 조금씩 식사량을 늘려 갔으며, 보호자분께서 환아가 좋아하는 음식을 집에서 만들어 오셔서 병원식과 함게 먹였더니 환아는 더욱 좋아하였다. 환아의 영양상태를 지속적으로 사정한 결과 영양결핍으로 인한 문제는 발견되지 않았고, 환아의 충분한 영양섭취로 인하여 환아의 상태도 점차 회복되어져갔다.
Ⅲ.결론
소아과 병동 실습은 실습 하는 동안 기회가 1번 밖에 없어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서 하려고 했던 실습이였던 것 같다. 아직 아동간호학을 많이 배우고 나오지 못해서 모르는 것이 참 많았지만, 이번 소아과 실습을 통하여, 아동의 질환과 치료 및 간호 등에 대해서 많은 것들을 배우게 된 것 같아 좋았다. 폐렴 환아의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하여 폐렴이라는 질환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폐렴 환아에 대하 간호 사정, 진단 및 중재를 해봄으로써 아동간호를 공부하는 나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아직도 모르는 것들이 너무 많은 가운데 소아과 실습은 끝나가지만, 실습 후 학교에 들어가서 아동간호학 수업을 들을 때 이번에 실습 하면서 배웠던 것들이 이론학습을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참고문헌
이성호 외 10명, 인체해부학, 현문사, 1999 330~336page
권광일, 질병의 임상약물 요법 , 신일상사, 2003 567~576
김계숙, 아동간호학,수문사,1991 859~860 page.
전시자외 9명,성인간호학, 현문사, 2005 724page
조결자외 7명, 가족중심의 아동간호학, 현문사, 2005 463pag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