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중(金萬重)의 구운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만중(金萬重)의 구운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작가소개
2) 유형과 구조
3) 구운몽의 이본
4) 작품의 줄거리
5) 작품의 연구사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럼 하룻밤의 꿈처럼 여기지 않을 것이다. 하루를 살아도 알차게 살았다면 내 자신에게 ‘그래 오늘 하루도 수고 많았어’ 라고 생각한 하루를 보냈다면 그것 보다 더 좋은 것이 어디 있겠는가. 구운몽은 나에게 있어 지금껏 무심코 흘려버리는 하루하루를 다시금 소중하게 여길 수 있게 해 준 작품이다.
◎ 마무리
이와 같이 『구운몽』은 대승불교의 중심 경전인 [금강경]이 바탕된 공관을 주제로 하면서, 내용과 형식상의 조화의 극을 이루어 한국 서사 문학 사상 인도,중국,한국,일본 등 범동양을 휘감을 대작을 매듭 지었던 것이다. 더욱이 근자에 『구운몽』이 중국으로 역수출되어 청대에 <구운루>로 이루어졌다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구운몽』은 환몽구조(Fantasy Structure)의 소설로서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대작임이 한층 더 극명하게 밝혀지게 되었다. 이 문제는 한중문학의 비교에 있어서 \'중국에서 한국으로\'라는 식의 단향의 관계가 아니라 쌍향의 관계에 눈을 돌려야 할 필요성을 밝혀준 것으로, 『구운몽』이 지닌 의의를 극명히 보여준 예이다. 주인공 양소유가 입신양명을 해 나라를 위해 충서하고 부모를 효도하는 모습과 성진이 세속의 즐거움을 잠시 맛보다가 그 허무함을 깨닫고 해탈하는 모습ㅡ물과 기름처럼 어울리지 못할 듯한 유교와 불교의 색채가 절묘하게 조화되어 있어 가히 한국 고전 문학의 최고봉으로 꼽힐 명작이라 할 만하다.
※ 참고문헌
-조동일, 『한국 문화 통사』 지식 산업사, 1994
- 정규복, 『구운몽 노존본의 이분화』, 동방학지, 연세대 국학연구원, 1988
- 장효원, 『한국고전소설사연구』, 고려대학교출판부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6.16
  • 저작시기200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53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