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에피쿠로스 사상의 형성 배경
2. 에피쿠로스 사상의 전반적 체계
2.1 규준학 - 진리의 기준으로서 감각 (인식론 내지 논리학에 해당)
2.2 윤리학을 위한 원자론
2.2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에서 에피쿠로스의 윤리학으로의 전개
2.4 행복의 윤리학
Ⅲ. 결론
Ⅱ. 본론
1. 에피쿠로스 사상의 형성 배경
2. 에피쿠로스 사상의 전반적 체계
2.1 규준학 - 진리의 기준으로서 감각 (인식론 내지 논리학에 해당)
2.2 윤리학을 위한 원자론
2.2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에서 에피쿠로스의 윤리학으로의 전개
2.4 행복의 윤리학
Ⅲ. 결론
본문내용
를 만나고 싶다.
결국 모든 학문이나 진리추구는 ‘인간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추구이며 성찰이 아닐까 싶다. 실존하는 나에 대한 성찰은 곧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의 다름 아니며, 이에 대한 고민은 개인들로 구성된 ‘사회에 대한 이해’로 나아가며, 이는 역으로 다시, ‘사회속의 개인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의 문제이기도 한 것이다.
요즘은 ‘웰빙’의 상업적 열풍의 덕분인지, 다시 정신적인 즐거움에 대해서 이야기하기 시작한다. 그들은 한결같이 물신주의가 팽배한 현대사회를 비판하고 있으며, 무소유나 정신적인 삶에 관한 책들을 서점에 넘쳐나게 만들었다. 이것은 정말로 우리사회가 천민자본주의의 물신화가 위험 수위에 도달하도 있다는 반증이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무욕을 강조하는 이러한 책들은 대중들에게 손쉽게 다가가, 좌절된 욕망을 잠시나마 심리적으로 위안해주면서 교묘한 방식으로 대중의 욕망을 다시금 조정해 이에 편승해 실리를 취한다. 이는 개인들 각자의 본질을 건드리지 않는다.
오늘날 우리는 무엇이 진정한 즐거움인지에 대한 성찰이 결여되어 있다. 아니 그보다 앞서 좋은 것을 좋은 것으로서 접할 수 있는 기회도 없을뿐더러 교육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현대사회는 개인의 욕망과 이기심을 부추김으로써 자본주의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그 안의 개인은 얼마나 무력하고, 구조가 만들어내는 욕망의 노예가 되어서 살고 있는 것은 아닌가. 오히려 현대사회에서 에피쿠로스와 같은 구도자 적인 실천적 삶을 살려는 과정은 외려 개인에게 고통의 시간은 아닌가. 왜냐하면 소유의 방식이 일상적인 사회에서 존재의 방식으로 살아가기란 연어가 강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것처럼 끊임없이 쉬지 않는 의식적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문명을 등지고 숲으로 들어간 미국의 18세기 지식인 헨리 데이빗 소로우는 『월든』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마치 에피쿠로스처럼.
“내가 숲으로 들어간 것은 삶을 내 자신의 의지대로 살아보기 위해서였다. 다시 말해 오직 삶의 본질적인 문제들만을 마주하면서, 삶이 가르쳐 주는 것들을 내가 배울 수 있는지 알고 싶어서였다. 그리하여 마침내 죽음을 맞이했을 때 내가 헛되이 살지 않았다고 깨닫고 싶었기 때문이다. 산다는 것은 그토록 소중한 것이기 때문에 나는 진정한 삶이 아닌 삶은 살고 싶지 않았다.”
지혜란 전체적인 관점에서 그 무엇을 바라보는 것이 아닐까 싶다. 마찬가지로 소중한 우리의 삶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전체로서 바라볼 때 근본적인 가치에 대해 성찰이 생길 것이다. 에피쿠로스의 철학은 비단 그 당시의 대중에 대한 계몽이기 앞서 현대를 사는 우리들의 삶의 태도와 방식에 대한 계몽이기도 한 것이다. 또한 에피쿠로스의 사상은 ‘철학이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자기규정의 물음 앞에서 그야말로 인간을 위한 철학, 삶을 위한 철학을 이야기한 ‘철학적 인간학’이라고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에피쿠로스 지음, 오유석 옮김,『쾌락』, 문학과 지성사, 1998
한석환,「에피쿠로스와 진리의 기준」, 한국서양고전학회. 2001
K. Marx『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고병권 옮김, 그린비, 2001
스털링 P. 렘프레히트 지음, 『서양철학사』, 을유문화사, 1998
서양 고중세 철학사 보고서
“에피쿠로스 사상의 전개 및
삶의 방식에 관한 철학”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에피쿠로스 사상의 형성 배경
2. 에피쿠로스 사상의 전반적 체계
2.1 규준학 - 진리의 기준으로서 감각 (인식론 내지 논리학에 해당)
2.2 윤리학을 위한 원자론
2.2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에서 에피쿠로스의 윤리학으로의 전개
2.4 행복의 윤리학
Ⅲ. 결론
결국 모든 학문이나 진리추구는 ‘인간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추구이며 성찰이 아닐까 싶다. 실존하는 나에 대한 성찰은 곧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의 다름 아니며, 이에 대한 고민은 개인들로 구성된 ‘사회에 대한 이해’로 나아가며, 이는 역으로 다시, ‘사회속의 개인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의 문제이기도 한 것이다.
요즘은 ‘웰빙’의 상업적 열풍의 덕분인지, 다시 정신적인 즐거움에 대해서 이야기하기 시작한다. 그들은 한결같이 물신주의가 팽배한 현대사회를 비판하고 있으며, 무소유나 정신적인 삶에 관한 책들을 서점에 넘쳐나게 만들었다. 이것은 정말로 우리사회가 천민자본주의의 물신화가 위험 수위에 도달하도 있다는 반증이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무욕을 강조하는 이러한 책들은 대중들에게 손쉽게 다가가, 좌절된 욕망을 잠시나마 심리적으로 위안해주면서 교묘한 방식으로 대중의 욕망을 다시금 조정해 이에 편승해 실리를 취한다. 이는 개인들 각자의 본질을 건드리지 않는다.
오늘날 우리는 무엇이 진정한 즐거움인지에 대한 성찰이 결여되어 있다. 아니 그보다 앞서 좋은 것을 좋은 것으로서 접할 수 있는 기회도 없을뿐더러 교육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현대사회는 개인의 욕망과 이기심을 부추김으로써 자본주의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그 안의 개인은 얼마나 무력하고, 구조가 만들어내는 욕망의 노예가 되어서 살고 있는 것은 아닌가. 오히려 현대사회에서 에피쿠로스와 같은 구도자 적인 실천적 삶을 살려는 과정은 외려 개인에게 고통의 시간은 아닌가. 왜냐하면 소유의 방식이 일상적인 사회에서 존재의 방식으로 살아가기란 연어가 강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것처럼 끊임없이 쉬지 않는 의식적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문명을 등지고 숲으로 들어간 미국의 18세기 지식인 헨리 데이빗 소로우는 『월든』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마치 에피쿠로스처럼.
“내가 숲으로 들어간 것은 삶을 내 자신의 의지대로 살아보기 위해서였다. 다시 말해 오직 삶의 본질적인 문제들만을 마주하면서, 삶이 가르쳐 주는 것들을 내가 배울 수 있는지 알고 싶어서였다. 그리하여 마침내 죽음을 맞이했을 때 내가 헛되이 살지 않았다고 깨닫고 싶었기 때문이다. 산다는 것은 그토록 소중한 것이기 때문에 나는 진정한 삶이 아닌 삶은 살고 싶지 않았다.”
지혜란 전체적인 관점에서 그 무엇을 바라보는 것이 아닐까 싶다. 마찬가지로 소중한 우리의 삶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전체로서 바라볼 때 근본적인 가치에 대해 성찰이 생길 것이다. 에피쿠로스의 철학은 비단 그 당시의 대중에 대한 계몽이기 앞서 현대를 사는 우리들의 삶의 태도와 방식에 대한 계몽이기도 한 것이다. 또한 에피쿠로스의 사상은 ‘철학이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자기규정의 물음 앞에서 그야말로 인간을 위한 철학, 삶을 위한 철학을 이야기한 ‘철학적 인간학’이라고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에피쿠로스 지음, 오유석 옮김,『쾌락』, 문학과 지성사, 1998
한석환,「에피쿠로스와 진리의 기준」, 한국서양고전학회. 2001
K. Marx『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고병권 옮김, 그린비, 2001
스털링 P. 렘프레히트 지음, 『서양철학사』, 을유문화사, 1998
서양 고중세 철학사 보고서
“에피쿠로스 사상의 전개 및
삶의 방식에 관한 철학”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에피쿠로스 사상의 형성 배경
2. 에피쿠로스 사상의 전반적 체계
2.1 규준학 - 진리의 기준으로서 감각 (인식론 내지 논리학에 해당)
2.2 윤리학을 위한 원자론
2.2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에서 에피쿠로스의 윤리학으로의 전개
2.4 행복의 윤리학
Ⅲ. 결론
추천자료
- 친사회적 행동과 사회화
- 안락사[euthanasia, 安樂死] 보고서
- 플라톤과 동굴의 비유
- [김동인][감자][독후감][독서감상문][독서][감상문][서평]김동인의 감자를 읽고, 김동인의 감...
- 시장과 이윤지향의 소비주의에 대하여 -프롬의 입장에 비추어
- 안락사의 정의 윤리적 문제 및 찬성과 반대의 입장
- 2009년 중국의 인터넷발전현황
- 안락사에 관한 보고서
- 윤리적 문제 안락사
- 윤리수행평가 칸트 공리주의
- [독후감]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The picture of Dorian Gray)을 읽고 _ 오스카 와일드(Oscar ...
- 학교 생활지도와 생활지도의 필요성
- 로마시대 철학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청소년을 위한 교회 교육지침에 관한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