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인도 사람들
2. 인도의 언어
1) 언어 현황
2) 인도의 언어계통 (4가지 어족)
3) 인도의 공용어
4) 인도의 지정어
5) 주의 재편성
6) 영어
Ⅲ. 결 론
Ⅱ. 본 론
1. 인도 사람들
2. 인도의 언어
1) 언어 현황
2) 인도의 언어계통 (4가지 어족)
3) 인도의 공용어
4) 인도의 지정어
5) 주의 재편성
6) 영어
Ⅲ. 결 론
본문내용
였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중앙 정부와 주 정부에 정치적 부담을 주는 지역적 사회적 갈등을 야기 시켰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 볼 때 언어를 기준으로 한 주의 재편성은 적어도 지역내이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대다수에게 동질감을 부여함으로써 지역 정체성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장점을 보여주고 있다.
6) 영어
영어가 인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나 될까? 영어는 17세기에 인도에 소개되었으며 영령인도시대에 인도의 통치어로 사용되면서 그 기반을 굳히고 독립 이후에도 인도어들 간에 공용어 문제를 놓고 갈등이 심화되고 있을 때 정치 사회적으로 중립적인 언어인 동시에 국제어로 인식되면서 인도의주요 언어로 발전하게 되었다. 인도영어 병용자는 3~4%에 불과하지만 불완전하나마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구수도 상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인도인들의 이러한 영어능력이 최근에 정보산업을 비롯한 여러 국제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언어 간의 위계구조를 볼 때 영어는 상위언어로서 공적인 영역에서 주된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 편으로 언어사용의 모든 영역에서 힌디어를 비롯한 주요 인도어들이 영어를 대체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와 노력을 보여왔으며 실제 그 비중이 높아가고 있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Ⅲ. 결 론
언어는 한 나라의 문화를 이루는 구조 가운데 매우 중요하고 기초가 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한국어’를 ‘모어(母語)’로 삼는 국민들이 살기 때문에 ‘국어’와 ‘한국어’가 같은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경우 국어가 한국어의 줄임말이라면 어색하지 않겠지만. 언어분류에 의해 National Language를 의미한다면 조금 혼란스러움이 생길 수도 있다. 만약 우리나라도 인도처럼 한국어만을 모어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이 국민으로 생활한다면 국어의 의미는 더욱 애매해 질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인도의 독립 후 힌디어를 인도의 국어로 채택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났을 때 수많은 반발과 반대에 부딪혔던 것이다.
인도에서 언어는 종교와 더불어 지역과 공동체의 정체성 확립, 국가 형성의 기초로 작용해온 중요한 요소이다. 인도의 역사를, 인도의 사회를 구성하는 4개의 주요 종족과 어족, 그들의 발전과 대립, 조화는 지금의 인도를 있게 한 장본인이 된다.
인도와 같이 다언어 사회에서는 그에 따른 정치, 사회, 종교, 지역적으로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공용어와 지정어의 선정이라든지, 언어에 따른 주의 재편성 문제라든지 그들의 정책이 자리를 잡기까지는 소수의 언어 사용자들의 반발에 따른 상당한 진통이 있었음은 자명한 일이다. 또한 그 진통을 겪고 이루어 낸 힌디어를 비롯한 지정어의 채택이 만족할 만큼의 결과를 가져오지도 못했다.
하지만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다양성을 배려하는 인도인들의 전통적인 사상과 의식 덕분에 이러한 진통과 어려움 속에서도 서로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영국으로부터의 독립 후 18개의 언어를 공용어로 결정하면서 한 “상대를 부정하고 배제해서는 공존할 수 없다. 다양한 것이 함께 존재하려면 서로를 인정해 주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다.”는 말이 뇌리에서 떠나지 않는다.
<도표1> 지정어 사용인구 및 공용어 채택지역 현황 (단위: 십만)
언어
공용어채택지역
모어(母語) 인구수
모어 인구 비율(%)
1981
1991
1981
1991
힌디(Hindi)
델리외 9개주
2645
3,372
38.71
39.85
방글리(Bengali)
서벵갈
512
695
7.51
8.22
뗄루구(Telugu)
안드라쁘라데시
506
660
7.41
7.80
마라티(Marathi)
마하라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 볼 때 언어를 기준으로 한 주의 재편성은 적어도 지역내이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대다수에게 동질감을 부여함으로써 지역 정체성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장점을 보여주고 있다.
6) 영어
영어가 인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나 될까? 영어는 17세기에 인도에 소개되었으며 영령인도시대에 인도의 통치어로 사용되면서 그 기반을 굳히고 독립 이후에도 인도어들 간에 공용어 문제를 놓고 갈등이 심화되고 있을 때 정치 사회적으로 중립적인 언어인 동시에 국제어로 인식되면서 인도의주요 언어로 발전하게 되었다. 인도영어 병용자는 3~4%에 불과하지만 불완전하나마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구수도 상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인도인들의 이러한 영어능력이 최근에 정보산업을 비롯한 여러 국제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언어 간의 위계구조를 볼 때 영어는 상위언어로서 공적인 영역에서 주된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 편으로 언어사용의 모든 영역에서 힌디어를 비롯한 주요 인도어들이 영어를 대체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와 노력을 보여왔으며 실제 그 비중이 높아가고 있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Ⅲ. 결 론
언어는 한 나라의 문화를 이루는 구조 가운데 매우 중요하고 기초가 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한국어’를 ‘모어(母語)’로 삼는 국민들이 살기 때문에 ‘국어’와 ‘한국어’가 같은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경우 국어가 한국어의 줄임말이라면 어색하지 않겠지만. 언어분류에 의해 National Language를 의미한다면 조금 혼란스러움이 생길 수도 있다. 만약 우리나라도 인도처럼 한국어만을 모어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이 국민으로 생활한다면 국어의 의미는 더욱 애매해 질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인도의 독립 후 힌디어를 인도의 국어로 채택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났을 때 수많은 반발과 반대에 부딪혔던 것이다.
인도에서 언어는 종교와 더불어 지역과 공동체의 정체성 확립, 국가 형성의 기초로 작용해온 중요한 요소이다. 인도의 역사를, 인도의 사회를 구성하는 4개의 주요 종족과 어족, 그들의 발전과 대립, 조화는 지금의 인도를 있게 한 장본인이 된다.
인도와 같이 다언어 사회에서는 그에 따른 정치, 사회, 종교, 지역적으로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공용어와 지정어의 선정이라든지, 언어에 따른 주의 재편성 문제라든지 그들의 정책이 자리를 잡기까지는 소수의 언어 사용자들의 반발에 따른 상당한 진통이 있었음은 자명한 일이다. 또한 그 진통을 겪고 이루어 낸 힌디어를 비롯한 지정어의 채택이 만족할 만큼의 결과를 가져오지도 못했다.
하지만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다양성을 배려하는 인도인들의 전통적인 사상과 의식 덕분에 이러한 진통과 어려움 속에서도 서로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영국으로부터의 독립 후 18개의 언어를 공용어로 결정하면서 한 “상대를 부정하고 배제해서는 공존할 수 없다. 다양한 것이 함께 존재하려면 서로를 인정해 주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다.”는 말이 뇌리에서 떠나지 않는다.
<도표1> 지정어 사용인구 및 공용어 채택지역 현황 (단위: 십만)
언어
공용어채택지역
모어(母語) 인구수
모어 인구 비율(%)
1981
1991
1981
1991
힌디(Hindi)
델리외 9개주
2645
3,372
38.71
39.85
방글리(Bengali)
서벵갈
512
695
7.51
8.22
뗄루구(Telugu)
안드라쁘라데시
506
660
7.41
7.80
마라티(Marathi)
마하라
추천자료
독일낭만주의의 불교수용에 관한 고찰
구조주의와 소쉬르에 대한 고찰
유럽문자의 기원
[동남아시아][동남아시아문화]동남아시아의 민족, 동남아시아의 언어, 동남아시아의 명칭, 동...
[카스트제도] 카스트제도 완전분석
동남 아시아의 Indianization
방글라데시 디아스포라 역사와 규모, 특징, 이주요인, 해외이주정책, 언어, 주민, 용어 경제...
티베트 청년회(TYC) 역사와 규모, 특징, 이주요인, 해외이주정책, 언어, 주민, 용어 경제적 ...
쿠르디스탄 디아스포라(Kurdistan diaspora) 역사와 규모, 특징, 이주요인, 해외이주정책, 언...
베트남 보트피플(Vietnamese Boat People) 역사와 규모, 특징, 이주요인, 해외이주정책, 언어...
LG전자를,글로벌경영,해외진출,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산스크리트어 (Sanskrit)
[류시화시인론] 『영혼존재 의미를 찾는 신비적 글쓰기』
[국제정치의 이해] 개입과 간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