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문
1. 티베트에 대하여
2. 티베트의 역사
3. 티베트 망명정부
4. 티베트 독립운동
5. TYC에 대하여
(1) 유래
(2) 목표 및 목적
(3) 지역장
(4) 캠페인
(5) 티베트를 위해 할 수 있는 일
(6) IFTYC에 대하여
(7) 기금
Ⅲ. 마치며
※ 참고 사이트
Ⅱ. 본문
1. 티베트에 대하여
2. 티베트의 역사
3. 티베트 망명정부
4. 티베트 독립운동
5. TYC에 대하여
(1) 유래
(2) 목표 및 목적
(3) 지역장
(4) 캠페인
(5) 티베트를 위해 할 수 있는 일
(6) IFTYC에 대하여
(7) 기금
Ⅲ. 마치며
※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티베트의 친구들이 그 작품에 대한 감상 중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을 반영합니다. TYC 사무실에서 풀타임 근무 Centrex의 회원은, 주택이나 의료 수당과 같은 별도의 혜택이 없이 소액의 급여를 받는다. 이것은 관리 비용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Centrex
president@tibetanyouthcongress.org
vicepresident@tibetanyouthcongress.org
gensec@tibetanyouthcongress.org
jointsec@tibetanyouthcongress.org
orgsec@tibetanyouthcongress.org
financesec@tibetanyouthcongress.org
infosec@tibetanyouthcongress.org
intelrelsec@tibetanyouthcongress.org
culsec@tibetanyouthcongress.org
socialservicesec@tibetanyouthcongress.org
Ⅲ. 마치며
솔직히 레포트 주제를 받았을 때, 큰 부담이 없었다. 레포트 형식이 문제의식이나 논지가 드러나야 하는 논문 형식이 아닌 보고서 형식이었기 때문에 금방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 것이 오산이었다. 우선 디비피디아 등에서 검색해 본 결과, TYC는 물론이고 티베트에 대한 논문도 10페이지를 넘기지 않았다. 이러한 논문들도 레포트 주제에서 벗어난 것이 대부분이었다. 믿었던 위키피디아에서 조차 TYC에 대한 정보는 한 페이지가 되지 않았고, 그것은 또한 불행하게도 영문이었다. 나는 울고 싶었다. TYC 공식 홈페이지도 당연히 영문일뿐더러 한국이라서 그런 건지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는 링크가 부지기 수였다. 울며 겨자먹기로 구글 번역 사이트를 이용하여 번역을 시도하였지만 한 문장도 제대로 된 번역이 없었다. 나는 정말 울고 싶었다. 번역된 문장과 영문을 비교하고, 영어 단어 뜻을 찾아보고 짧은 영어 실력으로 번역을 하자니 시간이 배로 걸렸다. TYC 부분은 중간 중간 해석이 엉터리로 된 것이 꽤 있을 것이다. 그동안은 어학연수에 대해서 부정적이었던 나였지만 이번에 진지하게 어학연수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시간에 쫓기면서 하느라 엉성한 부분이 많다. TYC에 대한 자료는 턱없이 부족하고, 언어는 안 되고 매번 레포트 하면서 이렇게 힘들었겠지만, 대학 4년 동안 했던 레포트 중에서 가장 힘들게 했음에도 부족한 레포트가 아닌가하는 자괴감이 든다.
수업시간에 티베트에서 다루었기도 하였지만 이번에 레포트를 쓰기 위해 다시 조사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 많다. 디아스포라라는 단어도 이 수업을 통해 처음 들었고, 아직도 세계 곳곳에서 얼마나 많은 분쟁이 발생하고 있는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국가가 없어서 고통 받고 있는지도 알게 되었다. 특히 티베트 디아스포라와 위구르족에 대한 내용이 기억에 남는다. 나는 티베트 불교와 달라이 라마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긴 하였으나, 중국의 탄압이 이정도로 무시무시할 줄 몰랐다. 우리나라의 5.18민주화항쟁이 떠올랐다. 아니, 그것보단 일제강점기가 적합하다. 중국 정부의 입장은 1980년대의 전두환 정부의 입장을 닮았다. 정부가 광주사태라고 명명하며 광주시민들을 폭도로 매도한 것과 마찬가지로 달라이 라마와 티베트 승려들을 역적으로 매도한다. 티베트인들의 입장에서 볼 때, 그들은 한국이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긴 것과 마찬가지로 그들은 나라를 잃은 것이다. 빼앗긴 것이다. 그들의 우리의 독립군이 그랬던 것처럼 중국 정부라는 골리앗과 맞서고 있다. 그 방법만 다를 뿐. 달라이 라마는 비폭력투쟁을 역설해왔지만 티베트인들의 독립을 위한 투쟁은 그와 달리 적극적으로 변하고 있다. 그 중심에 TYC가 있다.
작년 한 해만 해서 승려 12명이 분신자살을 시도하거나 그로 인해 목숨을 잃었다. 승려의 대부분이 젊거나 젊다기엔 어린 승려였다고 한다. 스스로 자기 자신을 가장 고통스러운 상황으로 몰아넣을 만큼의 용기는 어디서 나오는 걸까? 무엇을 그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것일까? 더 이상의 희생을 막는 길은 무엇일까? 나는 그들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처음으로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진정한 세계시민의식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해 본 것 같다. 어쩌면 그들이 겪는 고통이 내가 겪어야할 것은 아니었을까? 나는 하필이면 이 땅에, 이 시대에 태어난 행운아일 뿐, 아무것도 아닌 것이다. 이 수업과 레포트를 통해 나에겐 일종의 부채의식이 생겼다. 어떤 식으로는 갚아나가야 할 것 같다. 더 이상 나만 생각하면서 살아갈 수는 없을 것 같다.
이전에 나는 이 세계에서 가장 고통 받고 있는 것은 아프리카 아이들이라고 생각했다. 먹지 못하는 고통은 인간의 제 1고통이라고 생각했다. 이제 와서 느낀 것은 굶주림의 고통은 육체적으로 제 1고통이며, 마음껏 자유를 누리지 못하는 고통은 정신적인 제 1의 고통이라는 것이다. 나는 이 수업을 받는 동안 국제엠네스티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인턴십 프로그램 일정을 찾아보았다. 올해 하반기에 도전해 볼 생각이다. 고통 받는 이들에게 밥을 떠먹여주는 원조도 필요하지만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 그들 자신이 한 인격체로서,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존감을 갖는 것이라는 것을 느낀다. 그들의 고통을 가슴으로 공감하고, 함께하는 것이야 말로 세계시민으로의 한 발자국 전진이 아닐까? 디아스포라의 정치경제라는 수업은 끝났지만 가슴 아픈 것에서 끝나지 않고, 앞으로 살아가면서 계속해서 국제 분쟁을 비롯한 세계 각지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관심을 기울여야겠다고 다짐해 본다. 관심이야 말로 모든 인간에게 필요한 사랑의 다른 표현이니까. 이것이 결코 작심삼일로 끝나지 않길.
※참고 사이트
네이버 지식사전-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3344
위키피디아-http://www.wikipedia.org/
시사IN- http://m.sisainlive.com/articleView.html?idxno=1522
TYC-http://tibetanyouthcongress.org/
구글-http://www.google.com
Centrex
president@tibetanyouthcongress.org
vicepresident@tibetanyouthcongress.org
gensec@tibetanyouthcongress.org
jointsec@tibetanyouthcongress.org
orgsec@tibetanyouthcongress.org
financesec@tibetanyouthcongress.org
infosec@tibetanyouthcongress.org
intelrelsec@tibetanyouthcongress.org
culsec@tibetanyouthcongress.org
socialservicesec@tibetanyouthcongress.org
Ⅲ. 마치며
솔직히 레포트 주제를 받았을 때, 큰 부담이 없었다. 레포트 형식이 문제의식이나 논지가 드러나야 하는 논문 형식이 아닌 보고서 형식이었기 때문에 금방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 것이 오산이었다. 우선 디비피디아 등에서 검색해 본 결과, TYC는 물론이고 티베트에 대한 논문도 10페이지를 넘기지 않았다. 이러한 논문들도 레포트 주제에서 벗어난 것이 대부분이었다. 믿었던 위키피디아에서 조차 TYC에 대한 정보는 한 페이지가 되지 않았고, 그것은 또한 불행하게도 영문이었다. 나는 울고 싶었다. TYC 공식 홈페이지도 당연히 영문일뿐더러 한국이라서 그런 건지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는 링크가 부지기 수였다. 울며 겨자먹기로 구글 번역 사이트를 이용하여 번역을 시도하였지만 한 문장도 제대로 된 번역이 없었다. 나는 정말 울고 싶었다. 번역된 문장과 영문을 비교하고, 영어 단어 뜻을 찾아보고 짧은 영어 실력으로 번역을 하자니 시간이 배로 걸렸다. TYC 부분은 중간 중간 해석이 엉터리로 된 것이 꽤 있을 것이다. 그동안은 어학연수에 대해서 부정적이었던 나였지만 이번에 진지하게 어학연수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시간에 쫓기면서 하느라 엉성한 부분이 많다. TYC에 대한 자료는 턱없이 부족하고, 언어는 안 되고 매번 레포트 하면서 이렇게 힘들었겠지만, 대학 4년 동안 했던 레포트 중에서 가장 힘들게 했음에도 부족한 레포트가 아닌가하는 자괴감이 든다.
수업시간에 티베트에서 다루었기도 하였지만 이번에 레포트를 쓰기 위해 다시 조사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 많다. 디아스포라라는 단어도 이 수업을 통해 처음 들었고, 아직도 세계 곳곳에서 얼마나 많은 분쟁이 발생하고 있는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국가가 없어서 고통 받고 있는지도 알게 되었다. 특히 티베트 디아스포라와 위구르족에 대한 내용이 기억에 남는다. 나는 티베트 불교와 달라이 라마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긴 하였으나, 중국의 탄압이 이정도로 무시무시할 줄 몰랐다. 우리나라의 5.18민주화항쟁이 떠올랐다. 아니, 그것보단 일제강점기가 적합하다. 중국 정부의 입장은 1980년대의 전두환 정부의 입장을 닮았다. 정부가 광주사태라고 명명하며 광주시민들을 폭도로 매도한 것과 마찬가지로 달라이 라마와 티베트 승려들을 역적으로 매도한다. 티베트인들의 입장에서 볼 때, 그들은 한국이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긴 것과 마찬가지로 그들은 나라를 잃은 것이다. 빼앗긴 것이다. 그들의 우리의 독립군이 그랬던 것처럼 중국 정부라는 골리앗과 맞서고 있다. 그 방법만 다를 뿐. 달라이 라마는 비폭력투쟁을 역설해왔지만 티베트인들의 독립을 위한 투쟁은 그와 달리 적극적으로 변하고 있다. 그 중심에 TYC가 있다.
작년 한 해만 해서 승려 12명이 분신자살을 시도하거나 그로 인해 목숨을 잃었다. 승려의 대부분이 젊거나 젊다기엔 어린 승려였다고 한다. 스스로 자기 자신을 가장 고통스러운 상황으로 몰아넣을 만큼의 용기는 어디서 나오는 걸까? 무엇을 그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것일까? 더 이상의 희생을 막는 길은 무엇일까? 나는 그들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처음으로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진정한 세계시민의식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해 본 것 같다. 어쩌면 그들이 겪는 고통이 내가 겪어야할 것은 아니었을까? 나는 하필이면 이 땅에, 이 시대에 태어난 행운아일 뿐, 아무것도 아닌 것이다. 이 수업과 레포트를 통해 나에겐 일종의 부채의식이 생겼다. 어떤 식으로는 갚아나가야 할 것 같다. 더 이상 나만 생각하면서 살아갈 수는 없을 것 같다.
이전에 나는 이 세계에서 가장 고통 받고 있는 것은 아프리카 아이들이라고 생각했다. 먹지 못하는 고통은 인간의 제 1고통이라고 생각했다. 이제 와서 느낀 것은 굶주림의 고통은 육체적으로 제 1고통이며, 마음껏 자유를 누리지 못하는 고통은 정신적인 제 1의 고통이라는 것이다. 나는 이 수업을 받는 동안 국제엠네스티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인턴십 프로그램 일정을 찾아보았다. 올해 하반기에 도전해 볼 생각이다. 고통 받는 이들에게 밥을 떠먹여주는 원조도 필요하지만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 그들 자신이 한 인격체로서,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존감을 갖는 것이라는 것을 느낀다. 그들의 고통을 가슴으로 공감하고, 함께하는 것이야 말로 세계시민으로의 한 발자국 전진이 아닐까? 디아스포라의 정치경제라는 수업은 끝났지만 가슴 아픈 것에서 끝나지 않고, 앞으로 살아가면서 계속해서 국제 분쟁을 비롯한 세계 각지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관심을 기울여야겠다고 다짐해 본다. 관심이야 말로 모든 인간에게 필요한 사랑의 다른 표현이니까. 이것이 결코 작심삼일로 끝나지 않길.
※참고 사이트
네이버 지식사전-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3344
위키피디아-http://www.wikipedia.org/
시사IN- http://m.sisainlive.com/articleView.html?idxno=1522
TYC-http://tibetanyouthcongress.org/
구글-http://www.google.com
추천자료
이랜드(E.land)기업의 특징과 성공 요인 조사
보디숍의 특징, 성공요인 및 경영상 시사점
히딩크의 리더십 - 의미, 특징, 성공요인, 사례, 교훈, 시사점
Outsourcing에서 Insourcing으로 전환과정 연구
학교폭력의 유형과 발생요인 및 특징과 후유증
청소년폭력의 개념과 유형, 요인 및 특징과 실태현황 분석
사회복지정책의 집행의 의미와 특징 및 영향요인, 사회복지정책평가의 의의와 기준 및 평가절차
부산 국제 영화제의 성공요인, 특징, 역사, 특성, PPP소개, PIFF효과, 문화적 효과, 경제적 ...
, 편집성, 분열성, 분열형 성격장애의 특징, 요인, 치료방안
[신체변형장애] 신체변형 장애의 개념과 특징 및 요인, 신체변형장애 진단과 치료적 접근
[건강염려증] 건강염려증의 개념과 특징 및 요인, 건강염려증 진단과 치료적 접근
[신체형장애] 전환장애 - 전환장애의 개념과 특징 및 요인(원인)
[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사례연구 레포트 ] 콜라보레이션의 개념과 특징,성공요인분석및 콜라...
부동산가격의 개념과 발생요인 및 특징, 부동산가격의 종류와 기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