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문학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와 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요

2. 언어와 문학의 개념

3. 문학이라는 단어의 의미

4. 언어의 사용
1) 과학적 사용
2) 문학적 사용
3) 일상적 사용

5. 문학 언어의 기능
1) 언어의 감정적 기능
2) 비유법의 기능
3) 새로운 시각 기능

6. 문학 장르에 따른 언어상의 특징
1) 시에 표현된 언어의 특징
2) 소설에 표현된 언어의 특징
3) 수필에 표현된 언어의 특징
4) 희곡에 표현된 언어의 특징

7. 언어가 그 언어의 문학 형식에 주는 제한(문학 형식의 한계)
1) 영시 - 강세에 의한 리듬
2) 중국의 율시 - 성조에 의한 리듬

8. 사이버(Cyber) 문학
1) 사이버 문학의 개념
2) 사이버 문학의 특징

9. 사이버 공간에서의 언어
1) 사이버 공간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말
2) 사이버 공간 언의의 유형
3) 사이버 공간 언어의 특징
4) 사이버 공간의 언어생활이 미치는 영향

10. 결론

본문내용

데 있다. 즉, 독재 정권으로 인해 모든 것이 움직이지 않고, 고여서 썩게 만든 모든 것들, \'쌓여 있는 귤\', \'엎어져 있는 항아리\', \'둥그렇게 누워 있는 사람들\' 이러한 것들을 일깨워 활기차게 살아있게 하고 싶다는 작가의 마음을 비유한 것이다. 또한, 잘 굴러가는 바퀴처럼 세상도 멈춰있지 않고, 잘 돌아갔으면 하는 작가의 마음을 우리는 볼 수가 있다.
3) 새로운 시각 기능
문학 언어와 일상 언어의 차이를 구별해 주는 것에는 낯설고, 낯익음의 차이가 있다. 문학 언어는 일상 언어를 낯설게 한 것이다. 러시아 형식주의자 쉬클로프스키(V.Shklovsky)는 번역어로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라고 알려진 개념을 소개하였다. 낯설게 하기는 관습화된 일상 언어를 낯설게 하면서 언어와 사물에 대한 새로운 지각을 확보하는 수법이다. 그의 논지는 대다수의 활동에서 지각(Perception)이 우리들의 사물관과 사물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우리들의 생각을 우리가 흔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거나 당연시 여기는 것처럼 습관적이고 자동적인 과정으로 된다는 것이다. 시 언어나 문학 언어는 이러한 ‘습관화’를 방해할 수 있고 우리로 하여금 사물을 다르고 새롭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익숙한 세계를 기이하게 만들거나 낯설게 하는 시 내지는 문학 언어의 능력에 의해 성취 되는 것이다. 사실상 변한 것은 세계나 의문의 대상이 아니라 그것을 지각하는 방법인 것이다. 즉,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일상 언어의 주기능인 내용과 정보 전달에만 신경을 쓸 뿐, 그 매개 수단(형식)에는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만큼 일상 언어는 실용적이며, 효율적이며, 진부하기 때문에 사람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학 언어는 다르다. 낯설게 하기를 사용함에 따라 독자들의 일상적인 지각을 막고, 같은 사물이라도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다르게 접근함으로써 좀 더 생생한 지각과 의미에 접하게 한다. 그래서 우리들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새로운 시각에 접근하기 위해 많은 책을 읽는 것이고, 그 중에서도 문학 작품을 접하고 있다.
6. 문학 장르에 따른 언어상의 특징
1) 시에 표현된 언어의 특징
시인은 자신의 주체적인 상상적 체험과 경험을 언어로 옮겨 놓는다. 이에 따라서 언어화한 시가 곧 주체적인 작품이며, 일단 하나의 언어체계가 완성되면 그것은 작가가 아닌 언어가 말을 하는 것이다. 시는 언어의 표현이므로 언어를 파악할 수 있는 사람만이 시의 비평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시의 언어는 무엇보다도 비유의 미학을 중시한다. 이는 시의 언어가 비유를 통한 상징성을 중시한다는 의미와 동일하다. 언어는 근본적으로 비유적인 것이다. 인간은 회상과 연상능력을 통하여 통시성과 공시성을 새로이 부여함으로써 언어를 확충시키며, 이는 시에 반영된다.
시의 언어는 시대상과 작가의 인생관, 출생지 등을 반영한다. 따라서 시의 언어에 있어 언어를 통한 심미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모든 시가 공통성을 가지고 있으나, 시에 사용된 언어에 따라 시의 분위가가 달라진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의 예를 통해 이를 알아보겠다.
예) 김소월 - 접동새
접동
접동
아우래비 접동
진두강(津頭江) 가람가에 살던 누나는
진두강 앞 마을에
와서 웁니다.
옛날, 우리나라
먼 뒤쪽의
진두강 가람가에 살던 누나는
의붓어미 시샘에 죽었습니다.
누나라고 불러 보랴
오오 불설워*
시샘에 몸이 죽은 우리 누나는
죽어서 접동새가 되었습니다.
아홉이나 남아 되는 오랍동생을
죽어서도 못 잊어 차마 못 잊어
야삼경(夜三更) 남 다 자는 밤이 깊으면
이산 저산 옮아가며 슬피 웁니다.
위의 시는 우리민족의 전통적 정서인 ‘한’을 주제로 삼고 있다. 평안도 지역에 퍼져있는 접동새 설화를 바탕으로 하여, 설화적 요소를 가지고 있어 보다 친숙하고, 자연스럽게 주제를 전달하고 있다. 3음보의 민요적 가락과 향토색 짙은 시어를 선택하였고, 애상적 어조를 사용해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아홉이나 남아 되는 오랍동생을 / 죽어서도 못 잊어 차마 못 잊어” 라는 대목에서는 혈육에 대한 누나의 애통한 정한을 노래하고 있어 애달픈 정조를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이 시가 민요시로서 평가를 받고 있다. 그 이유는 사용된 언어적 특징 때문이다. 즉, ① 언어의 음성적 요소에 대한 감각 ‘아우래비’
- 아홉 오라비의 의미와 접동새의 울음을 의성적으로 환기하는데 결정적 단서를 제공한 다. 이는 김소월님의 뛰어난 언어 감각을 보여주는 것으로 음과 의미의 유기적 구조 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② 향토적 소재로 언어화에 성공한 대표적인 시이다. 즉, 방언의 사용으로 어느 특정 지역 의 배경을 환기하면서, 향토에 대한 정서 환기로 민족 보편의 공감대를 형성한다.
‘가람가’ : 강가.
‘불설워’ : ‘몹시 서러워’라는 평안도 방언.
‘오랩동생’ : 여자가 자기의 남자 동생을 일컫는 말.
③ ‘진두강’이라는 단어는 ‘진두 = 나루’라는 보통 명사를 사용함으로써 향토적 공감대 형성 에 기여하여 민요가 지향하는 친근감을 형성하였다.
예) 한용운 - 님의 침묵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야 난 적은 길을 걸어서, 참어 떨치고 갔습니다.
황금(黃金)의 꽃같이 굳고 빛나든 옛 맹서(盟誓)는 차디찬 띠끌이 되야서 한숨의 미풍(微風)에 날어갔습니다.
날카로운 첫 키쓰의 추억(追憶)은 나의 운명(運命)의 지침(指針)을 돌려 놓고, 뒷걸음쳐서 사러 졌습니다.
나는 향기로운 님의 말소리에 귀먹고, 꽃다운 님의 얼골에 눈멀었습니다.
사랑도 사람의 일이라, 만날 때에 미리 떠날 것을 염려하고 경계하지 아니한 것은 아니지만, 이 별은 뜻밖의 일이 되고, 놀란 가슴은 새로운 슬픔에 터집니다.
그러나 이별을 쓸데없는 눈물의 원천(源泉)을 만들고 마는 것은 스스로 사랑을 깨치는 것인 줄 아는 까닭에 걷잡을 수 없는 슬픔의 힘을 옮겨서 새 희망(希望)의 정수박이에 들어부었습니다.
우리는 만날 때에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떠날 때에 다시 만날 것을 믿습니다.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

키워드

언어,   언어와 문학,   문학,   소설,   ,   작문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06.22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63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