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시가문학의 흐름
1) 고려 속요(俗謠)
2) 시조
3) 가사
3. 詩歌文學에 나타난 한국문학의 특징
1) 과장과 상상을 통한 戀情의 표현
2) 도교적 신선사상
3) 이상세계의 지향
4. 나가며
2. 시가문학의 흐름
1) 고려 속요(俗謠)
2) 시조
3) 가사
3. 詩歌文學에 나타난 한국문학의 특징
1) 과장과 상상을 통한 戀情의 표현
2) 도교적 신선사상
3) 이상세계의 지향
4. 나가며
본문내용
없어진 것을 애석하게 생각하여 여기 권말에 붙여둔다.\"고 그 뜻을 밝혔다. 말미에는 조정만의 발문이 있다. 시집 속에는 5언절구 10편, 7언절구 14편, 5언배율 4편, 그리고 7언배율 4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있다. 이 시 역시 사무치는 연모의 정을 그려내고 있다. 승구(承句)에서는 그리움을 달빛에 비추어 하소연하였고, 결구(結句)에서는 꿈속의 발자취가 현실로 옮겨진다면 돌길이 반쯤 모래가 되었을 것이라는 과장을 통해 꿈속 상상의 공간을 통해서나마 임을 만나고 싶은 애타는 심정을 하소연하는 방식의 표현이 돋보인다 하겠다.
<몽혼(夢魂)>
近來安否問如何 (근래안부문여하)
月到紗窓妾恨多 (월도사창첩한다)
若使夢魂行有跡 (약사몽혼행유적)
門前石路半成沙 (문전석로반성사)
요사이 안부를 묻노니 어떠하시나요?
달 비친 사창에 저의 한이 많습니다.
꿈 속의 넋에게 자취를 남기게 한다면
문 앞의 돌길이 반쯤은 모래가 되었을 걸.
과장과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한 기발한 표현으로 현대에도 주목받고 있는 작품으로는 고려속요인 <정석가>가 있다. 임과의 영원한 사랑에 대한 소망을 역설적으로 표현한 이 작품은 구은 밤에서 싹이 나면, 옥으로 새긴 연꽃에 꽃이 피면, 무쇠로 만든 옷이 헐면 등의 실현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하여 놓고 그 상황이 되면 임과 이별하겠다고 하여 무슨 일이 있어도 임과 헤어지지 않겠다는 강렬한 의지를 역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난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난
구은밤 닷되를 심고이다
그바미 우미도다 삭나거시아
그바미 우미도다 삭나거시아
유덕(有德)하신 님믈 여하아화지이다
옥(玉)으로 련(蓮) 교즐 사교이다
옥(玉)으로 련(蓮) 고즐 사교이다
바회우희 졉듀(接柱) 하요이다
그고지 삼동(三同)이 퓌거시아
그고지 삼동(三同)이 퓌거시아
유덕(有德)하신님 여해아와지이다
므쇠로 련릭을 말아 나난
므쇠로 련릭을 말아 나난
련사(鐵絲)로 주롬 바고이다
그오시 다 헐어시아
그오시 다 헐어시아
유덕(有德)하신님 여해아와지이다
2) 도교적 신선사상
한국 시가 문학 속에서 문학적 상상력을 극대화 하여 표현한 작품에는 도교적 신선사상을 담고 있는 작품이 있다. 중국의 자연시의 영향 하에 고려 중엽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한국의 자연시는 도가적이면서도 유교적 색채를 함께 갖는 방향을 잡아나갔다. 박경주,「한국문명권 문학으로서 한국 시가문학의 특질 고찰」, 고전문학연구 제 21권, 2002.
도교문학 도교문학이란 도교활동을 제재로 한 문학작품, 도가와 도교의 영향을 받은 작품, 도교경서에 관련된 문학작품이다. 최창록,「한국 도교문학의 성립과 전개」, 한국고전문학회, 1998.
에서는 선계와 무릉도원의 이미지가 뒤섞여 있으며 상상의 방식으로는 이상, 가상, 환상이 각각 고유한 영역으로 존재한다. 윤주필,「한국 도교문학의 정체성 파악을 위하여」, 한국언어문화 제 21집, 2002
본고에서는 시가 문학 중 도교적 신선사상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정철의 <관동별곡>을 소개하고자 한다. 정철은 45세가 되는 신조 13년(1580)에 강원도 관찰사로 제수되어 원주에 부임하였다. 이때 노정에 따라 내·외금강과 관동팔경을 두루 구경하고 난 후 산수 경치, 각종 고사와 풍속을 읊은 작품이다. 가사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꼽히는 이 작품에는 자연에의 몰입과 도취를 추구하는 신선세계에 대한 흠모가 세부분에 걸쳐 잘 나타나 있다.
高고城셩을란 뎌만 두고 三삼日일浦포로 차자가니, 丹단書셔 바위나 돌에 쓴 글씨
는 宛완然연하되 四사仙션 영랑, 술랑, 남석랑, 안상랑이라는 신라시대의 네 신선
은 어데 가니. 예 사흘 머믄 後후의 어데 가 또 머믈고. 仙션遊유潭담 永영郎냥湖호 거긔나 가 잇는가. 淸
이 있다. 이 시 역시 사무치는 연모의 정을 그려내고 있다. 승구(承句)에서는 그리움을 달빛에 비추어 하소연하였고, 결구(結句)에서는 꿈속의 발자취가 현실로 옮겨진다면 돌길이 반쯤 모래가 되었을 것이라는 과장을 통해 꿈속 상상의 공간을 통해서나마 임을 만나고 싶은 애타는 심정을 하소연하는 방식의 표현이 돋보인다 하겠다.
<몽혼(夢魂)>
近來安否問如何 (근래안부문여하)
月到紗窓妾恨多 (월도사창첩한다)
若使夢魂行有跡 (약사몽혼행유적)
門前石路半成沙 (문전석로반성사)
요사이 안부를 묻노니 어떠하시나요?
달 비친 사창에 저의 한이 많습니다.
꿈 속의 넋에게 자취를 남기게 한다면
문 앞의 돌길이 반쯤은 모래가 되었을 걸.
과장과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한 기발한 표현으로 현대에도 주목받고 있는 작품으로는 고려속요인 <정석가>가 있다. 임과의 영원한 사랑에 대한 소망을 역설적으로 표현한 이 작품은 구은 밤에서 싹이 나면, 옥으로 새긴 연꽃에 꽃이 피면, 무쇠로 만든 옷이 헐면 등의 실현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하여 놓고 그 상황이 되면 임과 이별하겠다고 하여 무슨 일이 있어도 임과 헤어지지 않겠다는 강렬한 의지를 역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난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난
구은밤 닷되를 심고이다
그바미 우미도다 삭나거시아
그바미 우미도다 삭나거시아
유덕(有德)하신 님믈 여하아화지이다
옥(玉)으로 련(蓮) 교즐 사교이다
옥(玉)으로 련(蓮) 고즐 사교이다
바회우희 졉듀(接柱) 하요이다
그고지 삼동(三同)이 퓌거시아
그고지 삼동(三同)이 퓌거시아
유덕(有德)하신님 여해아와지이다
므쇠로 련릭을 말아 나난
므쇠로 련릭을 말아 나난
련사(鐵絲)로 주롬 바고이다
그오시 다 헐어시아
그오시 다 헐어시아
유덕(有德)하신님 여해아와지이다
2) 도교적 신선사상
한국 시가 문학 속에서 문학적 상상력을 극대화 하여 표현한 작품에는 도교적 신선사상을 담고 있는 작품이 있다. 중국의 자연시의 영향 하에 고려 중엽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한국의 자연시는 도가적이면서도 유교적 색채를 함께 갖는 방향을 잡아나갔다. 박경주,「한국문명권 문학으로서 한국 시가문학의 특질 고찰」, 고전문학연구 제 21권, 2002.
도교문학 도교문학이란 도교활동을 제재로 한 문학작품, 도가와 도교의 영향을 받은 작품, 도교경서에 관련된 문학작품이다. 최창록,「한국 도교문학의 성립과 전개」, 한국고전문학회, 1998.
에서는 선계와 무릉도원의 이미지가 뒤섞여 있으며 상상의 방식으로는 이상, 가상, 환상이 각각 고유한 영역으로 존재한다. 윤주필,「한국 도교문학의 정체성 파악을 위하여」, 한국언어문화 제 21집, 2002
본고에서는 시가 문학 중 도교적 신선사상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정철의 <관동별곡>을 소개하고자 한다. 정철은 45세가 되는 신조 13년(1580)에 강원도 관찰사로 제수되어 원주에 부임하였다. 이때 노정에 따라 내·외금강과 관동팔경을 두루 구경하고 난 후 산수 경치, 각종 고사와 풍속을 읊은 작품이다. 가사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꼽히는 이 작품에는 자연에의 몰입과 도취를 추구하는 신선세계에 대한 흠모가 세부분에 걸쳐 잘 나타나 있다.
高고城셩을란 뎌만 두고 三삼日일浦포로 차자가니, 丹단書셔 바위나 돌에 쓴 글씨
는 宛완然연하되 四사仙션 영랑, 술랑, 남석랑, 안상랑이라는 신라시대의 네 신선
은 어데 가니. 예 사흘 머믄 後후의 어데 가 또 머믈고. 仙션遊유潭담 永영郎냥湖호 거긔나 가 잇는가. 淸
추천자료
(현대문학강독) 최서해 작품에 나타난 신경향파적 특징과 1920년대 후반 프로소설의 주요 특징
Connecticut Wits를 포함한 미국초기문학들의 특징 및 작품소개
[구비문학] '판소리'에 대한 심층 고찰 및 특징 연구
해방 공간과 전후문학의 전개과정과 특징 <한국문학>
가전의 특징 및 사적 전개
[국문학연습]북한에서 각 시대를 대표하는 세 가지 문학사의 특징을 설명하고, 그러한 북한문...
(한문고전강독 공통)북한에서 각 시대를 대표하는 세 가지 문학사의 특징을 설명하고, 그러한...
테오드로 폰타네의 작품 특징과 문학에 대한 연구, 테오도르 폰타네의 예니 트라이블 부인과 ...
[국문학연습]북한에서 각 시대를 대표하는 세 가지 문학사의 특징 설명과 그러한 북한문학사...
20세기 영국문학의 특징에 대해서
[아동문학] 사실동화와 환상동화의 문학적 특징 - 배경, 인물, 주제에 따른
[아동문학] 아동문학의 장르 - 역사동화 (역사동화의 정의, 역사 동화의 네가지 분류, 역사 ...
이효석의 문학사적 특징
이상의 오감도와 이상 시의 실험성,오감도의 전반적 특징-오감도의 문학사적 의의-성과와 한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