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저가화장품 기업(선발자)의 등장
1-1.미샤, 인터넷을 타고 등장하다.
1-2.미샤, 기존 유통 시스템을 거부하다.
1-3.미샤 전국으로 뻗어 나가다.
1-4.미샤의 STP전략 분석.
1-5.미샤의 4P전략 분석.
2.저가화장품의 선풍적 인기에 후발기업들 우후죽순 진입
2-1.더페이스샵 경쟁사의 장점에 더페이스샵을 더하다.
2-2.더 페이스샵 계속적인 리뉴얼과 공격적 마케팅으로 선두주자가 되다.
2-3.더페이스샵의 STP전략 분석.
2-4.더페이스샵의 4P전략 분석.
3.화장품 시장의 포화에 따른 향후방안과 전략의 필요성 증대
3-1.세계시장을 개척한다.
3-2.UCC 마케팅을 활용한다.
3-3.계속적인 제품개발과 리뉴얼이 필요하다.
1-1.미샤, 인터넷을 타고 등장하다.
1-2.미샤, 기존 유통 시스템을 거부하다.
1-3.미샤 전국으로 뻗어 나가다.
1-4.미샤의 STP전략 분석.
1-5.미샤의 4P전략 분석.
2.저가화장품의 선풍적 인기에 후발기업들 우후죽순 진입
2-1.더페이스샵 경쟁사의 장점에 더페이스샵을 더하다.
2-2.더 페이스샵 계속적인 리뉴얼과 공격적 마케팅으로 선두주자가 되다.
2-3.더페이스샵의 STP전략 분석.
2-4.더페이스샵의 4P전략 분석.
3.화장품 시장의 포화에 따른 향후방안과 전략의 필요성 증대
3-1.세계시장을 개척한다.
3-2.UCC 마케팅을 활용한다.
3-3.계속적인 제품개발과 리뉴얼이 필요하다.
본문내용
초저가 화장품시장의 변화와
미샤, 더 페이스샵의 마켓팅 전략
1.저가화장품 기업(선발자)의 등장
1-1.미샤, 인터넷을 타고 등장하다.
1-2.미샤, 기존 유통 시스템을 거부하다.
1-3.미샤 전국으로 뻗어 나가다.
1-4.미샤의 STP전략 분석.
1-5.미샤의 4P전략 분석.
2.저가화장품의 선풍적 인기에 후발기업들 우후죽순 진입
2-1.더페이스샵 경쟁사의 장점에 더페이스샵을 더하다.
2-2.더 페이스샵 계속적인 리뉴얼과 공격적 마케팅으로 선두주자가 되다.
2-3.더페이스샵의 STP전략 분석.
2-4.더페이스샵의 4P전략 분석.
3.화장품 시장의 포화에 따른 향후방안과 전략의 필요성 증대
3-1.세계시장을 개척한다.
3-2.UCC 마케팅을 활용한다.
3-3.계속적인 제품개발과 리뉴얼이 필요하다.
1.저가화장품 기업(선발자)의 등장
1-1.미샤, 인터넷을 타고 등장하다.
미샤를 만들어 낸 에이블 C&C의 서영필 사장은 기업의 초반 마케팅 도구로 인터넷을 활용했다. 1997년 처음 내놓은 ‘잎스’라는 화장품 브랜드의 커뮤니티로 온라인 사이트를 운영했는데, 소비자들이 매우 적극적이고, 폭발적으로 반응했기 때문이다. 이를 잘 활용하면 온라인을 통해 자사 브랜드만을 판매할 수도 있으며, 유통단계도 생략하여 품질보장의 저렴한 화장품을 판매할 수 있었다. 그 후, 잎스를 매각하고 기존의 커뮤니티를 보완해 2000년에 여성 포털 뷰티넷(www.beautynet.co.kr)을 만들어 사업을 이어갔다. 10~20대 타깃의 온라인 전용 브랜드 ‘미샤’의 마케팅 도구로 인터넷이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인터넷 마케팅을 시작하기에 앞서 잎스를 운영하면서 커뮤니티 운영을 통한 경험도 있었으니 안정적인 운영이 보장되었다.
미샤는 이렇게 포털 사이트 뷰티넷을 통해 회원들에게 3,300원의 택배비만 받고 화장품을 무료로 주는 이벤트를 실시하게 된다. 온라인 전용 판매를 통해 소비자와 직거래를 했기 때문에 중간 유통마진만큼 가격을 줄일 수 있어 3300원이라는 초저가를 책정해서도 온전한 운영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광고비 10원 한 장 들이지 않은 미샤가 온라인에서 자리를 잡아갔다.
1-2.미샤, 기존 유통 시스템을 거부하다.
미샤는 온라인에서 큰 인기를 얻자 오프라인 판매를 결정하게 된다. 기존의 오프라인 유통 채널인 화장품 전문점을 통한 판매는 처음부터 꿈도 꿀 수 없었다. 제품 하나당 천원에서 이천원 정도의 마진이 남는 제품을 소매점들은 반기지 않았다. 미샤가 등장할 시절의 화장품 시장 유통구조는 보통 백화점 판매나 방문판매, 멀티
미샤, 더 페이스샵의 마켓팅 전략
1.저가화장품 기업(선발자)의 등장
1-1.미샤, 인터넷을 타고 등장하다.
1-2.미샤, 기존 유통 시스템을 거부하다.
1-3.미샤 전국으로 뻗어 나가다.
1-4.미샤의 STP전략 분석.
1-5.미샤의 4P전략 분석.
2.저가화장품의 선풍적 인기에 후발기업들 우후죽순 진입
2-1.더페이스샵 경쟁사의 장점에 더페이스샵을 더하다.
2-2.더 페이스샵 계속적인 리뉴얼과 공격적 마케팅으로 선두주자가 되다.
2-3.더페이스샵의 STP전략 분석.
2-4.더페이스샵의 4P전략 분석.
3.화장품 시장의 포화에 따른 향후방안과 전략의 필요성 증대
3-1.세계시장을 개척한다.
3-2.UCC 마케팅을 활용한다.
3-3.계속적인 제품개발과 리뉴얼이 필요하다.
1.저가화장품 기업(선발자)의 등장
1-1.미샤, 인터넷을 타고 등장하다.
미샤를 만들어 낸 에이블 C&C의 서영필 사장은 기업의 초반 마케팅 도구로 인터넷을 활용했다. 1997년 처음 내놓은 ‘잎스’라는 화장품 브랜드의 커뮤니티로 온라인 사이트를 운영했는데, 소비자들이 매우 적극적이고, 폭발적으로 반응했기 때문이다. 이를 잘 활용하면 온라인을 통해 자사 브랜드만을 판매할 수도 있으며, 유통단계도 생략하여 품질보장의 저렴한 화장품을 판매할 수 있었다. 그 후, 잎스를 매각하고 기존의 커뮤니티를 보완해 2000년에 여성 포털 뷰티넷(www.beautynet.co.kr)을 만들어 사업을 이어갔다. 10~20대 타깃의 온라인 전용 브랜드 ‘미샤’의 마케팅 도구로 인터넷이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인터넷 마케팅을 시작하기에 앞서 잎스를 운영하면서 커뮤니티 운영을 통한 경험도 있었으니 안정적인 운영이 보장되었다.
미샤는 이렇게 포털 사이트 뷰티넷을 통해 회원들에게 3,300원의 택배비만 받고 화장품을 무료로 주는 이벤트를 실시하게 된다. 온라인 전용 판매를 통해 소비자와 직거래를 했기 때문에 중간 유통마진만큼 가격을 줄일 수 있어 3300원이라는 초저가를 책정해서도 온전한 운영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광고비 10원 한 장 들이지 않은 미샤가 온라인에서 자리를 잡아갔다.
1-2.미샤, 기존 유통 시스템을 거부하다.
미샤는 온라인에서 큰 인기를 얻자 오프라인 판매를 결정하게 된다. 기존의 오프라인 유통 채널인 화장품 전문점을 통한 판매는 처음부터 꿈도 꿀 수 없었다. 제품 하나당 천원에서 이천원 정도의 마진이 남는 제품을 소매점들은 반기지 않았다. 미샤가 등장할 시절의 화장품 시장 유통구조는 보통 백화점 판매나 방문판매, 멀티
추천자료
롤리타 렘피카 마케팅 성공사례(A+레포트)★★★★★
고객만족마케팅전략 - 미샤
[마케팅] THE FACE SHOP 마케팅 분석
[마케팅]소비자의 새로운 욕구 및 스킨푸드의 마케팅 성공전략
더페이스샵의 마케팅전략과 해외진출 성공사례
방부제의 종류와 특성(방부제, 살균제, 항균제 등)
the face shop의 해외진출
식품의 살균제 보존료 항균제
아모레퍼시픽의 해외진출
마케팅 성공사례 - 롤리타렘피카(Lolita Lempicka)
미샤 성공요인 분석과 앞으로의 발전 요인,미샤마케팅,미샤분석
LG생활건강(오휘,더페이스샵) CRM 성공사례분석및 LG생활건강 성과향상위한 전략제안
아모레퍼시픽(Amore Pacific) VS 미샤(MISSHA) - 유통관리,유통전략 비교분석 및 한계점과 해...
THE FACE SHOP - 가격은‘낮게, 브랜드 이미지는‘높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