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성립 이야기
2-1 고구려
2-2 백제
2-3 신라
3. 발전 과정
3-1 고구려
융성
쇠퇴와 멸망
3-2 백제
백제의 팽창
백제의 멸망
3-3 신라
신라의 정치적 발전
신라의 팽창
삼국 통일
4. 결론
2. 성립 이야기
2-1 고구려
2-2 백제
2-3 신라
3. 발전 과정
3-1 고구려
융성
쇠퇴와 멸망
3-2 백제
백제의 팽창
백제의 멸망
3-3 신라
신라의 정치적 발전
신라의 팽창
삼국 통일
4. 결론
본문내용
때에 이르러 내부 결속을 다지고 활발한 정복 활동을 전개하면서 삼국 간의 항쟁을 주도하기 시작하였다. 진흥왕은 국가 발전을 위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고, 불교 교단을 정비하여 사상적 통합을 도모하였다.
이를 토대로 고구려의 지배 아래에 있던 한강 유역을 빼앗고 함경도 지역으로까지 진출하였으며, 남쪽으로는 562년 대가야를 정복하여 낙동강 서쪽을 장악하였다. 특히, 한강 유역을 장악함으로써 경제 기반을 강화하고, 전략 거점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황해를 통하여 중국과 직접 교역할 수 있는 유리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이는 이후 삼국 경쟁의 주도권을 신라가 장악하는 계기가 되었다.
삼국 통일
고구려가 수나라·당나라의 침략을 막아내는 동안 신라에서는 신흥 귀족인 김춘추가 김유신과 제휴하여 권력을 장악한 후 집권 체제를 강화하였다. 이어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에 대항하면서 삼국 간의 항쟁을 서서히 주도해 나갔다.
그러나 고구려의 반격을 우려하여 백제가 침공해 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없었다. 이에 신라는 고구려와의 연합을 꾀했으나 회담이 결렬되자 당나라와 군사 동맹을 맺어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삼국을 통일하려 하였다.
신라는 당나라와 연합하여 먼저 백제를 공격했다. 이미 내부적으로 정치 질서의 문란과 지배층의 향락으로 국가적 일체감을 상실한 백제는 결국 660년 사비성이 함락되면서 멸망하고 말았다.
백제를 멸망시킨 신라는 다시 당나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하였다. 고구려는 잦은 전쟁으로 국력의 소모가 심했고, 더구나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하여 국론이 분열되어 있었다. 결국 고구려도 나·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668년 멸망하였다.
당나라가 신라와 연합하여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것은 결국 신라를 이용하여 삼국의 영토 전체를 장악하려는 야심 때문이었다. 이에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의 유민과 연합하여 당나라와 정면으로 대결하였다.
신라는 고구려 부흥 운동 세력을 후원하는 한편, 백제 땅에 대한 지배권을 장악하였다. 이어 남침해 오던 당나라의 20만 대군을 매소성에서 격파하여 나·당 전쟁의 주도권을 장악하였고, 금강 하구의 기벌포에서 당나라의 수군을 섬멸하여 당나라의 세력을 한반도에서 완전히 몰아내었다. 하지만 670년 옛 고구려의 영토인 한반도 북쪽과 만주 일대를 차지하지 못하고 발해가 들어서면서 불완전한 통일을 이룩하였다.
4. 결론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신라지역에서(엄밀히 따지면 가야지역도 포함되지만) 자라는 본인은 신라 삼국통일을 정당하다고, 또는 다행이라고 본다. 고구려의 통일과 더불어 우리 국토가 줄어든 것에 대해 안타까워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당시의 고구려의 국력과 내부사정으로 봤을 때는 당나라가 고구려를 침략해서, 모든 고구려 땅이 당나라의 영역이 될 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우려도 해보고, 나아가 그 밑에서 고립된 백제와 신라의 운명도 그리 밝지만은 않다는 생각도 해본다. 역사는 언제나 재해석 된다. 조금 더 열심히 역사공부를 해서, 보다 객관적이고, 폭넓은 사고를 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
이를 토대로 고구려의 지배 아래에 있던 한강 유역을 빼앗고 함경도 지역으로까지 진출하였으며, 남쪽으로는 562년 대가야를 정복하여 낙동강 서쪽을 장악하였다. 특히, 한강 유역을 장악함으로써 경제 기반을 강화하고, 전략 거점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황해를 통하여 중국과 직접 교역할 수 있는 유리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이는 이후 삼국 경쟁의 주도권을 신라가 장악하는 계기가 되었다.
삼국 통일
고구려가 수나라·당나라의 침략을 막아내는 동안 신라에서는 신흥 귀족인 김춘추가 김유신과 제휴하여 권력을 장악한 후 집권 체제를 강화하였다. 이어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에 대항하면서 삼국 간의 항쟁을 서서히 주도해 나갔다.
그러나 고구려의 반격을 우려하여 백제가 침공해 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없었다. 이에 신라는 고구려와의 연합을 꾀했으나 회담이 결렬되자 당나라와 군사 동맹을 맺어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삼국을 통일하려 하였다.
신라는 당나라와 연합하여 먼저 백제를 공격했다. 이미 내부적으로 정치 질서의 문란과 지배층의 향락으로 국가적 일체감을 상실한 백제는 결국 660년 사비성이 함락되면서 멸망하고 말았다.
백제를 멸망시킨 신라는 다시 당나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하였다. 고구려는 잦은 전쟁으로 국력의 소모가 심했고, 더구나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하여 국론이 분열되어 있었다. 결국 고구려도 나·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668년 멸망하였다.
당나라가 신라와 연합하여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것은 결국 신라를 이용하여 삼국의 영토 전체를 장악하려는 야심 때문이었다. 이에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의 유민과 연합하여 당나라와 정면으로 대결하였다.
신라는 고구려 부흥 운동 세력을 후원하는 한편, 백제 땅에 대한 지배권을 장악하였다. 이어 남침해 오던 당나라의 20만 대군을 매소성에서 격파하여 나·당 전쟁의 주도권을 장악하였고, 금강 하구의 기벌포에서 당나라의 수군을 섬멸하여 당나라의 세력을 한반도에서 완전히 몰아내었다. 하지만 670년 옛 고구려의 영토인 한반도 북쪽과 만주 일대를 차지하지 못하고 발해가 들어서면서 불완전한 통일을 이룩하였다.
4. 결론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신라지역에서(엄밀히 따지면 가야지역도 포함되지만) 자라는 본인은 신라 삼국통일을 정당하다고, 또는 다행이라고 본다. 고구려의 통일과 더불어 우리 국토가 줄어든 것에 대해 안타까워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당시의 고구려의 국력과 내부사정으로 봤을 때는 당나라가 고구려를 침략해서, 모든 고구려 땅이 당나라의 영역이 될 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우려도 해보고, 나아가 그 밑에서 고립된 백제와 신라의 운명도 그리 밝지만은 않다는 생각도 해본다. 역사는 언제나 재해석 된다. 조금 더 열심히 역사공부를 해서, 보다 객관적이고, 폭넓은 사고를 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
추천자료
삼국시대의 미술-백제,신라,가야 고분미술-
삼국시대 머리 장신구에 대한 연구
삼국시대회화
청동기시대와 삼국시대의 묘제
삼국시대, 고려, 조선시대의 고등교육기관
삼국시대의 무용
[불교사상][불교전래][불교의의][불교경전][초기불교][연기론][삼국시대불교][불교]불교사상...
삼국시대의 생활과학
삼국시대의 교육 레포트
[복식문화][의복문화]상고시대의 복식문화(의복문화), 삼국시대의 복식문화(의복문화), 고려...
삼국시대의 교육과 고려시대의 교육
선사시대와 삼국시대의 생활모습
쌀의 전래, 농경의 시작, 토지제도(삼국시대-조선시대), 이앙법, 식민지시대 토지제도, 미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