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무용의 개념
삼국시대의 무용
1. 고구려의 무용
2. 백제의 무용
3. 신라의 무용
삼국시대의 무용
1. 고구려의 무용
2. 백제의 무용
3. 신라의 무용
본문내용
빛 도포를 입었다는 사실은 매우 충격적이다. 현재 우리 민중의 노래와 춤으로 전해지는 민요, 판소리의 창법과 탈춤, 무당춤, 광대놀이의 춤사위는 백제 민중의 것만이 아니라, 어쩌면 백제 귀족의 것이기도 했을 것이다. 남도소리의 창법이 백제 악사로부터 음악을 받아들인 일본의 《노오》와 비슷하고 또 탈을 쓰고 춤을 추는 탈춤의 원형은 백제의 기악무에서 찾을 수 잇는데, 이는 백제 당시의 악사와 무용수가 둘 다 높은 신분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판소리는 백제의 옛지역인 전라도에서 주로 불리어지고, 탈춤이나 광대놀이도 백제의 영토에 오랜 기간 속해 있었던 황해도, 경기도, 경상남도 해안 지방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잇다. 이렇게 볼 때, 비록 백제의 귀족인 악사, 무용수는 사라졌으나, 그 음악과 무용은 민중에 의해서 지금껏 끊이지 않고 이어져 내려왔다고 생각된다.
(1) 기악무
백제의 가무로는 6세기초에 추어오던 기악무가 유명하다. 일본의 서기에 의하면 기악무의 창작자는 미마지인 것으로 밝혀진다. 미마지는 중국남주의 오나라에서 불교무용인 기악무를 배워 백제에 가면무극형태인 산대도감놀이를 창작하여 보급시켰으며 이를 일본에까지 전수하여 주었다. 기악이라는 말은 불교경전에 나오는 말로 부처를 봉양하기 위한 가무를 뜻하며, 기악무는 음악과 무용 그리고 재담과 놀이를 결합한 종합예술이었다. 미마지가 중국 남조의 오에서 기악을 배웠다고 한 것은 당시 백제가 중국 남조와 활발한 교류를 하였음을 의미하며 또한 불교수업도 남조의 동진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으로 볼 때 사실과 부합된다. 미마지의 기악은 백제에서 창작된 순수한 가면무극이 아닌 중국 남조의 오에서 수입된 것으로 지금의 산대도감놀이로 전승되었다고 보고 일부 학자들을 산대극과 기악을 비교하면서 같은 계통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잇다.
기악무는 미마지 외에도 백제 의자왕 20년에 일본에 건너간 은고에 의해 일본 사람들에게 전수되었다. 현재 일본에는 전국적으로 2백여 종의 기악 가면이 있는데, 그 가운데서도 나라의 도오다이지와 일본 국립박물관에 국보로 지정되어 있는 기악 가면, 그리고 다케사키의 관음사에 비장되어 잇는 기악 가면에서 백제의 기악가면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고 한다.
특히 관음사에 수장되고 있는 《월전고적녹기》라는 책에는 ‘천축 백제에서 가면 두 개를 보내왔는데 그 중 하나가 이 절의 보물로서 비장되어 있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 기악 가면은 나무로 만든 가로 20㎝, 세로 28㎝의 검정색 가면으로 두 눈은 왕방울 같이 튀어나오고 코는 둥글면서도 높으며 입 둘레와 이마 위에는 주름살이 깊게 패어있는 모습이 꼭 우리 나라 탈춤의 먹중, 백정, 말둑이탈과 비슷하다고 한다. 먹중, 백정, 말둑이탈은 우리의 탈춤에서 가장 흔히 등장하는 가면인데 실제로 오늘날 일본에서 전해지는 백제의 기악무를 오늘날 한국에서 연희되는 봉산탈춤과 양주산대놀이와 비교하여 그 공통점을 찾아내는 연구작업이 시도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의 결과를 도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기악무
양주별산대놀이
봉산탈춤
연희내용
治道(치도)
告祀(고사)(1과장)
상좌춤(2과장)
四상좌춤(1과장)
춤판을 벌리기 전에 재앙과 사귀를 물리치는 의식무
吳公(오공)
옴과 상좌(3,4과장)
연잎과 눈끄적이(5과장)
이방인의 출현과 부채를 든 춤
獅子舞(사자무)
사자춤(5과장)
양주산대놀이에만 없는 사자춤
迦樓羅(가루라),金剛(금강)
팔목중
침놀이(완보)(6과장)
팔목춤(2과장)
탈선한 중에게 품과 노래에만 취하지 말고 염불에 힘쓰라는 꾸짖음
婆羅門(파라문)
사당놀이 (관쓴중,
왜장녀, 애사당)(7과장)
사당춤(3과장)
희롱하는 장면이 있으며 아무리 높은 계급의 돈 많은 사람이라도 만사를 제 뜻대로 할 수 없다는 훈시
崑崙(곤륜)
노장(8과장)
노장춤(4과장)
커다란 검은 점을 가진 곤륜과 노장의 袈裟(가사), 부채를 소지한 공통성이 특이함
力士(역사)
취발이, 소무당(10과장)
취발이(4과장)
삼각관계에 놓이는 장면
大孤(대고)
미얄할미, 신할애비,
말뚝이, 왜장녀(12과장)
미얄춤(7과장)
불전에 나가 예불하는 장면과 만자를 위한 축원의 춤
醉胡(취호)
양반, 샌님, 서방님,
도령, 말뚝이(11과장)
양반춤(5과장)
권세도 가소롭다는 것을 보여주는 춤
武德樂(무덕악)
무당넋두리
다리굿
무당의 넋두리를 통해 사회를 비판
희극적인 요소를 지닌 탈춤인 기악무가 일본에서는 귀족 자제들에 의하여 파급된 고급예술로 발전하지만 한국에서는 산대도감놀이로 주로 상민에 의해 전승됨이 특이하다.
(2) 은산별신제
은산별신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으며 ‘별신’이란 말이 무슨 뜻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옛날 은상지방에 전염병이 유행하여 마을에서는 날마다 많은 사람이 죽어가고 있었다. 어느날 마을 한 노인이 잠시 낮잠이 들었는데, 꿈에 신선이 나타나 ‘나는 백제의 장군이었는데 패전해서 수많은 부하들과 함께 백골로 산재한 채 돌보는 이가 없으니 잘 장사 지내 달라. 그러면 이 망ㄹ의 전염병은 없어질 것이다’ 라는 말을 남기고 사라졌다. 꿈에서 깬 촌로는 꿈이 너무도 이상해서 마을 사람들과 함께 꿈에서 가르쳐 준 곳에 찾아가 보니 과연 수많은 백골이 흩어져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무덤을 만들어 장사를 지내고 위령제를 지냈더니 극성을 부리던 병마가 사라지고 마을 사람들은 마음놓고 살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이것이 별신제를 지내게된 연유가 되었다. 이 제사가 오늘날의 별신제로 이어졌다.
별신제는 3년에 한번씩 정월에 지내는 일이 많으나 윤달에는 지내지 않는다. 이 별신제를 운영할 사람들은 주로 마을 유지로서 모두 부정한 일이 없는 깨끗한 사람이어야 한다. 상을 당하였고나 시체를 보아서도 안되며, 산고가 있거나 별신제를 지내도 연검이 없을 뿐 아니라 도리어 신령의 노여움을 사서 마을에 재화가 생긴다고 이곳 주민은 믿고 있다.
당굿을 할 때에 기 끝에 방울을 매달아 둔다. 무녀가 가무를 해서 방울이 울리면 신의를 얻은 것이 되지만, 그렇지 못 할 경우에는 임원중에 부정한 사람이 있어 신이 감응하지 않는 것으로 믿는다. 이럴 때는 추운 밤이지만 은산천의 얼음을 깨고 찬물에 목욕재계를 다시 한다. 또 임원들은 시작부터 끝날
(1) 기악무
백제의 가무로는 6세기초에 추어오던 기악무가 유명하다. 일본의 서기에 의하면 기악무의 창작자는 미마지인 것으로 밝혀진다. 미마지는 중국남주의 오나라에서 불교무용인 기악무를 배워 백제에 가면무극형태인 산대도감놀이를 창작하여 보급시켰으며 이를 일본에까지 전수하여 주었다. 기악이라는 말은 불교경전에 나오는 말로 부처를 봉양하기 위한 가무를 뜻하며, 기악무는 음악과 무용 그리고 재담과 놀이를 결합한 종합예술이었다. 미마지가 중국 남조의 오에서 기악을 배웠다고 한 것은 당시 백제가 중국 남조와 활발한 교류를 하였음을 의미하며 또한 불교수업도 남조의 동진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으로 볼 때 사실과 부합된다. 미마지의 기악은 백제에서 창작된 순수한 가면무극이 아닌 중국 남조의 오에서 수입된 것으로 지금의 산대도감놀이로 전승되었다고 보고 일부 학자들을 산대극과 기악을 비교하면서 같은 계통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잇다.
기악무는 미마지 외에도 백제 의자왕 20년에 일본에 건너간 은고에 의해 일본 사람들에게 전수되었다. 현재 일본에는 전국적으로 2백여 종의 기악 가면이 있는데, 그 가운데서도 나라의 도오다이지와 일본 국립박물관에 국보로 지정되어 있는 기악 가면, 그리고 다케사키의 관음사에 비장되어 잇는 기악 가면에서 백제의 기악가면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고 한다.
특히 관음사에 수장되고 있는 《월전고적녹기》라는 책에는 ‘천축 백제에서 가면 두 개를 보내왔는데 그 중 하나가 이 절의 보물로서 비장되어 있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 기악 가면은 나무로 만든 가로 20㎝, 세로 28㎝의 검정색 가면으로 두 눈은 왕방울 같이 튀어나오고 코는 둥글면서도 높으며 입 둘레와 이마 위에는 주름살이 깊게 패어있는 모습이 꼭 우리 나라 탈춤의 먹중, 백정, 말둑이탈과 비슷하다고 한다. 먹중, 백정, 말둑이탈은 우리의 탈춤에서 가장 흔히 등장하는 가면인데 실제로 오늘날 일본에서 전해지는 백제의 기악무를 오늘날 한국에서 연희되는 봉산탈춤과 양주산대놀이와 비교하여 그 공통점을 찾아내는 연구작업이 시도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의 결과를 도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기악무
양주별산대놀이
봉산탈춤
연희내용
治道(치도)
告祀(고사)(1과장)
상좌춤(2과장)
四상좌춤(1과장)
춤판을 벌리기 전에 재앙과 사귀를 물리치는 의식무
吳公(오공)
옴과 상좌(3,4과장)
연잎과 눈끄적이(5과장)
이방인의 출현과 부채를 든 춤
獅子舞(사자무)
사자춤(5과장)
양주산대놀이에만 없는 사자춤
迦樓羅(가루라),金剛(금강)
팔목중
침놀이(완보)(6과장)
팔목춤(2과장)
탈선한 중에게 품과 노래에만 취하지 말고 염불에 힘쓰라는 꾸짖음
婆羅門(파라문)
사당놀이 (관쓴중,
왜장녀, 애사당)(7과장)
사당춤(3과장)
희롱하는 장면이 있으며 아무리 높은 계급의 돈 많은 사람이라도 만사를 제 뜻대로 할 수 없다는 훈시
崑崙(곤륜)
노장(8과장)
노장춤(4과장)
커다란 검은 점을 가진 곤륜과 노장의 袈裟(가사), 부채를 소지한 공통성이 특이함
力士(역사)
취발이, 소무당(10과장)
취발이(4과장)
삼각관계에 놓이는 장면
大孤(대고)
미얄할미, 신할애비,
말뚝이, 왜장녀(12과장)
미얄춤(7과장)
불전에 나가 예불하는 장면과 만자를 위한 축원의 춤
醉胡(취호)
양반, 샌님, 서방님,
도령, 말뚝이(11과장)
양반춤(5과장)
권세도 가소롭다는 것을 보여주는 춤
武德樂(무덕악)
무당넋두리
다리굿
무당의 넋두리를 통해 사회를 비판
희극적인 요소를 지닌 탈춤인 기악무가 일본에서는 귀족 자제들에 의하여 파급된 고급예술로 발전하지만 한국에서는 산대도감놀이로 주로 상민에 의해 전승됨이 특이하다.
(2) 은산별신제
은산별신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으며 ‘별신’이란 말이 무슨 뜻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옛날 은상지방에 전염병이 유행하여 마을에서는 날마다 많은 사람이 죽어가고 있었다. 어느날 마을 한 노인이 잠시 낮잠이 들었는데, 꿈에 신선이 나타나 ‘나는 백제의 장군이었는데 패전해서 수많은 부하들과 함께 백골로 산재한 채 돌보는 이가 없으니 잘 장사 지내 달라. 그러면 이 망ㄹ의 전염병은 없어질 것이다’ 라는 말을 남기고 사라졌다. 꿈에서 깬 촌로는 꿈이 너무도 이상해서 마을 사람들과 함께 꿈에서 가르쳐 준 곳에 찾아가 보니 과연 수많은 백골이 흩어져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무덤을 만들어 장사를 지내고 위령제를 지냈더니 극성을 부리던 병마가 사라지고 마을 사람들은 마음놓고 살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이것이 별신제를 지내게된 연유가 되었다. 이 제사가 오늘날의 별신제로 이어졌다.
별신제는 3년에 한번씩 정월에 지내는 일이 많으나 윤달에는 지내지 않는다. 이 별신제를 운영할 사람들은 주로 마을 유지로서 모두 부정한 일이 없는 깨끗한 사람이어야 한다. 상을 당하였고나 시체를 보아서도 안되며, 산고가 있거나 별신제를 지내도 연검이 없을 뿐 아니라 도리어 신령의 노여움을 사서 마을에 재화가 생긴다고 이곳 주민은 믿고 있다.
당굿을 할 때에 기 끝에 방울을 매달아 둔다. 무녀가 가무를 해서 방울이 울리면 신의를 얻은 것이 되지만, 그렇지 못 할 경우에는 임원중에 부정한 사람이 있어 신이 감응하지 않는 것으로 믿는다. 이럴 때는 추운 밤이지만 은산천의 얼음을 깨고 찬물에 목욕재계를 다시 한다. 또 임원들은 시작부터 끝날
추천자료
"예술(Fine-arts)"이라는 말의 개념과 체제의 성립 과정
국어과 임용고시 자료-개념 정리
영화에서의 디자인 개념과 프러덕션디자인의 실제
[교육과 사회변동] 사회변동의 개념과 특징 및 원인, 사회변동과 교육
[라인과 스탭의 이론] 라인과 스탭의 개념과 구분 및 스탭의 종류
관광 연출의 개념, 필요성, 관광지 연출의 기본원칙, 관광객 심리, 관광지 성격 파악, 부여, ...
[음악줄넘기] 음악줄넘기의 개념, 특징 및 방법
아동기 부적응 행동의 개념, 종류, 원인 및 해결 방안에 대해 간략히 설명.
[교육원리] 교육내재율 - 교육내재율의 개념과 교육내재율의 속성 (오류가능성 인정, 자발적 ...
추천자료[놀이치료 Play teraphy] 놀이치료 개념, 놀이치료 필요성, 놀이치료 사례연구, 놀이...
[집단정신치료] 집단치료의 개념과 특징, 집단정신치료기법, 기타 치료(환경요법, 놀이치료, ...
[미술치료] 미술치료의 정의(미술치료의 개념과 역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