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상고시대의 복식문화(의복문화)
Ⅲ. 삼국시대의 복식문화(의복문화)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Ⅳ. 고려시대의 복식문화(의복문화)
Ⅴ. 성균관의 복식문화(의복문화)
1. 성균관 관원의 복식
1) 관내복
2) 의예복
3) 평거복
2. 성균관 유생의 복식
1) 청금
2) 난삼
Ⅵ. 고종의 복식문화(의복문화)
1. 고종의 법복
1) 면복
2) 원유관․강사포
2. 고종의 의대
1) 과두
2) 액주음
3) 천익
4) 삼아
5) 파지
Ⅶ. 부대부인의 복식문화(의복문화)
Ⅷ. 결론
참고문헌
Ⅱ. 상고시대의 복식문화(의복문화)
Ⅲ. 삼국시대의 복식문화(의복문화)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Ⅳ. 고려시대의 복식문화(의복문화)
Ⅴ. 성균관의 복식문화(의복문화)
1. 성균관 관원의 복식
1) 관내복
2) 의예복
3) 평거복
2. 성균관 유생의 복식
1) 청금
2) 난삼
Ⅵ. 고종의 복식문화(의복문화)
1. 고종의 법복
1) 면복
2) 원유관․강사포
2. 고종의 의대
1) 과두
2) 액주음
3) 천익
4) 삼아
5) 파지
Ⅶ. 부대부인의 복식문화(의복문화)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구려가 강국으로 성장하고 한사군과 수(隋), 당(唐)을 격퇴시킬 수 있었던 힘은 활동적이고 무풍적인 고구려인들의 체형형 복식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고구려의 복식을 무용총벽화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의의 기본형인 유는 지금의 저고리보다 긴 길이로 엉덩이까지 내려오는 재킷과 같은 길이이다. 엉덩이 길이의 상의는 사람이 앉은 자세일 때 상체를 완전히 가려주므로 인체를 보호하고 활동하는데 가장 좋은 길이다. 유는 대부분 전개형(前開型)으로서 곧은 깃을 겹쳐 여며 입는 직령교임형(直領交姙型)의 형태이다. 유가 여며지는 방향에 따라 왼쪽으로 여며지는 것을 좌임, 오른쪽으로 여벼지는 것을 우임이라고 한다. 소매는 통이 좁은 착수(搾袖)형태의 통수(筒袖)였다. 유의 깃둘레와 단, 소매끝에는 바탕과 다른 색으로 단을 둘렀다. 직물이 생산되고 염색이 발달하기 이전에는 단을 짐승의 털로 둘렀는데 이는 맹수의 털을 옷의 둘레에 대어 입음으로써 악귀를 막아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원시 신앙과, 추운 겨울에는 외풍을 막아 주는 기능 그리고 옷의 끝부분이 풀리지 않고 해지지 않게 하기 위한 봉제상의 이점의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유에서 빼놓을수 없는 것이 대(帶)이다.
대는 유를 앞에서 여며입고, 벗겨지지 않도록하기 위해 허리에 둘러매는 끈이다. 그러나 차츰 계급사회에서의 신분을 과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게 되어 옷감으로 만들던 포백대(布帛帶)에서부터 각대(角帶), 피혁대(皮革帶), 은대(銀帶), 금대(金帶),옥대(玉帶)등 재료와 만드는 방법에 배우 많은 명칭의 대(帶)가 생겨나게 되었다. 삼(衫)이나 포(袍)는 고(袴) 위에 착용하는 긴외투의 형상과 비슷한 것으로 이는 높은 신분의 귀인에서부터 평민에 이르기까지 보편적으로 착용하였는데 이는 방한용뿐 아니라 의례용으로도 입었다. 포(袍)의 대(帶)는 위에서 매어 서로 겹쳐지지 않게 하였다. 평민들은 통수삼(筒袖衫)을 입었으나 귀인들은 소매폭이 넓은 대수삼(大袖衫)도 입었으며, 삼(衫)에서도 귀족과 평민의 신분 차이가 소매의 넓이와 직물의 재료, 단 등에서 나타났다. 삼(衫)이나 포(袍)의 깃은 직령교임형(直領交姙型)이 대부분이나 그 외에 곡령(曲領)과합임도 있다.
고(袴)는 지금의 바지형태로 남녀모두 착용하였다. 상대시대의 기본형을 이루는 下衣, 바지. 가랑이가 따로 떨어져 있는 것으로 동작이 매우 자유로워 말을 타는데도 불편함이 없었다. 궁고(窮袴)는 밑이 막힌 바지이고, 세고(細袴)는 폭이 좁은 바지이며, 대구고(大口袴)는 폭이 넓은 바지를 말한다. 또한 길이가 짧은 곤(잠뱅이)도 있었는데, 의차(衣次)나 길이, 幅에 따라 常用, 軍用, 貴人用, 平民用의 구분이 있었다. 남녀가 공통으로 입었으며 활동적이고 방한에 좋아서 실용적인 복식형태라 볼 수 있다. 고(袴)의 단 끝에는 끈(紐)도 달아서 사용한 듯한데, 조선시대의 대님과 같이 고(袴)와 떨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한층 간편한 것으로 비상시적 복장의 성격을 나타낸다.
상(裳)은 지금의 치마를 일컫는 것이며, 치마 중에서도 주름이 많이 잡힌 것은 군(裙)이라 하였다. 고구려 고분벽화 여인도에 나타난 상(裳)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길고 폭이 넓어 땅에 끌릴 정도였고, 허리에서 치마단 끝까지 잔주름이 고르게 잡혀 있으며 거단(치마단)에는 장식선(裝飾線)인 선을 두르기도 한다. 여자만이 장식적, 의례적 목적으로 바지 위에 착용하였으며, 가장 형태변화가 적게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관모(冠帽)란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미적 감각을 살리고 계급적 표시를 겸하는 것으로서, 처음에는 단순하게 실용적인 의미에서 착용하던 건(巾)에서 출발하여 장식적인 요소와 사회적인 요소가 첨부되고 의례(儀禮), 계급(階級), 상징(象徵) 등을 표시하게 되었다. 따라서 시대에 따라 변천이 많고 복잡하였으며, 사회적인 한계가 어느 복식보다도 크게 반영되어 왔다. 두식(頭飾)의 발전단계는 건(巾)->모(槐)->관(冠)으로 진행되는데, 건(巾)은 실용적인 의미에서 출발하여 장식적 요소가 가미되어 모(帽)로 발전하고 여기에 다시 사회적인 요소가 첨부되어 의례(儀澧), 계급(階級), 상징(象徵) 등을 표시하는 관(冠)으로 발전하였다. 건(巾)은 머리가 흘러내려오지 않도록 감싸는 것으로 망건(網巾)과 같은 형태로서 차츰 장식이 추가되면서 책으로 발달하였다. 칙은 수건을 머리에 매는 건의 형태에서 생겨난 것으로, 고구려의 책은 귀인 계급이 사용하던 관모(冠帽)로 서민계급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 변(弁)은 삼각형 모양으로 운두가 불쑥 솟아 오른 고깔모양에 양옆에 끈이 달려 말을 타고 달려도 벗겨질 염려가 없는 무풍적인 모자이다.
절풍(折風)은 변(弁)과 같은 형태로, 뾰족한 변의 형태에서 발전한 관모로 삼각 형태였다.
<무용총주실 북벽 절풍>
귀족계급에서는 그들의 신분을 표시하기 위해 절풍(折風)에 새 깃털을 꽃은 조우관(鳥羽冠)을 썼으며, 아무 장식이 없는 절풍은 일반 서민이 사용하였다. 절풍은 고구려뿐 아니라 백제, 신라에서도 사용하였다. 왕을 비롯한 귀족은 나관(羅冠)을 썼는데, 왕은 백라관(白羅冠)을 썼으며 대신은 청라관(靑羅冠),강라관(絳羅冠)을 썼다. 부녀자들은 건귁을 썼는데 이걱은 관모라기보다는 일종의 머릿수건의 수식으로 생각된다. 근세에 와서도 \'머릿수건\'이라 하여 개성 이북의 부인들이 쓰는 것이 이 건귁의 형상과 비슷하다.
2. 백제
백제도 그 사회적 특질에 있어서 고구려와 별 차이점이 없이 복식은 무풍적(武風的)으로 발달되어 계급적 분화가 일어났는데, 제 7대 고이왕(234~285)때부터 십육(十六)의 품관제(品官制)가 마련되어 관식(冠飾)과 의대색(衣帶色)으로써 그 등위를 구별하였다. 왕, 신하, 평민의 복식 구분이 명확해졌으며, 또 기혼자와 미혼자의 복식구분이 있을 정도로 혼인관계에 의한 질서주의가 복식면에 구체화되었던 것을 보면 당시의 복식은 신분관념에 의한 사회적 표상물일 뿐만아니라 윤리관념에 의한 사회적 표상물로 되었음을 알수가 있다. 왕은 보라색의 소매가 넓은 포인 자수대포(紫袖大袍)을 입고 청색의 금직으로 된 바지인 청금고(靑錦袴)를 입었는데, 바지통이
대는 유를 앞에서 여며입고, 벗겨지지 않도록하기 위해 허리에 둘러매는 끈이다. 그러나 차츰 계급사회에서의 신분을 과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게 되어 옷감으로 만들던 포백대(布帛帶)에서부터 각대(角帶), 피혁대(皮革帶), 은대(銀帶), 금대(金帶),옥대(玉帶)등 재료와 만드는 방법에 배우 많은 명칭의 대(帶)가 생겨나게 되었다. 삼(衫)이나 포(袍)는 고(袴) 위에 착용하는 긴외투의 형상과 비슷한 것으로 이는 높은 신분의 귀인에서부터 평민에 이르기까지 보편적으로 착용하였는데 이는 방한용뿐 아니라 의례용으로도 입었다. 포(袍)의 대(帶)는 위에서 매어 서로 겹쳐지지 않게 하였다. 평민들은 통수삼(筒袖衫)을 입었으나 귀인들은 소매폭이 넓은 대수삼(大袖衫)도 입었으며, 삼(衫)에서도 귀족과 평민의 신분 차이가 소매의 넓이와 직물의 재료, 단 등에서 나타났다. 삼(衫)이나 포(袍)의 깃은 직령교임형(直領交姙型)이 대부분이나 그 외에 곡령(曲領)과합임도 있다.
고(袴)는 지금의 바지형태로 남녀모두 착용하였다. 상대시대의 기본형을 이루는 下衣, 바지. 가랑이가 따로 떨어져 있는 것으로 동작이 매우 자유로워 말을 타는데도 불편함이 없었다. 궁고(窮袴)는 밑이 막힌 바지이고, 세고(細袴)는 폭이 좁은 바지이며, 대구고(大口袴)는 폭이 넓은 바지를 말한다. 또한 길이가 짧은 곤(잠뱅이)도 있었는데, 의차(衣次)나 길이, 幅에 따라 常用, 軍用, 貴人用, 平民用의 구분이 있었다. 남녀가 공통으로 입었으며 활동적이고 방한에 좋아서 실용적인 복식형태라 볼 수 있다. 고(袴)의 단 끝에는 끈(紐)도 달아서 사용한 듯한데, 조선시대의 대님과 같이 고(袴)와 떨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한층 간편한 것으로 비상시적 복장의 성격을 나타낸다.
상(裳)은 지금의 치마를 일컫는 것이며, 치마 중에서도 주름이 많이 잡힌 것은 군(裙)이라 하였다. 고구려 고분벽화 여인도에 나타난 상(裳)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길고 폭이 넓어 땅에 끌릴 정도였고, 허리에서 치마단 끝까지 잔주름이 고르게 잡혀 있으며 거단(치마단)에는 장식선(裝飾線)인 선을 두르기도 한다. 여자만이 장식적, 의례적 목적으로 바지 위에 착용하였으며, 가장 형태변화가 적게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관모(冠帽)란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미적 감각을 살리고 계급적 표시를 겸하는 것으로서, 처음에는 단순하게 실용적인 의미에서 착용하던 건(巾)에서 출발하여 장식적인 요소와 사회적인 요소가 첨부되고 의례(儀禮), 계급(階級), 상징(象徵) 등을 표시하게 되었다. 따라서 시대에 따라 변천이 많고 복잡하였으며, 사회적인 한계가 어느 복식보다도 크게 반영되어 왔다. 두식(頭飾)의 발전단계는 건(巾)->모(槐)->관(冠)으로 진행되는데, 건(巾)은 실용적인 의미에서 출발하여 장식적 요소가 가미되어 모(帽)로 발전하고 여기에 다시 사회적인 요소가 첨부되어 의례(儀澧), 계급(階級), 상징(象徵) 등을 표시하는 관(冠)으로 발전하였다. 건(巾)은 머리가 흘러내려오지 않도록 감싸는 것으로 망건(網巾)과 같은 형태로서 차츰 장식이 추가되면서 책으로 발달하였다. 칙은 수건을 머리에 매는 건의 형태에서 생겨난 것으로, 고구려의 책은 귀인 계급이 사용하던 관모(冠帽)로 서민계급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 변(弁)은 삼각형 모양으로 운두가 불쑥 솟아 오른 고깔모양에 양옆에 끈이 달려 말을 타고 달려도 벗겨질 염려가 없는 무풍적인 모자이다.
절풍(折風)은 변(弁)과 같은 형태로, 뾰족한 변의 형태에서 발전한 관모로 삼각 형태였다.
<무용총주실 북벽 절풍>
귀족계급에서는 그들의 신분을 표시하기 위해 절풍(折風)에 새 깃털을 꽃은 조우관(鳥羽冠)을 썼으며, 아무 장식이 없는 절풍은 일반 서민이 사용하였다. 절풍은 고구려뿐 아니라 백제, 신라에서도 사용하였다. 왕을 비롯한 귀족은 나관(羅冠)을 썼는데, 왕은 백라관(白羅冠)을 썼으며 대신은 청라관(靑羅冠),강라관(絳羅冠)을 썼다. 부녀자들은 건귁을 썼는데 이걱은 관모라기보다는 일종의 머릿수건의 수식으로 생각된다. 근세에 와서도 \'머릿수건\'이라 하여 개성 이북의 부인들이 쓰는 것이 이 건귁의 형상과 비슷하다.
2. 백제
백제도 그 사회적 특질에 있어서 고구려와 별 차이점이 없이 복식은 무풍적(武風的)으로 발달되어 계급적 분화가 일어났는데, 제 7대 고이왕(234~285)때부터 십육(十六)의 품관제(品官制)가 마련되어 관식(冠飾)과 의대색(衣帶色)으로써 그 등위를 구별하였다. 왕, 신하, 평민의 복식 구분이 명확해졌으며, 또 기혼자와 미혼자의 복식구분이 있을 정도로 혼인관계에 의한 질서주의가 복식면에 구체화되었던 것을 보면 당시의 복식은 신분관념에 의한 사회적 표상물일 뿐만아니라 윤리관념에 의한 사회적 표상물로 되었음을 알수가 있다. 왕은 보라색의 소매가 넓은 포인 자수대포(紫袖大袍)을 입고 청색의 금직으로 된 바지인 청금고(靑錦袴)를 입었는데, 바지통이
추천자료
전통문화가 여가문화에 끼치는 교육적 기능-전통문화체험기 포함
한복의 세계화(문화교류론)
해외 지역학 일본의 의식주 문화
[한국의 문화][한국문화][음주문화][음주][술문화][술][음식문화][반상문화][개고기문화][개...
[일본][일본문화][일본의 문화][주거][차][축제][결혼][일본문화개방]일본의 문화(일본의 생...
[멕시코][멕시코 문화][멕시코의 문화][결혼문화][전통의상]멕시코의 경제, 멕시코의 임금구...
[해체(해체주의)][복식(의복)에서 해체(해체주의)][헤어스타일에서 해체(해체주의)]해체(해체...
[일본결혼문화, 일본, 결혼문화, 결혼대상, 결혼절차, 호텔예식]일본결혼문화의 개요, 일본결...
[놀이][놀이문화]놀이(놀이문화) 역할, 놀이(놀이문화)와 차속놀이, 놀이(놀이문화)와 청소년...
[놀이문화][놀이][문화][다양성]놀이문화의 필요성, 놀이문화의 다양성, 놀이문화와 놀이, 놀...
놀이문화(놀이)의 요소, 놀이문화(놀이)의 분류, 놀이문화(놀이)의 기원, 놀이문화(놀이) 역...
[일본문화][일본음식문화]일본문화와 일본음식문화, 일본식생활문화, 일본문화와 일본쌀문화,...
[한국전통문화] 혼례 속에 담긴 한국문화 요소 - 의례문화, 언어문화, 정신문화, 제도문화
미디어영상학과=문화산업과 문화기획=(문화예술에 대한 다양한 지원제도)다양한 지원 프로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