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Epidemiology(역학)
2. 원 인
3. Pathology(병리학)
4. 퇴행성관절염의 위험인자
5. 증 상
6. 임상적 진단기준
7. 치료방법 (Treatment)
8. 예방방법 & Management(관리)
2. 원 인
3. Pathology(병리학)
4. 퇴행성관절염의 위험인자
5. 증 상
6. 임상적 진단기준
7. 치료방법 (Treatment)
8. 예방방법 & Management(관리)
본문내용
한 유연성(신장) 운동은 이 조직들 특히 근육과 근막의 신축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는 국민체조나 맨손체조 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운동으로 가능한 관절운동 범위에서 수초 동안 동작을 정지하여 근육을 늘려주는 방법으로, 운동 시는 천천히 그리고 부드럽게 움직여야 되며 뛰거나 급히 움직이면 안된다.
② 근육 강화운동
근육 강화운동은 근육을 운동시킴으로써 근육의 힘을 유지하거나 증진하는데 도움이 되는 운동으로 등척성 운동과 등장성 운동이 있습니다. 등척성 운동은 정적인 운동으로 관절을 움직이지 않고 근육의 힘을 기르는 것으로, 예를 들면 무릎관절을 편 상태로 허벅지 전방에 힘을 주어 대퇴사두근을 강화시키는 운동입니다. 등장성 운동은 일정한 무게의 부하를 유지하며 관절을 움직이는 운동으로, 예를 들어 의자에 앉아 일정한 힘을 주어 무릎 관절을 신전 시키는 것은 대퇴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입니다.
③ 지구력 운동
지구력 운동은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에게 가장 이로운 운동으로 평지 걷기, 수영, 정지된 자전거타기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처음부터 지구력 운동을 하는 것은 근육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처음에는 유연성 운동인 신장 운동과 근육 강화 운동을 한 후에 점차적으로 지구력운동을 해야 한다.
첫째, 평지 걷기는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고 비용도 들지 않습니다. 지지력이 좋고 편안한 신발이 필요하며 결코 무리해서는 안된다. 거리나 시간 등을 규칙적으로 기록하여 점차 늘려가는 방식으로 실시한다.
둘째, 수영은 정상적인 관절운동을 유지시키고 관절의 강직을 감소시키는 유연성 운동과 근육 강화 운동 및 지구력 운동이 복합된 운동입니다. 수영 역시 결코 무리해서는 안되며 주로 자유형과 배형을 실시하고, 평형은 무릎 관절에 많은 부담을 주므로 실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정지된 자전거 타기는 대퇴, 무릎, 다리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면서 체력을 증진시키는 좋은 방법으로 좌석 높이를 조절하여 발판이 아래에 있을 때 무릎을 곧게 펼 수 있도록 한다. 처음 시작할 때는 시간당 약 20 km 이하로 해야 되며, 저항을 추가할 때는 점진적으로 해야 되며 페달을 밟는데 힘이 들 정도로는 하지 말아야 된다.
출 처
중앙일보헬스케어
CIBA
http://www.healthkorea.net/HealthInfo 건강샘
내과학 - 김형섭 편저, 서울 고려의학
서재현 통증크리닉
홍익병원 www.dryimclinic.com
② 근육 강화운동
근육 강화운동은 근육을 운동시킴으로써 근육의 힘을 유지하거나 증진하는데 도움이 되는 운동으로 등척성 운동과 등장성 운동이 있습니다. 등척성 운동은 정적인 운동으로 관절을 움직이지 않고 근육의 힘을 기르는 것으로, 예를 들면 무릎관절을 편 상태로 허벅지 전방에 힘을 주어 대퇴사두근을 강화시키는 운동입니다. 등장성 운동은 일정한 무게의 부하를 유지하며 관절을 움직이는 운동으로, 예를 들어 의자에 앉아 일정한 힘을 주어 무릎 관절을 신전 시키는 것은 대퇴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입니다.
③ 지구력 운동
지구력 운동은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에게 가장 이로운 운동으로 평지 걷기, 수영, 정지된 자전거타기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처음부터 지구력 운동을 하는 것은 근육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처음에는 유연성 운동인 신장 운동과 근육 강화 운동을 한 후에 점차적으로 지구력운동을 해야 한다.
첫째, 평지 걷기는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고 비용도 들지 않습니다. 지지력이 좋고 편안한 신발이 필요하며 결코 무리해서는 안된다. 거리나 시간 등을 규칙적으로 기록하여 점차 늘려가는 방식으로 실시한다.
둘째, 수영은 정상적인 관절운동을 유지시키고 관절의 강직을 감소시키는 유연성 운동과 근육 강화 운동 및 지구력 운동이 복합된 운동입니다. 수영 역시 결코 무리해서는 안되며 주로 자유형과 배형을 실시하고, 평형은 무릎 관절에 많은 부담을 주므로 실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정지된 자전거 타기는 대퇴, 무릎, 다리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면서 체력을 증진시키는 좋은 방법으로 좌석 높이를 조절하여 발판이 아래에 있을 때 무릎을 곧게 펼 수 있도록 한다. 처음 시작할 때는 시간당 약 20 km 이하로 해야 되며, 저항을 추가할 때는 점진적으로 해야 되며 페달을 밟는데 힘이 들 정도로는 하지 말아야 된다.
출 처
중앙일보헬스케어
CIBA
http://www.healthkorea.net/HealthInfo 건강샘
내과학 - 김형섭 편저, 서울 고려의학
서재현 통증크리닉
홍익병원 www.dryimclini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