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고관절 대치술
2. 임상적용
3. 고려사항
4. 방법
5. 수술 전 환자관리
6. 수술 후 환자 간호/관리
7. 합병증
8. 환자교육/건강유지
9. 고관절 대치술이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참고 자료 및 문헌
2. 임상적용
3. 고려사항
4. 방법
5. 수술 전 환자관리
6. 수술 후 환자 간호/관리
7. 합병증
8. 환자교육/건강유지
9. 고관절 대치술이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참고 자료 및 문헌
본문내용
통증은 고관절주위 근육을 잘 사용하지 않아 근력이 약해져 생기는 것이므로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 적절한 자세유지
a.보통 침대에 똑바로 누워 있게 한다.
b.수술 받은 부위는 보철의 위치이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전 부목이나 베개,Buck\'s 신전견인을 이용하여 약간 외전시킨다.
c.고관절의 급작스런 굴곡을 피한다.
d,2명의 간호사가 수술하지 않은 쪽으로 환자를 돌려눕히는데 이때 수술한 쪽은 안전하게 베개로 다리전체를 지지한다.
(i)다리 외전을 위해 베개를 사용하고,편안감제공위해 등뒤에도 제공한다.
(ii)자세변경시 보조를 위해 머리위의 손잡이를 이용한다.
e.침대는 보통 45°이상으로 상승시키지 않는다:상체를 일으킨 자세는 고관절에 무리를 주어 탈구를 초래하게 된다.
f.소변기를 사용하도록 한다.사용 후 몸을 일으킬때 수술한쪽의 고관절을 굴곡하지 않도록 주의 시킨다.
· 피부 간호 및 운동: 발꿈치의 욕창을 예방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고, 가능하면, 공기침요를 사용한다.수술 받은 쪽 대퇴는 가끔 붙여놓은 테이프 때문에 수포나 부종이 생길 수 있으므로 드레싱을 교환할 때 주의해서 관찰한다. 발꿈치, 천골부위, 팔꿈치 등에 욕창의 징후가 있는지 자주 관찰한다. 발꿈치를 보호하기 위해 장딴지에 수건 등을 받쳐 발꿈치가 침대 바닥에서 항상 떠 있도록 유지한다. 수술받지 않은 쪽의 사지도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한데 주로 등척성 운동과 배굴·척굴 운동을 하게 한다. 기침과 심호흡도 역시 중요하다.
수분량을 늘리는 것과 다리운동은 혈액순환을 돕는다
· 기동과퇴원: 보행기를 이용하여 점진적으로 걷는 운동을 하게 된다. 수술 후 2~6일부터 물리치료를 시작하며, 근육에 강도를 유지하는 운동과 고관절을 심하게 굴곡시키지 않고 일어서거나 앉는 운동, 신발신는 방법, 바지입는방법등을 교육하여 퇴원을 준비시킨다.
7. 합병증
· 세 가지 잠재적인 합병증
① 감염이나 외상으로 인하여 접합(cement)한 것이 떨어지거나 보철기가 느슨해질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동통이 나타나며, 또 다른 수술이 필요해질 수 있다.
② 상처감염으로, 심하면 보철기를 제거해야 한다. 신체내에 위치한 이물질은 신체 방어기전을 억제하므로 감염의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처감염은 정맥내로 항생제를 투여하고, 항생제 용액을 이용하여, 계속적인 상처 세척과 상처변연 절제술로 치료한다. 만약 보철기를 제거하면 환자는 고관절이 불안정하게 되고 다리가
· 적절한 자세유지
a.보통 침대에 똑바로 누워 있게 한다.
b.수술 받은 부위는 보철의 위치이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전 부목이나 베개,Buck\'s 신전견인을 이용하여 약간 외전시킨다.
c.고관절의 급작스런 굴곡을 피한다.
d,2명의 간호사가 수술하지 않은 쪽으로 환자를 돌려눕히는데 이때 수술한 쪽은 안전하게 베개로 다리전체를 지지한다.
(i)다리 외전을 위해 베개를 사용하고,편안감제공위해 등뒤에도 제공한다.
(ii)자세변경시 보조를 위해 머리위의 손잡이를 이용한다.
e.침대는 보통 45°이상으로 상승시키지 않는다:상체를 일으킨 자세는 고관절에 무리를 주어 탈구를 초래하게 된다.
f.소변기를 사용하도록 한다.사용 후 몸을 일으킬때 수술한쪽의 고관절을 굴곡하지 않도록 주의 시킨다.
· 피부 간호 및 운동: 발꿈치의 욕창을 예방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고, 가능하면, 공기침요를 사용한다.수술 받은 쪽 대퇴는 가끔 붙여놓은 테이프 때문에 수포나 부종이 생길 수 있으므로 드레싱을 교환할 때 주의해서 관찰한다. 발꿈치, 천골부위, 팔꿈치 등에 욕창의 징후가 있는지 자주 관찰한다. 발꿈치를 보호하기 위해 장딴지에 수건 등을 받쳐 발꿈치가 침대 바닥에서 항상 떠 있도록 유지한다. 수술받지 않은 쪽의 사지도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한데 주로 등척성 운동과 배굴·척굴 운동을 하게 한다. 기침과 심호흡도 역시 중요하다.
수분량을 늘리는 것과 다리운동은 혈액순환을 돕는다
· 기동과퇴원: 보행기를 이용하여 점진적으로 걷는 운동을 하게 된다. 수술 후 2~6일부터 물리치료를 시작하며, 근육에 강도를 유지하는 운동과 고관절을 심하게 굴곡시키지 않고 일어서거나 앉는 운동, 신발신는 방법, 바지입는방법등을 교육하여 퇴원을 준비시킨다.
7. 합병증
· 세 가지 잠재적인 합병증
① 감염이나 외상으로 인하여 접합(cement)한 것이 떨어지거나 보철기가 느슨해질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동통이 나타나며, 또 다른 수술이 필요해질 수 있다.
② 상처감염으로, 심하면 보철기를 제거해야 한다. 신체내에 위치한 이물질은 신체 방어기전을 억제하므로 감염의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처감염은 정맥내로 항생제를 투여하고, 항생제 용액을 이용하여, 계속적인 상처 세척과 상처변연 절제술로 치료한다. 만약 보철기를 제거하면 환자는 고관절이 불안정하게 되고 다리가
추천자료
운동을 통한 요통예방과 치료
[성인간호학]척추관협착증 CASE
골관절염사례연구
관절의 재발성 탈구 case study
중족골 골절 case study
[골절][두개저 골절][관골 골절][상악골 골절][골절 치료][골절환자][골절환자 간호]골절의 ...
의학약어요약정리.
골반 골절 케이스 plevic fracture
성인간호 척추협착증 case (spinal stenosis)
종골골절케이스스터디
Fracture (골절) case study 간호사례연구
fracture(femur fracture) CASE
척추관 협착증 Spinal stenosis -A+받은 자료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