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쌀의 종류
■ 잡곡의 종류
■ 좋은 쌀의 조건
■ 쌀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방법
■ 쌀의 조리법
■ 잡곡의 종류
■ 좋은 쌀의 조건
■ 쌀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방법
■ 쌀의 조리법
본문내용
nica type)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재배벼는 구형에 속하며 다수확 품종인 통일벼의 품종은 장방형 내지 중간형에 속한다.
출처: WWW.CENTER.GO.KR/product/rice03asp
■ 잡곡의 종류
1. 찰보리쌀
지방과 탄수화물이 적고 식이섬유의 양이 쌀에 비해 3배나 많고 비타민 군 이 풍부하며 특히 식이섬유의 형태가 수용성인 glucan의 함량이 매우 높아 당뇨병의 식이요법제로서 혈당 조절에 유효할 뿐만 아니라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도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보리쌀은 거칠고 끈기가 적어서 오래 씹어야 하므로 이나 턱이 튼튼해져 성장기 어린이 발육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식사가 오래 걸려 다이어트 효과, 비만·당뇨에도 좋다.
2. 조조
조조는 피, 기장과 더불어 가장 오래된 식량작물이며 오곡밥에서 빼놓을 수 없는 귀중한 잡곡이고 쌀에서 부족한 영양분을 고루 가지고 있으므로 건강 별미식으로 대단히 좋다. 주성분은 탄수화물이지만 단백질과 지방질도 손색 이 없으며 비타민도 풍부하다. 조는 섬유질이 많은 곡물로 당조절 기능을 하는 효과가 있다.
- 정장작용
- 옻창 치료작용
- 불면증 치료작용
- 폐병 치료작용 : 차조는 폐의 곡물로서 폐병 환자가 먹으면 좋다.
동의보감에서는 \"조의 성질은 약간 차고 맛이 짜며 독이 없다.
신의 기운 을 보양하고 비위 속의 열을 없애며 기를 보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여 비위를 돕는다\"고 하였다. 신장 기운이 약하거나 단전을 보강하고 싶을 때 조가 필요하다.
나이가 들어 근골이 쑤시고 아픈 신경통에 좋은데 이때는 메조 보다 찬 기운이 덜하고 차진 차조가 좋다.
3. 팥팥의 주성분은 탄수화물인데, 탄수화물 중에서도 전분함량이 가장 많아 팥 성분의 34%를 차지한다. 또한, 단백질함량도 많은 편으로(약 20%) 영양가 가 높다. 팥은 쌀, 보리, 잡곡과 섞어서 밥을 짓거나 팥죽을 쑤며 과자나 떡의 고물로 쓴다. 팥의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vitamin류로서 생리활성 및 효능으로는 다음과 같다.
- 통변작용 : saponin은 장 자극 작용이 있어 섬유질과 더불어 변비를 치료 하는 작용
- 항각기작용 : thiamin은 각기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
- 숙취해소작용
- 해독작용
- 이뇨작용
- 또한 고전문헌에 의하면 술 마신 뒤에, 얼굴에 종기가 생겼을 때 이용 되었고 한방과 민간에서는 단독, 통유, 해열, 부종, 수종, 각기, 이뇨, 종기, 산전후통, 임질, 허냉, 진통 등에 약재로 쓰이고 있다.
4. 기장
기장은 인류가 최초로 재배하기 시작한 식량작물 중의 하나이며 내재해 단기생육성 자가수정 화본과 식물이다. 우리나라에서 기장은 종실이 작아 소립 잡곡류에 속하며 찹쌀, 팥, 수수, 조와 더불어 오곡밥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귀중한 잡곡이다. 기장은 아미노산 조성이 비교적 좋은 편이며, 특히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기장 추출물이 체내 콜레스테롤 생합성 관련 효소인 HMG-CoA reductase 활성을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고, 기장 추출물 및 분말을 흰쥐에게 급여 한 결과 혈중 중성지방함량이 저하하였고 간장 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함량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기장은 고지혈증 환자에게 권장 할 수 있는 곡류 중의 하나이다. 기장의 주성분은 탄수화물이며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도 적지 않고 비타민A 가 충분히 함유되어 있다. 기장에는 찰기장이 많아 팥과 섞어 밥을 짓거나 떡을 만들면 별미가 있고 소화율도 높다.
5. 발아현미
쌀의 전체적인 영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특히 발아에 의하여 일반현미 보다 식이섬유소 함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출처: WWW.CENTER.GO.KR/product/rice03asp
■ 잡곡의 종류
1. 찰보리쌀
지방과 탄수화물이 적고 식이섬유의 양이 쌀에 비해 3배나 많고 비타민 군 이 풍부하며 특히 식이섬유의 형태가 수용성인 glucan의 함량이 매우 높아 당뇨병의 식이요법제로서 혈당 조절에 유효할 뿐만 아니라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도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보리쌀은 거칠고 끈기가 적어서 오래 씹어야 하므로 이나 턱이 튼튼해져 성장기 어린이 발육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식사가 오래 걸려 다이어트 효과, 비만·당뇨에도 좋다.
2. 조조
조조는 피, 기장과 더불어 가장 오래된 식량작물이며 오곡밥에서 빼놓을 수 없는 귀중한 잡곡이고 쌀에서 부족한 영양분을 고루 가지고 있으므로 건강 별미식으로 대단히 좋다. 주성분은 탄수화물이지만 단백질과 지방질도 손색 이 없으며 비타민도 풍부하다. 조는 섬유질이 많은 곡물로 당조절 기능을 하는 효과가 있다.
- 정장작용
- 옻창 치료작용
- 불면증 치료작용
- 폐병 치료작용 : 차조는 폐의 곡물로서 폐병 환자가 먹으면 좋다.
동의보감에서는 \"조의 성질은 약간 차고 맛이 짜며 독이 없다.
신의 기운 을 보양하고 비위 속의 열을 없애며 기를 보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여 비위를 돕는다\"고 하였다. 신장 기운이 약하거나 단전을 보강하고 싶을 때 조가 필요하다.
나이가 들어 근골이 쑤시고 아픈 신경통에 좋은데 이때는 메조 보다 찬 기운이 덜하고 차진 차조가 좋다.
3. 팥팥의 주성분은 탄수화물인데, 탄수화물 중에서도 전분함량이 가장 많아 팥 성분의 34%를 차지한다. 또한, 단백질함량도 많은 편으로(약 20%) 영양가 가 높다. 팥은 쌀, 보리, 잡곡과 섞어서 밥을 짓거나 팥죽을 쑤며 과자나 떡의 고물로 쓴다. 팥의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vitamin류로서 생리활성 및 효능으로는 다음과 같다.
- 통변작용 : saponin은 장 자극 작용이 있어 섬유질과 더불어 변비를 치료 하는 작용
- 항각기작용 : thiamin은 각기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
- 숙취해소작용
- 해독작용
- 이뇨작용
- 또한 고전문헌에 의하면 술 마신 뒤에, 얼굴에 종기가 생겼을 때 이용 되었고 한방과 민간에서는 단독, 통유, 해열, 부종, 수종, 각기, 이뇨, 종기, 산전후통, 임질, 허냉, 진통 등에 약재로 쓰이고 있다.
4. 기장
기장은 인류가 최초로 재배하기 시작한 식량작물 중의 하나이며 내재해 단기생육성 자가수정 화본과 식물이다. 우리나라에서 기장은 종실이 작아 소립 잡곡류에 속하며 찹쌀, 팥, 수수, 조와 더불어 오곡밥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귀중한 잡곡이다. 기장은 아미노산 조성이 비교적 좋은 편이며, 특히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기장 추출물이 체내 콜레스테롤 생합성 관련 효소인 HMG-CoA reductase 활성을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고, 기장 추출물 및 분말을 흰쥐에게 급여 한 결과 혈중 중성지방함량이 저하하였고 간장 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함량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기장은 고지혈증 환자에게 권장 할 수 있는 곡류 중의 하나이다. 기장의 주성분은 탄수화물이며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도 적지 않고 비타민A 가 충분히 함유되어 있다. 기장에는 찰기장이 많아 팥과 섞어 밥을 짓거나 떡을 만들면 별미가 있고 소화율도 높다.
5. 발아현미
쌀의 전체적인 영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특히 발아에 의하여 일반현미 보다 식이섬유소 함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추천자료
유전자 조작식품의 안전성
효소의 식품산업에의 이용
FTA와 식품산업
유전자 조작 식품(GMO)의 본질적 문제 논의
유전자 변형 식품에 대한 고찰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식품
[식품제조방법][제조방법][식혜][사과주스][우유][홍차][감귤쥬스][식초][참기름]식혜 제조방...
외국수입 식품의 안정성에 관하여
기능성 식품
[식품가공학] 곡물, 콩의 가공
(식품가공학) 밀가루의 Pekar test
[음식문화사_한국 전통식품(장)의 역사]된장의 유래, 콩의 유래, 간장의 유래, 고추장의 유래
GMO(유전자조작식품)에 대한 현 상황과 그에 대한 방안
유기농 식품의 국.내외 사례 및 발전방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