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동양고전독법 -강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나의 동양고전독법 -강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써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그리하여 다툼과 혼란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툼과 혼란을 방지하되 물질의 생산과 소비에 일정한 한계를 두어 조화를 이루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예를 세워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경우 예란 당연히 사회의 제도와 규범이다. 이것을 세워서 쟁란을 안정적으로 방지한다는 것이다. 순자의 예는 후에 법이 된다. 순자의 예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예를 곧 법과 제도의 의미로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순자의 예론의 기본적 내용은 법과 제도이다. 그러나 이 법과 제도가 안정적으로 작동케 하기 위해서 교육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잊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다른 책들과 달리 강의하는 듯한 어투, 곳곳의 고전 글귀들로 색다른 느낌을 주고 있었다. 비전공자들이 동양고전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배려해 놓은 것이다.『강의』에서는 동양 고전의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시경, 주역, 논어, 맹자, 노자 등을 다루고 있었다. 솔직히 이 책을 해석하는데 조금 시간이 걸렸으며 어려워서 다른 책을 읽을까도 고민도 많이 했지만 나름 재미있었다. 사실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도 많았다. 그러나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세상가치의 상대성에 대한 인식이 깨달음의 전제이며 규칙에 얽어매어 놓고 자유를 양도함으로써 위안을 얻고자 하지 말아야 하는 것 같다. 처음 신영복교수의 『강의』를 읽기 전에는 동양고전내용이라는 것이 매우 부담으로 느껴졌었다. 그리고 나의 관심밖의 내용이었기 때문에 흥미도 느끼지 못할 것이라 생각되었다. 그러나 고전 글귀들을 읽으면서 예상했던거 보다는 재미있게 읽어 나갔다. 다만 시간에

키워드

동양,   고전,   논어,   맹자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7.05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2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