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간호력
Ⅱ. 질병 기술
Ⅲ. 신체 사정
Ⅳ. 간호진단 및 중재
간호진단 : 운동 부족과 식이 습관과 관련된 배변양상의 변화(변비)
Ⅱ. 질병 기술
Ⅲ. 신체 사정
Ⅳ. 간호진단 및 중재
간호진단 : 운동 부족과 식이 습관과 관련된 배변양상의 변화(변비)
본문내용
로 출혈에 각별히 유의하도록 한다.
① 주위 환경에 출혈을 일으킬만할 물건들을 치운다.
② 구강출혈을 막기 위해 부드러운 칫솔과 칫솔질을 하도록 한다.
③ 지혈시 문지르지 말고 확실히 꽉 누름으로써 한다.
④ 너무 세게 코를 풀거나, 코를 파지 않도록 한다.
▷ 진통제가 3개나 처방된 것으로 보아 환자가 허리부위에 통증을 크게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또한 변비로 인한 심장 부담을 막기 위해 변비약을 처방한다는 것을 추측 할 수 있다.
3/21
3/22
Time
0A
5A
8A
1P
4P
9P
0A
5A
8A
1P
4P
9P
BP(mmhg)
100/70
95/60
110/70
90/50
100/60
100/60
100/70
100/70
100/70
100/70
100/60
100/60
PR(회/min)
84
82
80
72
80
89
96
84
79
85
84
90
RR(회/min)
20
20
20
20
22
24
20
20
20
20
20
20
BT(도)
37.5
36.3
36.8
36.8
36.6
38.5
37.9
36.3
37.4
36.5
37.1
39
3/23
3/24
0A
5A
8A
1P
4P
9P
0A
5A
8A
1P
4P
9P
95/60
100/70
105/70
120/70
90/60
110/70
100/70
100/70
100/70
100/70
120/80
84
78
85
99
77
72
83
70
88
84
88
20
20
20
20
20
20
24
22
22
22
22
36.8
37
38.2
38
36.8
36.9
37.5
36.5
37.4
38.7
38.6
35.9
3/28
0A
5A
100/70
100/70
92
92
20
20
38.9
37.9
▷ 감염증상으로 인한 고체온이 자주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정기적으로 환자의 활력증후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3/21
3/22
3/23
3/24
총 섭취량
3508
2501.2
1917.1
2081.6
총 배설량
배뇨: 3570
대변0회
2350
대변4회
2000
대변3회
2400
대변1회
체중(kg)
43.3
43
41.9
41.8
결과
+62
+151.2
-82.9
+318.4
*총섭취량=경구(cc)+정맥주입(cc)+Packed RBC(cc)
▷ 환자는 헤모글로빈 수치가 낮으므로 수혈을 해준다. 이것은 총 섭취량에 포함하여 계산한다.
▷ 3/22과 3/23 사이에 몸무게가 1.4kg이나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하루만에 900g이상 빠지 면 환자 상태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Ⅳ. 간호진단 및 중재
간호진단 : 운동 부족과 식이 습관과 관련된 배변양상의 변화(변비)
자료
목적 및 평가기준
계획 및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및 재계획
객관적 자료 :
① 환자의 약 처방에 alaxyl이 항상 있다.
② 환자는 하루의 대부분을 침상에서 보낸다.
③ 물이나 과일, 채소 등 수분, 식이섭취량이 적다.
주관적 자료 :
① “변은 잘 보고 계세요?” 라는 질문에 “ 약(alaxyl)먹어서 잘 보고 있어”라고 대답하신다.
현재 환자는 alaxyl 처방으로 배변하고 있으나, 노인의 특성에다 침상 안정을 취해야 하는 환자이므로 향후 가정에서 변비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고 약의 의존하지 않는 배변생활을 위해 간호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
목적 :
환자가 약물의 도움 없이도 변을 스스로 볼 수 있다. (하루 또는 이틀에 1번)
평가기준
1. 변비 예방을 위한 적절한 식이를 알고 시행할 수 있다.
2. 변비 예방을 위해서 하루 걷기를 최소 30분 2번 이상 수행한다.
3. 변비 예방을 위한 간단한 마사지법을 알고 하루 한번 규칙적으로 한다.
4. 환자가 약을 먹지 않고도 변을 볼 수 있다는 자신감을 표현한다.
1. 규칙적인 배변습관 : 매일 정해진 시간에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배변하도록 격려한다.
▷평가
① 식이섬유 섭취가 환자의 배변활동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설명하고, 환자가 좋아할만한 요구르트와 요플레를 권하자 따르겠다고 말씀하셨다.
② 병원 일정에 따라 규칙적으로 식사하셨다.
③ 하루에 한번 이상 병원 복도를 걷는 환자를 볼 수 있었다.
④ 환자에게 배변장애(변비)로 인한 심장에 대한 부담을 직접적으로 설명해드렸더니 학생 간호사가 권유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려 노력해보겠다고 말씀하셨다.
→환자의 일정으로 간호수행도 제대로 하지 못했을 뿐더러 환자와의 관계도 수월하지 않았다. 대체적으로 목표달성 실패이다.
▷재계획
① 우선 환자와의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끊임없는 접근을 통해 대화를 유도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② 환자는 무리한 운동을 해서는 안 되는 상태이므로 적당한 걷기 운동과 특히 수행하기 쉬운 마사지법을 꼭 알도록 한다.
2. 변비 예방 식이
① 하루 먹어야 할 음식과 먹은 음식들을 매일 기록하도록 한다.
② 규칙적인 식사를 하도록 격려한다.
③ 식이섬유가 배변에 어떤 작용을 하는지 이해시키고 생활 속에 식이섬유를 가진 음식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교육시킨다.
④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적당히 찬 물을 한 컵 먹도록 한다.
① 식이는 장기적인 변화 시기를 가져야 한다.
② 대장의 규칙적인 리듬 회복에 도움이 된다.
③ 섬유소의 중요성을 알고 가까운 곳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음식을 알려주어 수행하기 수월하도록 한다.
④ 일어나자 마시는 습관은 장을 자극시켜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한다.
3. 운동
① 누워서도 할 수 있는 배변 촉진 마사지법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시킨다.
② 하루에 규칙적으로 걷기 운동을 하도록
격려한다.
① 마사지는 장이 원활하게 운동하는 것을 돕고,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는 능력이 떨어지는 환자이므로 집에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보호자에게도 함께 교육시킨다.
② 모든 운동의 기본인 걷기는 가장 적은 힘이 들고 큰 효과를 발휘한다.
4. 약에 대한 심리적 의존성을 줄이고, 약 없이도 배변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증진시킨다.
① 변비와 환자의 심장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고, 위의 내용을 일상생활화 하도록 한다.
환자의 질병과 직접적으로 연관을 짓게 함으로써 행동습관 변화에 큰 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준다.
① 주위 환경에 출혈을 일으킬만할 물건들을 치운다.
② 구강출혈을 막기 위해 부드러운 칫솔과 칫솔질을 하도록 한다.
③ 지혈시 문지르지 말고 확실히 꽉 누름으로써 한다.
④ 너무 세게 코를 풀거나, 코를 파지 않도록 한다.
▷ 진통제가 3개나 처방된 것으로 보아 환자가 허리부위에 통증을 크게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또한 변비로 인한 심장 부담을 막기 위해 변비약을 처방한다는 것을 추측 할 수 있다.
3/21
3/22
Time
0A
5A
8A
1P
4P
9P
0A
5A
8A
1P
4P
9P
BP(mmhg)
100/70
95/60
110/70
90/50
100/60
100/60
100/70
100/70
100/70
100/70
100/60
100/60
PR(회/min)
84
82
80
72
80
89
96
84
79
85
84
90
RR(회/min)
20
20
20
20
22
24
20
20
20
20
20
20
BT(도)
37.5
36.3
36.8
36.8
36.6
38.5
37.9
36.3
37.4
36.5
37.1
39
3/23
3/24
0A
5A
8A
1P
4P
9P
0A
5A
8A
1P
4P
9P
95/60
100/70
105/70
120/70
90/60
110/70
100/70
100/70
100/70
100/70
120/80
84
78
85
99
77
72
83
70
88
84
88
20
20
20
20
20
20
24
22
22
22
22
36.8
37
38.2
38
36.8
36.9
37.5
36.5
37.4
38.7
38.6
35.9
3/28
0A
5A
100/70
100/70
92
92
20
20
38.9
37.9
▷ 감염증상으로 인한 고체온이 자주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정기적으로 환자의 활력증후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3/21
3/22
3/23
3/24
총 섭취량
3508
2501.2
1917.1
2081.6
총 배설량
배뇨: 3570
대변0회
2350
대변4회
2000
대변3회
2400
대변1회
체중(kg)
43.3
43
41.9
41.8
결과
+62
+151.2
-82.9
+318.4
*총섭취량=경구(cc)+정맥주입(cc)+Packed RBC(cc)
▷ 환자는 헤모글로빈 수치가 낮으므로 수혈을 해준다. 이것은 총 섭취량에 포함하여 계산한다.
▷ 3/22과 3/23 사이에 몸무게가 1.4kg이나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하루만에 900g이상 빠지 면 환자 상태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Ⅳ. 간호진단 및 중재
간호진단 : 운동 부족과 식이 습관과 관련된 배변양상의 변화(변비)
자료
목적 및 평가기준
계획 및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및 재계획
객관적 자료 :
① 환자의 약 처방에 alaxyl이 항상 있다.
② 환자는 하루의 대부분을 침상에서 보낸다.
③ 물이나 과일, 채소 등 수분, 식이섭취량이 적다.
주관적 자료 :
① “변은 잘 보고 계세요?” 라는 질문에 “ 약(alaxyl)먹어서 잘 보고 있어”라고 대답하신다.
현재 환자는 alaxyl 처방으로 배변하고 있으나, 노인의 특성에다 침상 안정을 취해야 하는 환자이므로 향후 가정에서 변비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고 약의 의존하지 않는 배변생활을 위해 간호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
목적 :
환자가 약물의 도움 없이도 변을 스스로 볼 수 있다. (하루 또는 이틀에 1번)
평가기준
1. 변비 예방을 위한 적절한 식이를 알고 시행할 수 있다.
2. 변비 예방을 위해서 하루 걷기를 최소 30분 2번 이상 수행한다.
3. 변비 예방을 위한 간단한 마사지법을 알고 하루 한번 규칙적으로 한다.
4. 환자가 약을 먹지 않고도 변을 볼 수 있다는 자신감을 표현한다.
1. 규칙적인 배변습관 : 매일 정해진 시간에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배변하도록 격려한다.
▷평가
① 식이섬유 섭취가 환자의 배변활동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설명하고, 환자가 좋아할만한 요구르트와 요플레를 권하자 따르겠다고 말씀하셨다.
② 병원 일정에 따라 규칙적으로 식사하셨다.
③ 하루에 한번 이상 병원 복도를 걷는 환자를 볼 수 있었다.
④ 환자에게 배변장애(변비)로 인한 심장에 대한 부담을 직접적으로 설명해드렸더니 학생 간호사가 권유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려 노력해보겠다고 말씀하셨다.
→환자의 일정으로 간호수행도 제대로 하지 못했을 뿐더러 환자와의 관계도 수월하지 않았다. 대체적으로 목표달성 실패이다.
▷재계획
① 우선 환자와의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끊임없는 접근을 통해 대화를 유도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② 환자는 무리한 운동을 해서는 안 되는 상태이므로 적당한 걷기 운동과 특히 수행하기 쉬운 마사지법을 꼭 알도록 한다.
2. 변비 예방 식이
① 하루 먹어야 할 음식과 먹은 음식들을 매일 기록하도록 한다.
② 규칙적인 식사를 하도록 격려한다.
③ 식이섬유가 배변에 어떤 작용을 하는지 이해시키고 생활 속에 식이섬유를 가진 음식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교육시킨다.
④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적당히 찬 물을 한 컵 먹도록 한다.
① 식이는 장기적인 변화 시기를 가져야 한다.
② 대장의 규칙적인 리듬 회복에 도움이 된다.
③ 섬유소의 중요성을 알고 가까운 곳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음식을 알려주어 수행하기 수월하도록 한다.
④ 일어나자 마시는 습관은 장을 자극시켜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한다.
3. 운동
① 누워서도 할 수 있는 배변 촉진 마사지법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시킨다.
② 하루에 규칙적으로 걷기 운동을 하도록
격려한다.
① 마사지는 장이 원활하게 운동하는 것을 돕고,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는 능력이 떨어지는 환자이므로 집에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보호자에게도 함께 교육시킨다.
② 모든 운동의 기본인 걷기는 가장 적은 힘이 들고 큰 효과를 발휘한다.
4. 약에 대한 심리적 의존성을 줄이고, 약 없이도 배변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증진시킨다.
① 변비와 환자의 심장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고, 위의 내용을 일상생활화 하도록 한다.
환자의 질병과 직접적으로 연관을 짓게 함으로써 행동습관 변화에 큰 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