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목적
1. 문제의 제기
2. 연구의 목적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 2 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제 1 절 테마파크의 이론적 고찰
1. 테마파크의 개념
2. 테마파크의 특성
제 2 절 테마파크의 분류
1. 테마파크의 분류
2. 테마파크의 분류와 주제
제 3 절 테마파크의 발전과 성장배경
1. 테마파크의 발전
2. 테마파크의 성장배경
제 3 장 테마파크의 현황 및 문제점
제 1 절 테마파크의 현황
1. 한국의 테마파크
2. 세계의 테마파크
제 2 절 문제점
1. 개발 활성화의 문제점
2. 주제설정의 문제점 22
제 4 장 테마파크 개발 활성화 방안
제 1 절 테마파크의 개발목표
1. 테마파크의 개발목표
2. 테마파크의 개발정책
3. 테마파크의 주제설정
제 2 절 테마파크의 개발 방향과 경영 전략
1. 테마파크의 개발방향
2. 테마파크의 경영전략
제 5 장 결 론
참고문헌
제 1 절 연구의 목적
1. 문제의 제기
2. 연구의 목적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 2 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제 1 절 테마파크의 이론적 고찰
1. 테마파크의 개념
2. 테마파크의 특성
제 2 절 테마파크의 분류
1. 테마파크의 분류
2. 테마파크의 분류와 주제
제 3 절 테마파크의 발전과 성장배경
1. 테마파크의 발전
2. 테마파크의 성장배경
제 3 장 테마파크의 현황 및 문제점
제 1 절 테마파크의 현황
1. 한국의 테마파크
2. 세계의 테마파크
제 2 절 문제점
1. 개발 활성화의 문제점
2. 주제설정의 문제점 22
제 4 장 테마파크 개발 활성화 방안
제 1 절 테마파크의 개발목표
1. 테마파크의 개발목표
2. 테마파크의 개발정책
3. 테마파크의 주제설정
제 2 절 테마파크의 개발 방향과 경영 전략
1. 테마파크의 개발방향
2. 테마파크의 경영전략
제 5 장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거대의 폐쇄된 공간 또는 공원이라 할 수 있다. 정재선, 우리나라 주제공원의 개황 및 발전방향, 관광정보, 한국관광공사, 2001, 1,2, 월호 p.39
또한 김성혁은 테마파크란 테마를 만들고 전시장, 탑승물, 쇼핑, 레스토랑등을 설치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김성혁, 관광학원론, 형설 출판사, p.309
존 맥니프(John McEniff)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놀이시설과 매력물을 제공하여 오락과 즐거운 경험을 체험하게 하는 곳이며 모든 매력물이 계획된 특정 테마를 주제로한 계획, 운영되는 점이 유원지와 차이라고 말하고 있다. John McEciff, Ibid, P.52
애디 밀만(Ady Milman)은 주제공원이란 다른 곳과 다른 때의 분위기를 창조하고 통상 건축물, 전망, 특정시대의 전통복장을 한 종사원들, 탑승물, 쇼, 식음료 서비스, 그리고 기념품 등이 통합되어 하나의 특정 주제를 강조하는 매력물로 정의하고 있다. Ady Milman, Market Identification of a New Theme Park : An Example from Central Florida, Journal of Travel Research, Spring no.26, 2002, p.7-11
보겔(H. Vogel)은 주제공원은 티켓이나 음료를 판매하는 사업이 아니라 즐거움과 흥미를 유발하며 경험을 판매하는 사업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H. Vogel, 1985, Outlook for Theme Parks, Washington D.C, : U.S Travel Data Center 2002
국제위락공원과 매력물위원회(IAAPA)는 테마파크를 테마가 있는 매력물들 즉 식사, 복장, 오락물, ,편의점과 혹은 탑승물들을 갖은 유원지라고 공식적으로 정의 내리지는 않았지만 IAAPA에 따르면 이 매력물들은 하나의 총체적인 아이디어 혹은 캐릭터, 즉 디즈니랜드의 미키마우스 등에 통합되었거나 하나의 중심지역에서 다양한 테마로 구성될 수도 있다고 하였다. IAAPA :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musement Parks And Attraction (1920년 미국에서 창립되어 전 세계 Amusement park들의 정보교환, 안전, 공원보호를 목적으로 매년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회보를 통하여 공원의 운영, 유지보수, 새로운 시설물과 서비스 등에 대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
일반적인 표현으로 주제공원은 어떤 특정한 주제를 설정해 그 주제에 따른 환경과 놀이와 이벤트 등 모든 시설과 분위기를 만들어 전체를 구성, 운영하는 레져를 위한 파크의 형식으로 레저와 함께 유익한 정보나 지식을 부여함으로써 휴식과 재창조의 기회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2. 테마파크의 특성
현대에 와서는 모든 사람에게 즐거운 시간과 공간을 제공하는 새로운 여가시설로서 부각되고 있는 테마파크는 종래의 어뮤즈먼트(amusement) 시설에서는 부족했던 많은 특색 있는 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현대인의 여가행동 요구에 적절한 대응을 하고 있다.
테마파크 사업은 계절변동이 높고 기후에 크게 좌우되는 여건에서 1차 산업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초기투자비가 막대하고 거액의 시설유지비 및 추가 투자비가 소요되는 점에서 장치 산업적인 요소가 있는 2차 산업적인 특성도 가지고 있다. 개장 후에는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해 인건비가 많아지는 등 비교적 부다이 큰 3차 산업적인 특성도 있다. 즉 테마파크 사업은 1차, 2차, 3차 산업이 함께 공존하는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 테마파크는 지역과 관련한 산업으로 인식해야 한다.
테마파크의 여러 가지 입지여건 중 제일 중요한 것은 배후 시장여건이다. 영국의 관광청에서는 다음과 같이 배후 시장여건을 제시하고 있다. 자동차로 2시간이내 거리에 약 1200만 명의 인구가 살고 있거나, 수많은 관광객을 유인할 수 있는 관광지가 1시간 이내 거리에 위치하며 500만 명 이상의 인구가 2시간 이내의 거리에 거주해야 한다. 이처럼 테마파크의 입지는 대부분 대도시 또는 관광지, 리조트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지역 고용 효과 및 지역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사업이다.
둘째, 자본 집약적 산업으로 대형화를 추구한다.
테마파크는 드넓은 대지와 막대한 자본이 요구되는 자본집약적 산업이다. 특정하고 일관된 테마구성을 위한 막대한 자본과 그에 따른 고도의 기술 및 전문화된 인력 등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개발기간도 상당히 오래 걸리며, 자금회전율도 타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장기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중소기업 또는 공공기관이 참여하기는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다.
테마파크의 후발국인 미국이 오늘날 전세계의 테마파크 시장을 독점하는 것은 자원, 시장, 기술, 인력 등 모든 여건들이 적절한 상태에 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것을 극복하기 위하여 비용절감을 위한 첨단 과학기술 도입 및 개발 컨소시엄 현성 등 테마파크 업체별로 다양한 방안 등이 모색되고 있기도 한다.
셋째, 테마파크의 주제가 다양화 되고 있다.
과거의 테마파크는 관광객에게 단순히 놀고 즐기는 오락 중심의 활동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관광인식의 변화에 따라 현재에는 재미, 흥미와 동시에 교육 및 문화적인 면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또한 관광형태의 변화에 따라 참여관광을 유도하고 있으며 테마파크의 시설도 이러한 측면에서 고려되어 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평범한 테마파크의 시설들을 가지고는 새로운 관광객을 유인 하는데는 한계를 보일 것이다. 따라서 테마파크의 주제는 개성화, 동적화와 더불어 교육적 효과가 큰 프로그램을 많이 개발 연구해야 한다.
넷째,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가족단위 중심의 테마파크가 부상할 것이다.
경제반전과 의학 발전 등으로 사회는 점차 고령화 시대로 진입하고 있으며 노인 인구의 사회활동 참여가 나날이 높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테마파크도 시설을 재정리 또는 보안하여야 할 것으로 전망 된다. 한편 테마파크의 채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입장객을 많이 끌어들일 수 있어야 한다.
입장객수는 테마파크의 입지, 규모, 시설, 서비스 등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조현숙, 테마파크의 발전과정과 국내 테마파크의 개발
또한 김성혁은 테마파크란 테마를 만들고 전시장, 탑승물, 쇼핑, 레스토랑등을 설치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김성혁, 관광학원론, 형설 출판사, p.309
존 맥니프(John McEniff)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놀이시설과 매력물을 제공하여 오락과 즐거운 경험을 체험하게 하는 곳이며 모든 매력물이 계획된 특정 테마를 주제로한 계획, 운영되는 점이 유원지와 차이라고 말하고 있다. John McEciff, Ibid, P.52
애디 밀만(Ady Milman)은 주제공원이란 다른 곳과 다른 때의 분위기를 창조하고 통상 건축물, 전망, 특정시대의 전통복장을 한 종사원들, 탑승물, 쇼, 식음료 서비스, 그리고 기념품 등이 통합되어 하나의 특정 주제를 강조하는 매력물로 정의하고 있다. Ady Milman, Market Identification of a New Theme Park : An Example from Central Florida, Journal of Travel Research, Spring no.26, 2002, p.7-11
보겔(H. Vogel)은 주제공원은 티켓이나 음료를 판매하는 사업이 아니라 즐거움과 흥미를 유발하며 경험을 판매하는 사업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H. Vogel, 1985, Outlook for Theme Parks, Washington D.C, : U.S Travel Data Center 2002
국제위락공원과 매력물위원회(IAAPA)는 테마파크를 테마가 있는 매력물들 즉 식사, 복장, 오락물, ,편의점과 혹은 탑승물들을 갖은 유원지라고 공식적으로 정의 내리지는 않았지만 IAAPA에 따르면 이 매력물들은 하나의 총체적인 아이디어 혹은 캐릭터, 즉 디즈니랜드의 미키마우스 등에 통합되었거나 하나의 중심지역에서 다양한 테마로 구성될 수도 있다고 하였다. IAAPA :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musement Parks And Attraction (1920년 미국에서 창립되어 전 세계 Amusement park들의 정보교환, 안전, 공원보호를 목적으로 매년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회보를 통하여 공원의 운영, 유지보수, 새로운 시설물과 서비스 등에 대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
일반적인 표현으로 주제공원은 어떤 특정한 주제를 설정해 그 주제에 따른 환경과 놀이와 이벤트 등 모든 시설과 분위기를 만들어 전체를 구성, 운영하는 레져를 위한 파크의 형식으로 레저와 함께 유익한 정보나 지식을 부여함으로써 휴식과 재창조의 기회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2. 테마파크의 특성
현대에 와서는 모든 사람에게 즐거운 시간과 공간을 제공하는 새로운 여가시설로서 부각되고 있는 테마파크는 종래의 어뮤즈먼트(amusement) 시설에서는 부족했던 많은 특색 있는 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현대인의 여가행동 요구에 적절한 대응을 하고 있다.
테마파크 사업은 계절변동이 높고 기후에 크게 좌우되는 여건에서 1차 산업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초기투자비가 막대하고 거액의 시설유지비 및 추가 투자비가 소요되는 점에서 장치 산업적인 요소가 있는 2차 산업적인 특성도 가지고 있다. 개장 후에는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해 인건비가 많아지는 등 비교적 부다이 큰 3차 산업적인 특성도 있다. 즉 테마파크 사업은 1차, 2차, 3차 산업이 함께 공존하는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 테마파크는 지역과 관련한 산업으로 인식해야 한다.
테마파크의 여러 가지 입지여건 중 제일 중요한 것은 배후 시장여건이다. 영국의 관광청에서는 다음과 같이 배후 시장여건을 제시하고 있다. 자동차로 2시간이내 거리에 약 1200만 명의 인구가 살고 있거나, 수많은 관광객을 유인할 수 있는 관광지가 1시간 이내 거리에 위치하며 500만 명 이상의 인구가 2시간 이내의 거리에 거주해야 한다. 이처럼 테마파크의 입지는 대부분 대도시 또는 관광지, 리조트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지역 고용 효과 및 지역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사업이다.
둘째, 자본 집약적 산업으로 대형화를 추구한다.
테마파크는 드넓은 대지와 막대한 자본이 요구되는 자본집약적 산업이다. 특정하고 일관된 테마구성을 위한 막대한 자본과 그에 따른 고도의 기술 및 전문화된 인력 등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개발기간도 상당히 오래 걸리며, 자금회전율도 타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장기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중소기업 또는 공공기관이 참여하기는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다.
테마파크의 후발국인 미국이 오늘날 전세계의 테마파크 시장을 독점하는 것은 자원, 시장, 기술, 인력 등 모든 여건들이 적절한 상태에 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것을 극복하기 위하여 비용절감을 위한 첨단 과학기술 도입 및 개발 컨소시엄 현성 등 테마파크 업체별로 다양한 방안 등이 모색되고 있기도 한다.
셋째, 테마파크의 주제가 다양화 되고 있다.
과거의 테마파크는 관광객에게 단순히 놀고 즐기는 오락 중심의 활동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관광인식의 변화에 따라 현재에는 재미, 흥미와 동시에 교육 및 문화적인 면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또한 관광형태의 변화에 따라 참여관광을 유도하고 있으며 테마파크의 시설도 이러한 측면에서 고려되어 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평범한 테마파크의 시설들을 가지고는 새로운 관광객을 유인 하는데는 한계를 보일 것이다. 따라서 테마파크의 주제는 개성화, 동적화와 더불어 교육적 효과가 큰 프로그램을 많이 개발 연구해야 한다.
넷째,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가족단위 중심의 테마파크가 부상할 것이다.
경제반전과 의학 발전 등으로 사회는 점차 고령화 시대로 진입하고 있으며 노인 인구의 사회활동 참여가 나날이 높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테마파크도 시설을 재정리 또는 보안하여야 할 것으로 전망 된다. 한편 테마파크의 채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입장객을 많이 끌어들일 수 있어야 한다.
입장객수는 테마파크의 입지, 규모, 시설, 서비스 등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조현숙, 테마파크의 발전과정과 국내 테마파크의 개발
추천자료
에버랜드, 롯데월드, 서울랜드 비교 분석
어트랙션의 개요와 역사 및 분류
동경 디즈니랜드
하우스텐보 스(HUIS TEN BOSCH)
관광학 개론(attractions, entertainment, recreation, and other )
디즈니랜드의 마케팅전략과 성공요인분석
전라북도(전북)의 도시와 자연환경, 전라북도(전북)의 라디오방송, 전라북도(전북)의 동각, ...
도쿄 디즈니랜드의 성공사례 분석
설비배치 에버랜드 vs 롯데월드
디즈니랜드의 성공요인과 국가별 사례
22,Commercial Plan,쇼핑몰개발사례,상업시설계획,복합상업시설,주요쇼핑몰,센트럴시티,코엑...
일본콘텐츠산업
[평가자료 A+] 현대 조경의 4가지 테마 (공원 분석을 중심으로 ; 쿤트라하우스, 행복도시 호...
월트 디즈니 경영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