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기구ASEAN/EU/APEC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기구ASEAN/EU/APEC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SEAN
1. 아세안의 성립배경
Ⅰ.설립과 기능
Ⅱ.목적
Ⅰ.설립과 기능
Ⅱ.목적
Ⅲ.기본원칙
Ⅳ.경제적 · 기능적 협력
Ⅴ.외교관계
Ⅵ.구성
Ⅶ.구조

2. EU
Ⅰ.유럽연합의 성립배경
Ⅱ.EU의 역사
Ⅲ.EU가 하는 일
Ⅳ.EU의 운영체제
Ⅴ.EU의 공동정책들
Ⅵ.EU 가입국

3.APEC
Ⅰ.APEC의 명칭과 의미
Ⅱ.역대 APEC개최지
Ⅲ.APEC 개최의 효과
Ⅳ.부산 APEC의 일정
Ⅴ.APEC의 목적
Ⅵ.APEC 참가국
Ⅶ.APEC이 하는일
Ⅶ.APEC의 결성
Ⅷ.APEC의 성격
Ⅸ.조직현황
Ⅹ. 각 기구의 역할

본문내용

앞당겨진 결과인데, 이는 관세인하 스케줄이 2배나 빠른 속도로 가속화되어 왔기 때문이다. ASEAN 역내 무역의 평균 관세율은 현재 3%에 준하는 정도로 인하되었다.
CEPT(Common Effective Preferential Tarff) 조약으로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보면, 베트남은 2006년, 라오스와 미얀마는 2008년, 그리고 캄보디아느느 2010년에 AFTA 참여를 실현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1997년, ASEAN 지도자들은 ASEAN Vision 2020을 채택하면서 지역내의 경제통합을 더욱 밀착시키는데 목적을 둔 ASEAN Partnership in Dynamic Development를 주창했다. ASEAN Vision2020 선언문에서는 안정적이고 번영된 그리고 고도로 경쟁력을 갖춘 ASEAN Economic Region을 창설하려는 결의를 다졌고, 그 속에서 상품, 서비스, 투자, 자본과 공평한 경제발전에 대한 자유로운 교류와 더불어 빈곤퇴치와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1998년에 채택된 Hanoi Plan of Action은 ASEAN Vision의 궁극적 실현을 위한 첫 번째 행동계획으로 반영되었다.
무역과 투자의 자유화와 함께 지역경제통합은 국가간 주요 고속도로와 철로네트워크, 해양교통을 위한 주요항구와 해양항로, 내륙의 수로교통과 주요 민간항공연결망을 구성하는 초ASEAN 교통네트워크의 발전을 통해서 추진되고 있다. 또한, ASEAN 전력그리드(Power Grid)와 전 ASEAN 가스 파이프라인(Trans-ASEAN Gas Pipeline) 프로젝트를 포합하는 초ASEAN 에너지 네트워크를 건설하고 있다.
현재 ASEAN 경제협력은 다음과 같은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무역, 투자, 산업, 서비스, 금융, 농업, 산림, 에너지, 교통, 통신, 지적재산, 중소기업, 여행.
상부상조의 지역 사회집단 건설을 추구하려는 ASEAN 지도자들은 1995년 모든 회원국가들의 공동번영을 이룩하기 위한 보다 실ヒ적인 기능적 협력 계획을 강화하였다. 1996년 기능적 협력 강화 계획 합의문(Framework for Eleveting Functional Coopreation to a Higher Plan)이 하나의 테마와 함께 채택되었다: \"인력개발, 기술경쟁력 그리고 사회적 응집성을 통한 공동번영\'(Shared prosperity human development, technological competitveness and social cohesiveness.)
기능적 협력은 다음과 같은 계획 지침을 가지고 있다:
*사회발전에 관한 ASEAN 행동계획;
*과학기술에 관한 ASEAN 행동계획;
*환경에 관한 ASEAN의 전략적 행동계획;
*마약 남용 통제에 관한 ASEAN 행동계획;
*초국가적 범죄와의 전쟁에 관한 ASEAN 행동계획
Ⅴ.외교관계
ASEAN Vision 2020은 국제사회에서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ASEAN 의 공통이익을 중진시키고자 하는 외부지향적 ASEAN을 다짐하고 있다.
ASEAN은 아시아-태평양지역 국가들과의 협력적 연대를 도모함에 있어서 중요한 진전을 이루어 왔고, 이 국가들과의 관계를 우선적으로 지속하게 될 것이다. 동아시아국가들과의 협력은 ASEAN, 중국, 일본, 한국의 지도자들과의 연례회의를 가지면서 발전되어 왔다. 1997년 ASEAN과 이들 국가들간의 공동선언서가 서명되어 21세기를 향한 협력을 합의한 바 있다.
1992년의 ASEAN 정상회담에서 \"점점 독립적 세계로의 추세 속에 ASEAN은 대화파트너들(dialogue Partners)과의 협력적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합의했다. ASEAN과 대화파트너들과의 회담은 외무장관급 수준의 연례회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다른 개발지역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ASEAN은 정부간 기구 즉, Economic Cooperation Organization, Gulf Cooperation Council, Rio Group, South Asian Association for Regional Cooperation, South Pacific Forum과의 교류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ASEAN 회원국가들은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APEC), Asia-Europe Meetion(ASEM), East Asia-Latin America Forum(EALAF)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Ⅵ.구성
10개의 회원국: 브루네이(Brunei Darussalam), 캄보디아(Cambodia), 인도네시아(Indonesia), 라오스(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말레이시아(Malaysia), 미얀마(Myanmar), 필리핀(Philippines), 싱가포르(Singapore), 태국(Thailand),베트남(Vietnam)
대화 파트너: 호주(Australia), 캐나다(Canada), 중국(China), 유럽공동체(European Community), 인도(India), 일본(Japan), 한국(Korea), 뉴질랜드(New Nealand), 러시아(Russia), 미국(United States), 유엔개발계획(UNDP)
Ⅶ.구조
ASEAN의 최고 정책결정기구는 ASEAN 국가정부수반 회의(Meeting of the ASEAN Heads of State and Govermment)이다. ASEAN 정상회담은 3년마다 이루어지고, 그 기간 사이에 비공식회담이 개회된다. ASEAN 장관회담(외무장관)은 매년 개최된다. 다른 부문의 장관회담도 개회된다:농림, 경제, 에너지, 환경, 재정, 정보, 투자, 노동, 법, 지역의 안개, 농촌발전과 빈곤추방, 과학기술, 사회복지, 초국가범죄, 교통, 관광, 청소년, AIA위원회, AFTA위원회. 이러한 장관회담을 지원하기 위해 고위관료들로 구성된 29개의 위원회와 122개의 실무그룹이 존재한다.
ASEAN의 외교관계 처리를 지원하기 위하여 ASEAN은 다음과 같은 도시에 외교담당 대표들로 구성된 위원회를 설치해 놓고 있다: 베이징(Beihing), 브

키워드

ASEAN,   EU,   APEC,   국제기구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7.19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15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