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조어에 대하여-신조어의 개념 의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조어에 대하여-신조어의 개념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신조어
<목 차>
Ⅰ. 신조어의 개념 및 의의

Ⅱ. 사회상을 반영하는 신조어
1. 취업난신조어
2. 가족에 대한 신조어
3. 인터넷 신조어
4. 기타 신조어

Ⅲ. 국립국어 연구원 신조어 정리
1. 2003년 기준 월별 신어
2. 사회, 운동, 오락, 경제 관련 신어
3. 외래어, 외국어를 남용한 신어
4. 합성어, 파생어
5. 우리말 어법에 어긋난 신어
6. 국립국어 연구원 신조어 분석결과

Ⅳ. 올바른 신조어의 사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가 있죠?
-[선리플후감상]이 있잖니~
*낭떠러지효과
기계 문명에 대한 맹신에서 벗어날 것을 인류에게 촉구하는 미래학자들의 경고성 용어
자신이 정통한 분야에 대해서는 임무수행 능력이 탁월하지만 조금이라도 그 분야를 벗어나면 일시에 모든 문제해결능력이 붕괴되는 현상. 인간이 개발해낸 각종 컴퓨터 시스템이나 정교하게 프로그램된 기계 또는 로봇등이 비정상적인 지시를 받을 경우 오작동을 일으키는 상황에 주로 사용되는 용어.
예문 : 앞으로의 디지털 문명이 인간을 이 낭떠러지 효과에 딱 들어맞는 존재로 만들지 않을까
*네오블루 칼라(Neo-blue collar)
내용 영화■CF 업계의 감성세대들. 개성을 추구하며 새로운 감성의 미학을 표현해내는 세대들로, 차가움과 부드러움이 교차하며 특유의 매력을 발산한다. 주로 영화■CF업계에서 일을 신명나는 놀이차원으로 끌어올 리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근영체
문근영을 사용하여 글로 쓴 문장양식
출처는 불분명하나 디씨인사이드에서 온 문체일 가능성이 높다.
국어의 경우 근영체는 영화 \'어린신부\'가 전개된 시일에 차차 쓰이기 시작하였다.
예문 : 1. 당신도 그렇게 생각하시는[근영]..
2. 맞다! 그렇게 생각할수도 있겠[근영]!
*하삼체
문장의 미를 \'삼\'으로 장식하여 글로 쓴 문장양식.
대한민국 명문사학인 웃긴대학교와 디씨인사이드에 이러한 문체가 많다.
국어의 경우 삼체는 어쩔수 없는 국어사랑에 국어를 사랑하는 웃긴대학교의 국문학과 교수들과 아래 학생들 모두가 창제한 새로운 언어발란스의 뉴 웨이브이다.
예문 : 1. 최수범은 삼테란 이[삼].
2. 왜 그러[삼]?
3. 자꾸 그러시면 미워할꺼[삼].
4. 잘했[삼]
*리플폐인
글에 대한 리플을 다는 것을 취미 이상으로 해서 사이버를 마비시키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
예문 : 아! 또 [리플폐인]이 도배했잖아.
Ⅲ. 국립국어연구원 신조어 정리
국립국어연구원[원장 남기심(南基心)]은 2003년 한 해 동안 주요 중앙 일간지와 방송 뉴스에서 사용된 신어를 조사하여 2003년 신어 보고서를 내놓았다. 이 보고서는 2003년에 새로이 만들어져 널리 쓰이는 신조어 656개에 대해 어원, 뜻풀이, 출전 등을 밝히고 있다. 이 밖에 오래전부터 쓰여 왔지만 국어사전에 올라 있지 않은 사전 미등재어 1,770개에 대해서도 어원, 뜻풀이, 출전 등을 밝혀 놓았다.
1. 2003년 월별 신어
1월: 기펜족(Giffen族), 반권(半權), 반통령(半統領), 부시즘(Bushism), 사오정(四五停), 티브이셀러(TV seller), 귀차니스트(←귀찮다+­nist), 귀차니즘(←귀찮다+­ism)
2월:로또(lotto), 로또 공화국(lotto共和國), 맘스 오피스(mom\'s office), 모모스(momos), 묻지마 테러(---terror), 사르바이트(←cyber+Arbeit), 얼쑤이즘(←earth+-ism), 워르가슴(←war+orgasme), 주말엄마(週末--), 펀듀랑스(←fund+assurance), 하이퍼파워(hyperpower)
3월: 검사스럽다(檢事---), 금테크(金tech), 나이스(NEIS), 멀티메이션(←multilayered animation), 메뚜기 가족(---家族), 모잉족(moeng[←mobile English]族), 부시스럽다(Bush---), 선팅(←맞선+紹介ting), 오륙도(五六盜), 체리 피커(cherry picker), 친유반미(親+Europe+反美)
4월: 나노테크(nano tech), 대오(大五), 디지툰(←digital+cartoon), 딘스족(DINS[←Double Income No Sex]族), 리권(←rhythm+跆拳), 범성애(汎性愛), 베이퍼웨어(vaporware), 사스(SARS), 슈퍼전파자(super傳播者), 에스큐(SQ), 에프큐(FQ), 엘코머스(L[←Location] Commerce), 욕티즌(辱tizen)
5월: 디찍병(←digital camera로 찍으려는 病), 뮤티즌(←music+netizen), 산소방(酸素房), 알파 어너(alpha earner), 업글병(←upgrade病), 육이오(六二五)
6월: 구치금융(口治金融), 더피족(duppie族), 로티즌(←lotto+netizen), 리마 증후군(Lima症候群), 명랑욕(明朗辱), 비투비족(B2B[←Back TO Bedroom]族), 스톡홀름 증후군(Stockholm症候群), 오팔족(OPAL[←Old People with Active Life]族), 카드 마감일 증후군(card--日症候群)
7월: 과파라치(←課外+pparazzi), 돈맹(-盲), 삼육구 증후군(三六九症候群), 우프(WWOOF), 졸부 증후군(猝富症候群), 취업 고시(就業高試), 패셔니스타(fashionista), 플래시몹(flash mob)
8월: 네타티즘(←네 탓+-ism), 넥소블리안(←next+noblian), 모블로그(←mobile+blog), 안티즌(←anti+netizen), 청소년증(靑少年證), 캠퍼스 모라토리엄족(campus moratorium族), 코얼리어답터(←Korean+early adopter), 패션 누드(fashion nude), 폐인(廢人), 효리족(孝利族), 힐리스족(Heelys族)
9월: 로플로플, 모즈룩(mods[←moderns] look), 방폐장(放廢場), 식후감(食後感), 악티즌(←惡+netizen), 웰빙족(well­bing族), 춘우추동(春雨秋冬), 코드정치(code政治), 크레디슈랑스(←credit+assurance), 폰카족(phoneca[←phone+camera]族), 홈런팬(home run fan), 홈슈랑스(←home+assurance)
10월: 디지털 도둑(digital--), 딸녀(←딸기를 든 女子), 로또팰리스(←lotto+towerpalace), 리플렉터폰(←reflector+pornography), 브릭스(BRICs), 삼팔선(三八線), 일톱삼박(←一top三box), 주고외비(株高外肥), 트렌드 워처(trend watcher), 푼짱, 휴머니언스(←human+science)
11월: 리치레이디룩(rich lady look), 묻지마 재수(---再修),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7.19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1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