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조사] 패밀리 레스토랑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석/조사] 패밀리 레스토랑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패밀리 레스토랑
(T.G.I.FRIDAY'S)

<목 차>

Ⅰ. 서론

Ⅱ. 패밀리 레스토랑
1. 패밀리 레스토랑의 정의
2. 패밀리 레스토랑의 유형
3. 패밀리 레스토랑의 현황
4. 패밀리 레스토랑 분석

Ⅲ. T.G.I.FRIDAY'S
1. T.G.I.F'S 소개
2. T.G.I.F'S의 서비스
3. T.G.I.F'S 지점 인터뷰 분석
4. T.G.I.F'S 아카데미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밀리레스토랑들이 판매하고 있는 메뉴 아이템들을 중심을 로 그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두가지로 구분하여 볼수가 있다.
① 스테이크류 패밀리레스토랑
현재 우리나라에 들어와 있는 패밀리레스토랑의 거의 모든 업체들이 주 메뉴로 스테이크를 채택하고 있다. 그 이유는 브랜드를 수입한 업체가 대개 미국이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김치 Pilaff, 불고기 볶음밥 등의 자체 메뉴개발도 하고 있어 국내고객들의 취향에도 맞추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브랜드를 살펴보면 코코스(1988) , T.G.I Friday's(1991), 로터스가든(1991), 판다로사(1992), 데니스(1994), 스카이락(1994), 시즐러(1995) 등이 있다.
② 씨푸드(Sea Food)류 패밀리레스토랑
우리나라 육류의 소비량은 매년 증가추세이지만 육류의 과다 소비로 인한 비만이나 성인병 등의 원인제공 때문에 씨푸드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고 앞으로 상당히 발전되어질 가능성이 높은 시장이다. 국내에 처음 씨푸드 메뉴를 가지고 진출한 업체는 일본의 게요리 전문업체인 코오라(1993)이며, 아직까지 씨푸드 업체는 없는 실정인데 이 시장의 향후 발전될것이라는 예상을 할 수 있다.
3. 패밀리 레스토랑의 현황
(단위 : 억, 개, %)
4. 한국 패밀리레스토랑 분석(T.G.I Friday`s외 타 업체)
1) 아웃백 스테이크 하우스
2003년 2월부터 패밀리 레스토랑 업계 1위로 등극함으로써 부동의 1위였던 TGI를 밀어내고 있다. 2000년 공격적인 점포전개로 주목을 받았던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는 청담, 삼성, 종로, 중계, 양재점 등 5개 점포를 오픈, 전년대비 1백%성장한 1백 5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천호, 일산, 목동, 잠실, 분당점과 대구, 부산점 등이 지방출점을 비롯해 총 8~10개의 신규점 오픈을 계획하고 있으며 매출 역시 전년 대비 1백% 증가한 3백억원을 기대하고 있다.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는 2000년을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나는 준비기간으로 잡았다. 이에 따라 ‘Make it Simple\'을 모토로 할인혜택이 동반되는 모든 제휴와 쿠폰, 고객 마일리지 제도 등을 정리했다. 대신 메뉴 가격을 동결하고 요일 제한없이 런치세트메뉴와 해피아워를 연중 실시하는가 하면 스테이크에 포함되는 사이드 메뉴와 음료 등을 추가요금 없이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등 음식과 서비스를 통한 혜택의 폭을 넓혔다.
2001년은 홈페이지를 통한 사이버 마케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외부 광고와 홍보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홈페이지 리뉴얼과 함께 온라인 상에 사이버 매장을 만들고 매월 신규점포 오픈에 따라 이를 통한 사원모집에도 적극성을 띨 계획이다. 직원선발과 교육은 점주제의 특성상 각 점포에서 자체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또한 대규모의 프로모션은 자제할 예정이다.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를 찾는 주고객층은 20대 중~후반에서 30대까지로 경품 프로모션에 큰 반응을 보이지 않는 층임을 감안, 인센티브 등 직원들에게 혜택을 제공해 음식 뿐 아니라 고객 서비스에 최선을 다할 수 있는 동기유발 프로모션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2) 베니건스
2000년 코엑스점, 목동점을 포함, 총10개 매장에서 4백3억원(전년 대비40.9% 증가)의 매출을 올렸다. 특히 재오픈한 코엑스점은 다른 매장이 2.5~3회전을 유지하는 반면 평균 4.5회전을 기록하는 등 성공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힘입어 2001년은 분당점과 서울 시내에 2개점을 추가로 오픈해 총 13개매장에서 전년 대비 36.5% 상승한 5백50억원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 가장 큰 매장과 가장 아름다운 매장을 테마로 2개의 매장 리뉴얼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도곡점의 경우 본사 사무실 이전과 함께 사무실 자리를 매장으로 탈바꿈하는 한편 기존 청담동 키네마 극장 1층에 있던 압구정점을 T.G.I.F논현점 옆 오일뱅크 자리로 이전, 3백석의 단독 건물로 재오픈하며 이미지샵으로 매장 인테리어와 익스테리어를 새롭게 단장할 예정이다. 2000년 베니건스의 가장 큰 마케팅 프로그램으로는 ‘뉴멤버쉽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기본 프로그램 외에 ON-OFF라인 병행뿐 아니라 매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반 포스와의 연동이 가능하다. 또한 매장내 카드사용과 동시에 개인 이메일로 감사 메일이 들어가는 오토 피드백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쿠폰 마케팅과 다양한 설문조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 게다가 개개인별 동행인 수, 주문 메뉴 등을 확인할 수 있어 개인의 성향을 파악, 추천메뉴를 선별할 수 있는 등 보다 세부적이고 밀착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3) 스카이락 / 빕스
2000년 7월 외식전문기업을 표방. 제일제당 외식사업부에서 분사한 (주)푸드빌은 틈새시장 공략을 목표로 스카이락 주니어를 새롭게 보이는 등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스카이락은 2000년 3개의 신규매장을 오픈, 총 21개 매장에서 3백억원의 매출을 기록, 전년(2백30억원)대비 30.4%의 신장률을 보였다. 고객수를 보면 99년 3천43명에서 지난해 3천7백55명이 매장을 방문해 23%의 객수 증가 효과를 보기도 했다. 2001년 9개 매장을 추가로 오픈, 총 30개 점포에서 33.3%성장한 4백억원이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2002년 36개, 2003년 44개, 2004년 52개, 2005년 60개 점포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99년과 마찬가지로 3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빕스는 전년(78억원)대비 78.1%성장한 1백3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객수로는 99년이 3천4백53명, 지난해가 4천4백65명으로 29%성장했다.
2001년은 상반기 대전, 하반기 부산점을 비롯해 4개의 신규매장을 오픈, 7개점에서 2백10억원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2000년 (주)푸드빌은 고수익 사업구조로의 전환, 사업영역 다양화로 멀티브랜드형성 및 리스크 관리, 공격적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가치 극대화, 현장 지향적 마인드 강화에 주력했다. 이에 따라 기존 단독매장 형태에서 빌딩내 입점이나 수수료 매장 형태로의 전환으로 투자비는 낮추고 수익성은 극대화하는 전략을 구사해
  • 가격2,5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7.07.22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19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