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 은행의 중국진출방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 나라 은행의 중국진출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1. 은행 서비스의 개념 및 특성
2. 국제 금융시장의 환경변화 추이

Ⅱ. 본론
1. WTO가입에 따른 중국 은행산업의 개혁 방향
2. 해외은행의 중국진출현황
3. 우리나라은행의 중국진출 방향과 현황

Ⅲ. 결론
1. 중국 은행산업 개혁에 따른 우리나라의 대응 방안
2.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전망 및 시사점

본문내용

s
s
- 미국 및 유럽선진제국의 금융기관과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지명도 및 선호도
- First Mover Advantage가 작용하여 후발주자로서 시장개척 난망
- 직원 일인당 생산성 상대적 열위
O
p
p
o
r
t
u
n
i
t
y
- 경제규모에 비해 금융시장 미발달. 또한 국유상업은행들의 부실자산 규모가 매우 크고 금융서비스의 품질도 낮아 시장개척의 여지가 많음
- 한국계기업에 대한 서비스가 여전히 부족하여 한국계기업이 외자은행(중국계 포함)들과 거래하는 경우가 많음.
- 기업금융 실력을 제대로 갖출 경우 한국계기업을 대상으로 한 업무 영역를 확대할 수 있을 것임
T
h
r
e
a
t
- 중국의 현재 또는 미래의 경제성장 전망이 좋다고 해서 반드시 그 경제발달의 혜택이 한국계 은행으로 돌아올지는 미지수
- 소매금융 위주의 영업을 위해서는 많은 시설투자 필요(Network,인프라구축 등),
- 외국계 은행의 market share가 커질 경우 국내은행들이 과연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은행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
- 상하이의 경우 미국과 일본은 지난해 40~50억불을 상하이에 투자하였으나 자국계 은행은 각각 4개에 불과한 반면, 한국은 지난해 겨우 4억여불을 투자하고 이미 3개의 은행이 진출해 있으며 추가로 2개은행이 진출확정 당분간 overbanking 문제가 존재함
- 정식절차를 거쳐 사무소에서 지점으로 승격 시 다른 금융기관들이 인민폐 영업 시장의 상당부분을 잠식한 상태일 수도 있음
위 분석에서 볼 수 있듯이 중국 진출에는 많은 리스크가 따른다. 하지만 중국시장 진출러쉬은 분명 한국 시장에서의 한계를 느낀 국내은행들의 외연확장 전략의 일환이기 때문에 리스크를 완충시킬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해야지 리스크에 부담을 느껴 전략을 철회해서는 안된다. 많은 문제와 위험에도 불구하고 세계시장에서 중국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나 우리나라와의 무역거래, 투자 비중 등에서 매우 큰 것이 현실이다. 중국진출은 향후 그 시장의 성장성과 가능성을 보는 장기적인 관점의 투자로, 단시일 내에 수익을 내겠다는 단기적 접근보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거점 확보 또는 시장개척의 차원에서 추진되어야 할 과제이다. 지금 일단 발을 들여 놓는 것이 향후 기회를 포착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고 따라서, 현재 국내은행들이 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진출방안(FDI)을 논의해 본 후 가장 적합한 안을 선정하는 것이 어느 정도 타당해 보인다.
(3)중국시장으로의 다양한 진출방법(시간이 모자라면 요기는 제목만 발표하고 표는 줄여도 됨!!)
①사무소 신설하여 지점 또는 단독법인 전환 (Foreign Branch) : 중국인민은행의 사무소 설립검토 기간(최장 6개월) 필요하다. 사무소 형태로 2년을 경과한 후 지점/단독법인 승격 및 영업 신청을 하고, 지점 형태로 외화영업을 한지 3년 경과해야 인민폐 업무가 개방된 지역에서 인민폐 영업 신청이 가능하다.
②합작법인 신설 (Joint Venture) : 중외합작기업(Contractual Joint Ven-ture)을 설립하여 사업을 경영하는 투자방식이다. 즉 외국과 중국의 투자가가 공동으로 투자하되 투자자 각자의 권리와 의무가 출자금액의 비율에 따라 자동적으로 배분되는 것이 아니라 문자 그대로 투자자들의 계약에 의하여 배분되는 것이다.
③지분참여 통한 전략적 제휴 (Strategic Alliance) : 합자투자방식은 중국 내에 중외합자기업을 설립하여 투자사업을 경영하는 방식으로 우리 투자자와 중국 내 투자파트너가 공동으로 자본을 출자하여 유한책임회사를 설립하여 경영하는 것이다.
④인수 (M&A) : 중국의 기존 중소형 은행을 자산실사 등을 거쳐 대주주 지분을 인수하여 구조조정하는 방법이다.
⑤100% 단독출자 현지 금융법인 신설 (Direct Investment) : 독자투자는 외국인 투자가가 100% 단독 투자하여 중국 내 외자기업을 설립하여 경영하는 것이다. 독자투자에 의한 외자기업은 우리 투자가가 독자적인 경영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기업경영방식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단독 투자기업과 큰 차이가 없다. 실제로는 금융법인 설립이 허용된 사례가 거의 없어 당분간 가능성이 매우 낮다할 수 있다.
여러 가지 환경적 여건을 극복하고 성공적인 진출을 이뤄내기 위해서는 중국 관련 금융서비스 분야에 능통한 우수한 전문인력의 확보와 업무지원에 필요한 데이터 베이스 및 네트워크 등 정보 인프라의 구축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가장 신속하고 정확한 방법은 중국내 사정에 밝은 현지 기업과 전략적 제휴를 맺는 방안을 꼽을 수 있다. 중국에 진출하려는 국내은행으로서는 현재 여타 은행 혹은 금융기관과 전략적 제휴를 통한 점진적인 진출 방안이 가장 적절한 안이 될 것이다. 전략적 제휴 역시 지분참여(equity alliance)를 통해 수행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선진 은행들은 이미 이러한 방향으로 진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금융기관의 중국 진출형태별 장단점 비교
진출형태
장점
단점
비고
사무소
신설
대규모 자본투자나 큰 위험 없이 진출 가능 (한국계 및 일본계 은행들이 주로 진출하는 형태)
본격적인 영업시까지 상당기간 소요(3~6년)
- 사무소 시기에는 금융 정보 수집 및 arrange 업무 수행으로 간접적으로 영업
합작
법인
신설
- 중국측의 브랜드와 네트웍을 활용할 수 있음
- 경영참여가 가능함
- 적합한 파트너 찾기가 매우 어려움
- 자본투자 비용이 많이 들어감
- 상호 권리의무를 명확히 하여 명문화 하지 않을 경우 추후 문제 발생
- 사무소를우선설립해야함
- 성공한 사례가 많지 않음
(예외: Sino First Bank)
인수
양호한 은행을 인수할 경우, 단기간에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수익창출도 가능함
- 좋은 은행을 인수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들어가며 상대를 찾기도 어려움
- 싼값에 인수한 경우는 영업으로 수익을 내기가 매우 어려움
- 자산실사 문제, 고용승계 문제, 업무영역의 한계 등 (은닉부실자산 등)
사례 거의 없으며 인수시장에 매물이 나온다 하더라도 부실 금융기관일 가능성이 있음
지분참여 통한
전략제휴
- 중국측의 브랜드와 네트
  • 가격1,4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7.24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23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