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와표현> 경계를 넘어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Ⅰ 읽기자료 정리
Ⅱ 경계를 넘지 못한 사례
(황우석사건, 영화 ‘아일랜드’ vs ‘6번째 날’)

*본론 Ⅰ 과학기술의 민주화
Ⅱ 의학, 인문학과 과학의 경계를 넘다
Ⅲ 사이버문화

*결론 및 토론주제 발표

본문내용

∴ 과거에 수학의 대상이
아닌 현상들이 현재 수학의
새로운 현상으로 인정받는
것처럼 다른 학문들도
급변하고 있다. ''
* 읽기자료 2
과거에 잡종은 이분법적 범주들 가운데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다. 따라서 존재한다는 이유만으로 위험스런 존재이자 배척의 대상이었다.
⇒현재 잡종은 대립적인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갈등을 완충, 번역하여 해결할 수 있게 해준다.
∴잡종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잡종성을 더 강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양극화된 집단에서
만들어내기 힘든 새로운 언어와
세계관을 만들어야 한다.
∴시민들이 과학기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여 자신들의
가치관과 이해를 반영해야 한다.
이를 통해 보다 인간적이고
친환경적인 과학기술 발전이
가능하다.
당신은 암스테르담 대학 최초의 과학상점이 명함 상자 하나였다는
점을 기억해두어야 한다.

키워드

  • 가격1,9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7.07.24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224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