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Ⅰ 읽기자료 정리
Ⅱ 경계를 넘지 못한 사례
(황우석사건, 영화 ‘아일랜드’ vs ‘6번째 날’)
*본론 Ⅰ 과학기술의 민주화
Ⅱ 의학, 인문학과 과학의 경계를 넘다
Ⅲ 사이버문화
*결론 및 토론주제 발표
Ⅱ 경계를 넘지 못한 사례
(황우석사건, 영화 ‘아일랜드’ vs ‘6번째 날’)
*본론 Ⅰ 과학기술의 민주화
Ⅱ 의학, 인문학과 과학의 경계를 넘다
Ⅲ 사이버문화
*결론 및 토론주제 발표
본문내용
∴ 과거에 수학의 대상이
아닌 현상들이 현재 수학의
새로운 현상으로 인정받는
것처럼 다른 학문들도
급변하고 있다. ''
* 읽기자료 2
과거에 잡종은 이분법적 범주들 가운데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다. 따라서 존재한다는 이유만으로 위험스런 존재이자 배척의 대상이었다.
⇒현재 잡종은 대립적인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갈등을 완충, 번역하여 해결할 수 있게 해준다.
∴잡종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잡종성을 더 강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양극화된 집단에서
만들어내기 힘든 새로운 언어와
세계관을 만들어야 한다.
∴시민들이 과학기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여 자신들의
가치관과 이해를 반영해야 한다.
이를 통해 보다 인간적이고
친환경적인 과학기술 발전이
가능하다.
당신은 암스테르담 대학 최초의 과학상점이 명함 상자 하나였다는
점을 기억해두어야 한다.
아닌 현상들이 현재 수학의
새로운 현상으로 인정받는
것처럼 다른 학문들도
급변하고 있다. ''
* 읽기자료 2
과거에 잡종은 이분법적 범주들 가운데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다. 따라서 존재한다는 이유만으로 위험스런 존재이자 배척의 대상이었다.
⇒현재 잡종은 대립적인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갈등을 완충, 번역하여 해결할 수 있게 해준다.
∴잡종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잡종성을 더 강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양극화된 집단에서
만들어내기 힘든 새로운 언어와
세계관을 만들어야 한다.
∴시민들이 과학기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여 자신들의
가치관과 이해를 반영해야 한다.
이를 통해 보다 인간적이고
친환경적인 과학기술 발전이
가능하다.
당신은 암스테르담 대학 최초의 과학상점이 명함 상자 하나였다는
점을 기억해두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