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카자흐어 개황
Ⅱ. 알파벳과 발음
1. 알파벳(카자흐어에는 총 42자모가 있다.)
2. 모음
3. 자음
4. 음절 및 모음조화
Ⅲ. 문법 및 독본
Ⅱ. 알파벳과 발음
1. 알파벳(카자흐어에는 총 42자모가 있다.)
2. 모음
3. 자음
4. 음절 및 모음조화
Ⅲ. 문법 및 독본
본문내용
-сын
-сiн
Сiз
-сыз
-сiз
Ол
Ъiз
-мыз / -быз / -пыз
-мiс / -бiз / -пiз
Сенлер
-сынлар
-сiнлер
Сiзлер
-сыэлар
-сiзлер
Олар
5. 형용사 비교급 및 최상급
① 형용사의 비교급
형용사 원형에 -рак /-рек이나 -ырак /-ырек를 붙여서 만드는 형태와 형용사 원형에 -тау/-теу나 -лау/-леу, 또는 -цау /-цеу를 붙여서 만드는 유형이 있고 이 두 가지 형태사이의 의미차이는 없다. 형용사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비교되는 두 대상이 필요하며, 그 형태는 ',,보다 어떻다'는 형식을 취하게 된다. 이 '...보다'를 설명하는 부분은 명사 탈격변화형인 -тан /-тен, -цап /-цеп, -нан/-нен으로 표현한다.
② 형용사의 최상급
형용사 최상급은 형용사 자체의 변화를 통해서 표현하지 않고 형용사 앞에 최상급 부사나 최상급 음절을 첨가하여 나타낸다. 최상급 음절을 사용하여 형용사 최상급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그 형용사의 첫 글자가 모음이냐 자음이냐를 따진다. 형용사의 첫 글자가 모음일 때 [첫모음+л]에 해당하는 음절을 만들어서 형용사 원형 앞에 붙여준다. 형용사의 첫 글자가 자음일 때 [첫자음+모음+л]에 해당하는 음절을 사용한다.
6. 수사
① 양수사
"하나, 둘..."물건의 개수나 분량을 셀 때 쓰는 수사로서[канша?,неше? 얼마?]에 대한 답을 제공한다. 양수사가 명사와 함께 사용될 경우, 수사가 복수를 나타내더라도 그것을 받는 명사는 단수 명사를 사용한다.
бiр
1
алты
6
екi
2
жетi
7
□ш
3
сегiз
8
торт
4
тогыз
9
бес
5
он
10
② 서수사
"첫번째", "두번째"와 같이 사물의 순서를 나타내는 수사를 순서수사 내지는 서수사라고 하며, "몇 번 째?"의 의미를 묻는 нешiншi, "어떤?"의 의미를 묻는 кай нешесi?에 대한 대답을 제공한다. 서수사는 양수사에 -ыншы, -iншi, -ншы, -шнi라는 서수사 어미가 붙어서 만들어진다. 10이상의 합성수사에는 마지막에 오는 수사에만 변화어미를 붙이면 된다.
7. 명사 복수형
복수 명사는 단수 명사에 "-들"의 의미를 가진 복수접미사가 붙어서 만들어진다. 복수접미사 접속은 모음조화 및 유음동화의 원칙에 따라 규칙적으로 발생하며 다음 표와 같다.
단어의 성질/ 단어의 마지막 음
후설모음
전설모음
무성자음
유성자음 중 б, в, г, лг,
-тар
-тер
유성자음 중 з, ж
공명음 중 л, м, н, н
-лар
-дер
모음
공명음 중 р, й, у
-лар
-лер
8. 명령법
카자흐어 명령법 1인칭은 현재 동사의 의미와 그 뜻이 유사하며, 2, 3인칭의 경우에는 제안 명령의 의미를 갖는다. 동사 명령법은 다음과 같이 인칭접미사 제 4변화형을 가진다.
◎ 명령법의 부정문
동사원형어간에 부정조사 [-ма/-ме],[-ба/-бе],[-па/-пе]를 붙인 후 인칭에 맞도록 인칭어미를 연결한다. 각각의 동사에 부정조사의 어떤 형태가 붙을지는 의문접미사가 붙는 법칙과 동일하다.
명령문 2인칭에서 "제발~해 주시겠습니까?"하는 정중한 부탁을 할 때는 위의 명령법 표현에 -шы /-шi를 붙여서 표현한다.
9. 부사
① 장소부사
장소부사를 유도하는 의문부사는 кайда?(어디에?/어디로?, ?(어디에서?)이다.
② 시간부사
кашан?(언제), кашап ?(언제부터), кашанга леiн?(언제까지),каншала?(몇 시에)
③ 정도부사
канша(얼마나?)
④ 행동양식부사
калай(어떻게?)
⑤ 목적부사
неге?
⑥ 원인부사
нелiктен(왜?, 무엇 때문에?, 무슨 목적으로)
⑦ 강조부사
калай ?(어떻게?)
10. 직설법 과거형
과거에 발생한 명백한 행위나 동작을 표현할 때에는 과거형 동사가 쓰인다.
동사 과거형을 만드는 방법은 원형동사에서 "y"를 떼어내고 동사원형 어간에 -лы /-лi 나 -ты/ -тi를 붙인 후 인칭접미사 변화 제 3형을 붙이면 된다.
◎ 인칭 접미사 제 3형
인칭
후설모음
전설모음
Мен
м
м
Сен
н
н
Сiз
ныз
нiз
Ол
Ъiз
к
к
Сенлер
нлар
нлер
Сiзлер
нызлар
нiзлер
Олар
◎ 동사과거형 부정
ба бе
동사어간+ па пе + лы / лi +인칭접미사 면화 제 3형
ма ме
11. 직설법 현재형
① 동사 단순 현재형
일상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동작이나 사건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그 변화는 동사 원형에서 "y"를 떼어낸 후 낱말의 성질이 후설모음이며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a, 낱말의 성질이 전설모음이며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e, 낱말아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 를 붙이고 인칭접미사 제 2변화형을 붙인다.
인칭
후설모음
전설모음
Мен
-мын / -пын
-мiн / -пiн
Сен
-сын
-сiн
Сiз
-сыз
-сiз
Ол
-лыты
-лi /-тi
Ъiз
-мыз / -пыз
-мiс / -пiз
Сенлер
-сынлар
-сiнлер
Сiзлер
-сыэлар
-сiзлер
Олар
-лыты
-лi /-тi
② 동사 현재 진행형
"지금, 주어진 시점"에서의 진행되는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의미를 나타내는 본동사와 조동사, 두 개의 동사를 복합하여 쓴다. 따라서 동사형에 복합성이하고도 한다. 접미사(-ып/ -iп /-п)을 동사 어간에 붙여주고 현재진행형에서 사용되는 조동사 중 하나를 선택하고 위 조동사의 어간에 "인칭접미사 제 1변화형'을 붙여준다. 이 네 가지 조동사는 인간의 모든 행동과 삶의 유형을 다 포함하여 설명한다.
◎ 현재 진행형 부정문
긍정형과 주동사의 모양은 똑같고 조동사 원형에 "-отыр/ -т□р "이나 "-ж□р/-жар"를 붙이고 "жок"이라는 부정조사에 "인칭 접미사 제 2변화형"을 연결시킨다.
12. 직설법 미래형
동사단순현재형과 변화는 같으므로 어떤 것이 현재형인지 미래형인지는 그 문맥에 따라서 결정된다. 동사 미래형은 종종 미래를 나타내는 "시간부사"와 함께 쓰인다.
-сiн
Сiз
-сыз
-сiз
Ол
Ъiз
-мыз / -быз / -пыз
-мiс / -бiз / -пiз
Сенлер
-сынлар
-сiнлер
Сiзлер
-сыэлар
-сiзлер
Олар
5. 형용사 비교급 및 최상급
① 형용사의 비교급
형용사 원형에 -рак /-рек이나 -ырак /-ырек를 붙여서 만드는 형태와 형용사 원형에 -тау/-теу나 -лау/-леу, 또는 -цау /-цеу를 붙여서 만드는 유형이 있고 이 두 가지 형태사이의 의미차이는 없다. 형용사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비교되는 두 대상이 필요하며, 그 형태는 ',,보다 어떻다'는 형식을 취하게 된다. 이 '...보다'를 설명하는 부분은 명사 탈격변화형인 -тан /-тен, -цап /-цеп, -нан/-нен으로 표현한다.
② 형용사의 최상급
형용사 최상급은 형용사 자체의 변화를 통해서 표현하지 않고 형용사 앞에 최상급 부사나 최상급 음절을 첨가하여 나타낸다. 최상급 음절을 사용하여 형용사 최상급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그 형용사의 첫 글자가 모음이냐 자음이냐를 따진다. 형용사의 첫 글자가 모음일 때 [첫모음+л]에 해당하는 음절을 만들어서 형용사 원형 앞에 붙여준다. 형용사의 첫 글자가 자음일 때 [첫자음+모음+л]에 해당하는 음절을 사용한다.
6. 수사
① 양수사
"하나, 둘..."물건의 개수나 분량을 셀 때 쓰는 수사로서[канша?,неше? 얼마?]에 대한 답을 제공한다. 양수사가 명사와 함께 사용될 경우, 수사가 복수를 나타내더라도 그것을 받는 명사는 단수 명사를 사용한다.
бiр
1
алты
6
екi
2
жетi
7
□ш
3
сегiз
8
торт
4
тогыз
9
бес
5
он
10
② 서수사
"첫번째", "두번째"와 같이 사물의 순서를 나타내는 수사를 순서수사 내지는 서수사라고 하며, "몇 번 째?"의 의미를 묻는 нешiншi, "어떤?"의 의미를 묻는 кай нешесi?에 대한 대답을 제공한다. 서수사는 양수사에 -ыншы, -iншi, -ншы, -шнi라는 서수사 어미가 붙어서 만들어진다. 10이상의 합성수사에는 마지막에 오는 수사에만 변화어미를 붙이면 된다.
7. 명사 복수형
복수 명사는 단수 명사에 "-들"의 의미를 가진 복수접미사가 붙어서 만들어진다. 복수접미사 접속은 모음조화 및 유음동화의 원칙에 따라 규칙적으로 발생하며 다음 표와 같다.
단어의 성질/ 단어의 마지막 음
후설모음
전설모음
무성자음
유성자음 중 б, в, г, лг,
-тар
-тер
유성자음 중 з, ж
공명음 중 л, м, н, н
-лар
-дер
모음
공명음 중 р, й, у
-лар
-лер
8. 명령법
카자흐어 명령법 1인칭은 현재 동사의 의미와 그 뜻이 유사하며, 2, 3인칭의 경우에는 제안 명령의 의미를 갖는다. 동사 명령법은 다음과 같이 인칭접미사 제 4변화형을 가진다.
◎ 명령법의 부정문
동사원형어간에 부정조사 [-ма/-ме],[-ба/-бе],[-па/-пе]를 붙인 후 인칭에 맞도록 인칭어미를 연결한다. 각각의 동사에 부정조사의 어떤 형태가 붙을지는 의문접미사가 붙는 법칙과 동일하다.
명령문 2인칭에서 "제발~해 주시겠습니까?"하는 정중한 부탁을 할 때는 위의 명령법 표현에 -шы /-шi를 붙여서 표현한다.
9. 부사
① 장소부사
장소부사를 유도하는 의문부사는 кайда?(어디에?/어디로?, ?(어디에서?)이다.
② 시간부사
кашан?(언제), кашап ?(언제부터), кашанга леiн?(언제까지),каншала?(몇 시에)
③ 정도부사
канша(얼마나?)
④ 행동양식부사
калай(어떻게?)
⑤ 목적부사
неге?
⑥ 원인부사
нелiктен(왜?, 무엇 때문에?, 무슨 목적으로)
⑦ 강조부사
калай ?(어떻게?)
10. 직설법 과거형
과거에 발생한 명백한 행위나 동작을 표현할 때에는 과거형 동사가 쓰인다.
동사 과거형을 만드는 방법은 원형동사에서 "y"를 떼어내고 동사원형 어간에 -лы /-лi 나 -ты/ -тi를 붙인 후 인칭접미사 변화 제 3형을 붙이면 된다.
◎ 인칭 접미사 제 3형
인칭
후설모음
전설모음
Мен
м
м
Сен
н
н
Сiз
ныз
нiз
Ол
Ъiз
к
к
Сенлер
нлар
нлер
Сiзлер
нызлар
нiзлер
Олар
◎ 동사과거형 부정
ба бе
동사어간+ па пе + лы / лi +인칭접미사 면화 제 3형
ма ме
11. 직설법 현재형
① 동사 단순 현재형
일상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동작이나 사건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그 변화는 동사 원형에서 "y"를 떼어낸 후 낱말의 성질이 후설모음이며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a, 낱말의 성질이 전설모음이며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e, 낱말아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 를 붙이고 인칭접미사 제 2변화형을 붙인다.
인칭
후설모음
전설모음
Мен
-мын / -пын
-мiн / -пiн
Сен
-сын
-сiн
Сiз
-сыз
-сiз
Ол
-лыты
-лi /-тi
Ъiз
-мыз / -пыз
-мiс / -пiз
Сенлер
-сынлар
-сiнлер
Сiзлер
-сыэлар
-сiзлер
Олар
-лыты
-лi /-тi
② 동사 현재 진행형
"지금, 주어진 시점"에서의 진행되는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의미를 나타내는 본동사와 조동사, 두 개의 동사를 복합하여 쓴다. 따라서 동사형에 복합성이하고도 한다. 접미사(-ып/ -iп /-п)을 동사 어간에 붙여주고 현재진행형에서 사용되는 조동사 중 하나를 선택하고 위 조동사의 어간에 "인칭접미사 제 1변화형'을 붙여준다. 이 네 가지 조동사는 인간의 모든 행동과 삶의 유형을 다 포함하여 설명한다.
◎ 현재 진행형 부정문
긍정형과 주동사의 모양은 똑같고 조동사 원형에 "-отыр/ -т□р "이나 "-ж□р/-жар"를 붙이고 "жок"이라는 부정조사에 "인칭 접미사 제 2변화형"을 연결시킨다.
12. 직설법 미래형
동사단순현재형과 변화는 같으므로 어떤 것이 현재형인지 미래형인지는 그 문맥에 따라서 결정된다. 동사 미래형은 종종 미래를 나타내는 "시간부사"와 함께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