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문헌고찰
1.알코올중독의 기본개념
정의
문제 진행과정
기본개념
혈중 알코올 농도와 증상
2.알코올중독 원인
3.알코올중독자의 임상적 특성
방어기제
알코올중독으로 인한 영향
알코올중독 증세의 단계
알코올중독의 금단증상
4.알코올 중독 환자를 위한 치료
Ⅱ.사례연구
1.일반정보
2.진단적 검사 결과
3.Medication
4.경과사항
Ⅲ.간호과정
1. 역할수행 장애
2. 잠재적 욕구
Ⅳ.감상문
Ⅴ.참고문헌&참고사이트
1.알코올중독의 기본개념
정의
문제 진행과정
기본개념
혈중 알코올 농도와 증상
2.알코올중독 원인
3.알코올중독자의 임상적 특성
방어기제
알코올중독으로 인한 영향
알코올중독 증세의 단계
알코올중독의 금단증상
4.알코올 중독 환자를 위한 치료
Ⅱ.사례연구
1.일반정보
2.진단적 검사 결과
3.Medication
4.경과사항
Ⅲ.간호과정
1. 역할수행 장애
2. 잠재적 욕구
Ⅳ.감상문
Ⅴ.참고문헌&참고사이트
본문내용
없었다.
가정을 open 시켜 독립적인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교육 한다.
- 퇴원 시 말씀 드리려고 하였으나, 갑작스럽게 퇴원을 하셔서 교육하지 못했다.
⑤ 평가
-가정과 이웃에 관한 역할수행 장애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평가를 할 수 없었다.
2. 잠재적 욕구
①사정
주관적 자료
“ 농사일 하다 보니 한두 잔 계속 먹고 싶어요.”
“ 술이 보이면 계속 먹게 되니까 차라리 술 공장이 없어졌으면 좋겠어 요.”
“ 3개월 정도 끊어 봤는데 다시 찾게 되더라고요.”
객관적 자료
②진단: 습관성과 관련된 잠재적 욕구
목표: 내재되어 있던 술에 대한 생각이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③계획
Vital Sign
-신체의 변화를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이다.
간단한 운동을 권유해 드리며 같이 걷기 운동 한다.
-알코올에 대한 잠재적 욕구를 다른 일을 통해 감소시킨다.
알코올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교육한다.
-알코올이 우리 인체와 사회 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교육함으로서 알코올에 대한 욕구를 감소시킨다.
④수행
Vital Sign
- 오전 10시와 오후2시 저녁8시로 짜인 시간에 맞추어 측정하였다.
간단한 운동을 권유해 드리며 같이 걷기 운동 한다.
- 운동을 통한 당 조절과, 신체의 건강해 짐의 이점을 설명한 후 권유해 드림.
- 얼마 후 병동을 몇 바퀴 돌아 보시며 밝게 웃어주심.
- 식사 후 함께 걷는 운동 실시함.
알코올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교육한다.
- 교육을 하기 위해 자료를 인터넷과 책을 통해 조사 하였다.
- 인체에 끼치는 악영향을 설명해 드렸다.
- 사회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자료가 부족하여 설명해 드리지 못함.
⑤평가: 술에 대한 생각이 한결 감소되었다 말씀하심.
Ⅳ. 감상문
기대 반 두려움 반.
이번 실습은 이 두 가지 마음의 공존으로 시작되었다.
처음 발을 내딛는 그 순간 폐쇄병동이라는 두려움이 먼저 나를 찾아 왔다. 낯설기만 한 이곳! 이곳을 둘러볼 겨를도 없이 한 분 두 분씩 말을 먼저 건네오며 인사를 해주셨다. 비록 조금은 어눌한 말 이였고, 활짝 핀 밝은 얼굴은 아니었지만,,,
많은 분의 환자와 각 각의 특성 때문 이였는지 쉽사리 정신과 병동에 적응하기란 쉽지만은 않았다.
‘환자분들의 한 마디 한 마디에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거지?’ 또 ‘어떤 말씀을 먼저 건네 드려야 하는 걸까?’... 하는 머릿속의 질문은 끊임없이 흘러나왔고 날 수없이 생각하게 만들어 주었다. 우선 주변을 둘러보았다. 약을 드시기 위해 물 병으로 자리를 맡아 놓으시는 환자 분이 계시는가 하면, 악수라든지 껴안는 간단한 스킨십을 보이시는 환자분들도 계셨다. 환자분들의 행동에 당황하기도 하였지만, 문뜩 환자분들의 행동을 그냥 지나칠 수 없는 과가 바로 정신과가 아닌가? 라는 생각으로 나 나름대로의 전신과에 대한 정의를 내렸다.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빠짐없이 관찰해야하고 해석해야 하는 곳... 더 세밀함을 요구 하는 곳으로 말이다. 또 그렇기에 이곳에서의 매일의 하루는 똑같은 하루가 아닌 매번 새로운 하루임을...
서서히 적응을 해 갈쯤 주변을 둘러볼 여유가 생겼다. 우리의 삶과 별반 다를 것 없는 그분들의 모습 이였다. 어떤분은 다른 환자분들이 편하게 약을 드실 수 있도록 물을 떠 드리기도 하며, 또 어떤분은 몸이 불편한 분들을 위해 식사를 직접 병동으로 옮겨 드리기도 했다. 이러한 작은 봉사를 하는 환자들을 볼 때 마다 이곳 또한 작은 사회의 규칙을 토대로 삶을 이루어 가는 구나! 라는 생각, 또 평범하면서도 언제나 끌리는 인간미가 가득 찬 공간이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어느정도 관찰을 시행하고 선생님의 뒤를 쫓으며 행했던 라운딩과 복지사님과 함께한 집단 요법, 그리고 환자분들을 직접 찾아다니며 행했던 면담은 나에게 가장 큰 정보의 제공을 허락한 기회였다.
집단요법 시간에는 몇몇의 환자 분들과 간단한 음악을 듣기나, 꽃꽂이 등을 시행 하였고, 그 후에는 항상 복지사님이 ‘어떠셨어요?’라며 물으셨다. 그 물음에 한분 한분 자신의 마음속의 이야기를 내뱉는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어떤 분은, ‘좋았어요.’ 라며 간단한 답을 하셨고, 또 어떤 분은 전혀 알아들을 수 없는 이야기를 나열하기도 하기도 하였다. 질문과 상관없는 장황한 이야기를 늘어 뜨려 내시며 결국엔 ‘좋다.’ ‘싫다.’ 라는 말씀으로 말을 맺으시는 분도 계셨다. 책에서 이론으로만 배워 알고 있었던 것에 대해 직접 눈으로, 또 귀로 보고 들어 알게 될 수록 집단요법 시간의 기대감과 즐거움이 나를 만족케 해 주었다. 그래도 무엇보다 나를 만족케 했던 것은 바로 면담 이었다. 여러 차례 면담 중 가장 기억에 남는 면담이 있다. ‘꿈’에 대해 질문하며 여쭤 본 면담이다. 그 질문을 드리고 나서 ‘과연 어떤 꿈을 지니고 계실까?’ 라는 궁금증으로 내 머릿속에 상상의 날개를 펼치며 답변을 기다렸다. 그분의 대답은 간단했다. 사회적으로 높은 위치의 명예자도 권력자도 아닌, 그야 말로 정말 지극히 평범한 회사원 이였다.
‘회사원이 되고 싶어요.’ 라는 환자분의 말....
짧은 순간 짧은 말에 내 머리에 꽂이는 이 말... 순간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정신 질환으로 인해 이곳에 있기에 사회생활이 불가능 하였으니 말이다...
아마 그분의 꿈이 모든 분의 꿈이 아닌가 싶다.
나는 평범함을 추구하는 그분의 작은 소망에 힘을 드리며 짧은 면담을 마치게 되었지만, 그분이 말씀하신 ‘평범한 회사원’이란 말씀은 오랫동안 내 머리에서 쉽사리 지워지지 않았다.
그리고 문뜩 ‘여기 계신 분들이 퇴원 후 사회생활에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자체 내 다양한 프로그램이 시행되었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Ⅴ.참고문헌
정신간호실습지침서
김후자
수문사
2000년12월23일
정신간호의 실제
이광자, 이숙, 김경희. 민소영
신광출판사
2003년2월20일
진단검사가이드북
김선화, 김옥순, 김정애, 정은정,
정미영, 정승은
정담미디어
2004년2월20일
가정간호사를 위한
정신간호학
이정섭 외 11名
현문사
1999년12월31일
참고사이트
가정을 open 시켜 독립적인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교육 한다.
- 퇴원 시 말씀 드리려고 하였으나, 갑작스럽게 퇴원을 하셔서 교육하지 못했다.
⑤ 평가
-가정과 이웃에 관한 역할수행 장애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평가를 할 수 없었다.
2. 잠재적 욕구
①사정
주관적 자료
“ 농사일 하다 보니 한두 잔 계속 먹고 싶어요.”
“ 술이 보이면 계속 먹게 되니까 차라리 술 공장이 없어졌으면 좋겠어 요.”
“ 3개월 정도 끊어 봤는데 다시 찾게 되더라고요.”
객관적 자료
②진단: 습관성과 관련된 잠재적 욕구
목표: 내재되어 있던 술에 대한 생각이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③계획
Vital Sign
-신체의 변화를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이다.
간단한 운동을 권유해 드리며 같이 걷기 운동 한다.
-알코올에 대한 잠재적 욕구를 다른 일을 통해 감소시킨다.
알코올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교육한다.
-알코올이 우리 인체와 사회 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교육함으로서 알코올에 대한 욕구를 감소시킨다.
④수행
Vital Sign
- 오전 10시와 오후2시 저녁8시로 짜인 시간에 맞추어 측정하였다.
간단한 운동을 권유해 드리며 같이 걷기 운동 한다.
- 운동을 통한 당 조절과, 신체의 건강해 짐의 이점을 설명한 후 권유해 드림.
- 얼마 후 병동을 몇 바퀴 돌아 보시며 밝게 웃어주심.
- 식사 후 함께 걷는 운동 실시함.
알코올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교육한다.
- 교육을 하기 위해 자료를 인터넷과 책을 통해 조사 하였다.
- 인체에 끼치는 악영향을 설명해 드렸다.
- 사회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자료가 부족하여 설명해 드리지 못함.
⑤평가: 술에 대한 생각이 한결 감소되었다 말씀하심.
Ⅳ. 감상문
기대 반 두려움 반.
이번 실습은 이 두 가지 마음의 공존으로 시작되었다.
처음 발을 내딛는 그 순간 폐쇄병동이라는 두려움이 먼저 나를 찾아 왔다. 낯설기만 한 이곳! 이곳을 둘러볼 겨를도 없이 한 분 두 분씩 말을 먼저 건네오며 인사를 해주셨다. 비록 조금은 어눌한 말 이였고, 활짝 핀 밝은 얼굴은 아니었지만,,,
많은 분의 환자와 각 각의 특성 때문 이였는지 쉽사리 정신과 병동에 적응하기란 쉽지만은 않았다.
‘환자분들의 한 마디 한 마디에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거지?’ 또 ‘어떤 말씀을 먼저 건네 드려야 하는 걸까?’... 하는 머릿속의 질문은 끊임없이 흘러나왔고 날 수없이 생각하게 만들어 주었다. 우선 주변을 둘러보았다. 약을 드시기 위해 물 병으로 자리를 맡아 놓으시는 환자 분이 계시는가 하면, 악수라든지 껴안는 간단한 스킨십을 보이시는 환자분들도 계셨다. 환자분들의 행동에 당황하기도 하였지만, 문뜩 환자분들의 행동을 그냥 지나칠 수 없는 과가 바로 정신과가 아닌가? 라는 생각으로 나 나름대로의 전신과에 대한 정의를 내렸다.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빠짐없이 관찰해야하고 해석해야 하는 곳... 더 세밀함을 요구 하는 곳으로 말이다. 또 그렇기에 이곳에서의 매일의 하루는 똑같은 하루가 아닌 매번 새로운 하루임을...
서서히 적응을 해 갈쯤 주변을 둘러볼 여유가 생겼다. 우리의 삶과 별반 다를 것 없는 그분들의 모습 이였다. 어떤분은 다른 환자분들이 편하게 약을 드실 수 있도록 물을 떠 드리기도 하며, 또 어떤분은 몸이 불편한 분들을 위해 식사를 직접 병동으로 옮겨 드리기도 했다. 이러한 작은 봉사를 하는 환자들을 볼 때 마다 이곳 또한 작은 사회의 규칙을 토대로 삶을 이루어 가는 구나! 라는 생각, 또 평범하면서도 언제나 끌리는 인간미가 가득 찬 공간이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어느정도 관찰을 시행하고 선생님의 뒤를 쫓으며 행했던 라운딩과 복지사님과 함께한 집단 요법, 그리고 환자분들을 직접 찾아다니며 행했던 면담은 나에게 가장 큰 정보의 제공을 허락한 기회였다.
집단요법 시간에는 몇몇의 환자 분들과 간단한 음악을 듣기나, 꽃꽂이 등을 시행 하였고, 그 후에는 항상 복지사님이 ‘어떠셨어요?’라며 물으셨다. 그 물음에 한분 한분 자신의 마음속의 이야기를 내뱉는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어떤 분은, ‘좋았어요.’ 라며 간단한 답을 하셨고, 또 어떤 분은 전혀 알아들을 수 없는 이야기를 나열하기도 하기도 하였다. 질문과 상관없는 장황한 이야기를 늘어 뜨려 내시며 결국엔 ‘좋다.’ ‘싫다.’ 라는 말씀으로 말을 맺으시는 분도 계셨다. 책에서 이론으로만 배워 알고 있었던 것에 대해 직접 눈으로, 또 귀로 보고 들어 알게 될 수록 집단요법 시간의 기대감과 즐거움이 나를 만족케 해 주었다. 그래도 무엇보다 나를 만족케 했던 것은 바로 면담 이었다. 여러 차례 면담 중 가장 기억에 남는 면담이 있다. ‘꿈’에 대해 질문하며 여쭤 본 면담이다. 그 질문을 드리고 나서 ‘과연 어떤 꿈을 지니고 계실까?’ 라는 궁금증으로 내 머릿속에 상상의 날개를 펼치며 답변을 기다렸다. 그분의 대답은 간단했다. 사회적으로 높은 위치의 명예자도 권력자도 아닌, 그야 말로 정말 지극히 평범한 회사원 이였다.
‘회사원이 되고 싶어요.’ 라는 환자분의 말....
짧은 순간 짧은 말에 내 머리에 꽂이는 이 말... 순간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정신 질환으로 인해 이곳에 있기에 사회생활이 불가능 하였으니 말이다...
아마 그분의 꿈이 모든 분의 꿈이 아닌가 싶다.
나는 평범함을 추구하는 그분의 작은 소망에 힘을 드리며 짧은 면담을 마치게 되었지만, 그분이 말씀하신 ‘평범한 회사원’이란 말씀은 오랫동안 내 머리에서 쉽사리 지워지지 않았다.
그리고 문뜩 ‘여기 계신 분들이 퇴원 후 사회생활에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자체 내 다양한 프로그램이 시행되었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Ⅴ.참고문헌
정신간호실습지침서
김후자
수문사
2000년12월23일
정신간호의 실제
이광자, 이숙, 김경희. 민소영
신광출판사
2003년2월20일
진단검사가이드북
김선화, 김옥순, 김정애, 정은정,
정미영, 정승은
정담미디어
2004년2월20일
가정간호사를 위한
정신간호학
이정섭 외 11名
현문사
1999년12월31일
참고사이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