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마가복음의 저작 배경
1. 저자
2. 시기
3. 기록경위 및 목적
Ⅱ. 마가복음에서의 예수와 제자들
1. 마가복음 안의 예수
2. 마가복음 안의 제자
1) 부정적인 측면
2) 긍정적인 측면
Ⅲ. 결론
1. 저자
2. 시기
3. 기록경위 및 목적
Ⅱ. 마가복음에서의 예수와 제자들
1. 마가복음 안의 예수
2. 마가복음 안의 제자
1) 부정적인 측면
2) 긍정적인 측면
Ⅲ. 결론
본문내용
마가가 생각하기에 그러한 위기적 상황에서 제자가 마땅히 해야 할 몫인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그의 논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하여, 마가는 원래의 전승을 보존하거나 혹은 그 자신의 논편을 덧붙힘으로써 제자들을 부정적으로 묘사하고자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마가는 실패한 제자도의 본보기를 그의 독자들에게 보여줌으로써 그런 길을 피해 갈 수 있게끔 만들고자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 대신 마가는 제자들이 뒤따라야 할 길, 즉 예수님이 참 제자도의 규칙으로서 그들 앞에서 보여 주신 길을 소개했던 것이다.
마가가 제시하고자 하는 제자도는 이것이다. 예수에게 가장 가까운 사람들 그리고 가장 잘 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예수의 진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자일 수 있고 반면에 예수로부터 떨어진 자들이 영적으로나 삶에 있어서 아주 가까울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을 넘어서는 섬김의 모습으로 예수가 오르는 예루살렘 길을 성실히 따라가는 것이다. 예수는 오늘도 고난과 핍박이 기다릴지라도 고난을 넘어 영광을 바라보며 예수의 발자취를 성실하게 따라가는 사람들을 찾고 계신다. 문진석. 마가복음의 제자도, (대전 : 침례신학대학교, 2005)
참고자료
1. 단행본 자료
권종선. 신약성서연구입문. 대전: 대전침례신학대학교, 2007.
김경진. 「누가 신학의 제자도와 청지기」. 서울: 솔로몬, 2007.
김근수. 복음서 이해. 서울: 나단, 1996.
키트 F. 니클. [차이점과 공통점 공관복음서 이해, 이형의 역. 서울: 대한 기독교 출판사, 2006
2. 논문자료
문진석. 「마가복음의 제자도」. 침례신학대학교, 2005.
마가가 제시하고자 하는 제자도는 이것이다. 예수에게 가장 가까운 사람들 그리고 가장 잘 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예수의 진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자일 수 있고 반면에 예수로부터 떨어진 자들이 영적으로나 삶에 있어서 아주 가까울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을 넘어서는 섬김의 모습으로 예수가 오르는 예루살렘 길을 성실히 따라가는 것이다. 예수는 오늘도 고난과 핍박이 기다릴지라도 고난을 넘어 영광을 바라보며 예수의 발자취를 성실하게 따라가는 사람들을 찾고 계신다. 문진석. 마가복음의 제자도, (대전 : 침례신학대학교, 2005)
참고자료
1. 단행본 자료
권종선. 신약성서연구입문. 대전: 대전침례신학대학교, 2007.
김경진. 「누가 신학의 제자도와 청지기」. 서울: 솔로몬, 2007.
김근수. 복음서 이해. 서울: 나단, 1996.
키트 F. 니클. [차이점과 공통점 공관복음서 이해, 이형의 역. 서울: 대한 기독교 출판사, 2006
2. 논문자료
문진석. 「마가복음의 제자도」. 침례신학대학교, 2005.
추천자료
[신학] 아볼로 성경공부 `공동체의 삶`
신학 - 성경 : 남북왕 연대표(분열왕국)
치유신학의 성경적 배경
뇌사의 정의,죽음의 정의,뇌사의 찬성 입장,뇌사의 반대 입장,칸트의 가치윤리학,아리스토텔...
[성서와 선교] 사도행전의 초대교회 선교이해 - 홍용표, 김성욱 옮김, (윌리엄 J. 랄킨 2세, ...
(신학교, 신대원) [요약, 감상문] 한권으로 마스터하는 구약성경(Lesen und verstehen) - 헤...
[성경·설교·말씀] (요한복음 20장 19-23절) 신학도를 향한 예수님의 언약 (성서·기독교·교회·...
[바울신학] 바울의 윤리(倫理) [그리스도인과 십계명] {율법의 제3의 용도, 기독교적 직관론...
[복음비평사] 복음비평사의 과도기 - 바이세Christian (마가복음 우월성, 두 문서설, 결론),...
[구약신학] 창세기 40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바로의 두 관원장과 요셉의 꿈...
[구약신학] 창세기 31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야곱의 귀향과 미스바 언약
[구약신학] 창세기 3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야곱의 얍복강 씨름
[구약신학] 창세기 3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에서 곧 에돔의 후손들
[구약신학] 창세기 38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요셉의 꿈과 애굽으로 팔려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