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위성통신 종류와 서비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위성통신 종류와 서비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우리나라 위성발사 계획

2. 아리랑(1,2호)
(1) 아리랑 1호
(2) 아리랑 2호

3. 무궁화(1,2,3호)
▣ 무궁화 1호 제원 ▣
▣ 무궁화2호 제원 ▣
▣ 무궁화 3호 제원 ▣
<무궁화 위성의 사용 용도>

4. 우리별(1,2,3,4호)

5. 무궁화 위성과 우리별 위성의 비교
< 참 고 자 료 >

본문내용

우리나라 위성통신 종류와 서비스
목차
1. 우리나라 위성발사 계획
2. 아리랑(1,2호)
(1) 아리랑 1호
(2) 아리랑 2호
3. 무궁화(1,2,3호)
▣ 무궁화 1호 제원 ▣
▣ 무궁화2호 제원 ▣
▣ 무궁화 3호 제원 ▣
<무궁화 위성의 사용 용도>
4. 우리별(1,2,3,4호)
5. 무궁화 위성과 우리별 위성의 비교
< 참 고 자 료 >
1. 우리나라 위성발사 계획
우리 나라는 향후 2015년에는 세계 10위권의 선진우주국에 진입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우주개발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정책추진방향과 함께 단계별 기술개발분야 및 전략에 대한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실천중에 있다.
위성이용 및 우주과학분야는 예측된 국내수요위성개발과 연계된 통신, 방송, 지구관측(기상 및 해양 포함) 및 우주과학분야로 세분하여 단계별 추진계획을 작성하였다. 통신방송분야는 위성방송기술의 자립과 차세대 통신기술개발, 지구관측분야는 주요 이용분야의 도출과 이용기반구축 그리고 위성탑재체의 핵심기술개발에 중점을 두고 단계별 발전 목표를 제시하였다.
2. 아리랑(1,2호)
(1) 아리랑 1호
한국 최초의 지구관측용 실용위성
- \'99년 12월 발사 (미서부 Vandenberg 발사장)
- 미 TRW사와 공동개발
- 국내 7개기업 국산화참여 (현대, 삼성, 한라중공업, 대우중공업, 두원중공업)
- 개발 기간 : 1995 ~ 1999
- 크 기 : 253(H)x134(D)x690(L)cm
- 무 게 : 470 Kg
- 궤 도 : 685 km 태양동기 궤도
- 탑 재 체 : EOC(전자광학), LRC(저해상도), SPS(과학실험 탑재체)
- 임 무 : 한반도지도제작(10m 해상도, 입체지도포함)
해양 관측(해양오염 및 생태변화), 과학 실험
아리랑위성 1호 개발사업은 실용급 위성핵심기술의 국내 조기정착을 목표로 위성기술을 국산화하고, 국내에서 요구되는 한반도 및 해양관측 데이터를 얻기 위한 지구관측위성을 개발하는 우리 나라 위성개발의 핵심 프로젝트이다.
아리랑위성 1호는 고도 685km, 경사각 98.13°의 태양동기궤도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한반도 영상자료획득 임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적도통과 시각을 지방시 오전 10시 50분으로 정했다. 아리랑위성 1호기는 28일마다 동일한 지상반복궤적을 통과한다. 아리랑위성 1호으 발사중량은 470kg익, 양 날개의 태양전지판에서 생성되는 전력은 3년의 임무수명말 기준으로 약 646W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 아리랑위성 1호는 태양전지판을 완전히 전개했을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8.06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41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