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신화․원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학과 신화․원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화의 정의
2. 신화․전설․민담
3. 건국신화
4. 무속신화
5. 당신화
6. 신화 비평
7.신화의 전망

본문내용

인간을 창조하고 일월을 조정하고 이제를 차지하는 시조에 관한 이야기로서 아직 문헌에 기록되어 전하는 것은 발견되지 않고, 무속에서 독립된 굿거리나 시준굿 등에 삽입되어 전승되고 있다. 천지개벽신화는 건국신화의 유형중 천부지모형 신화와 그 구조가 유사하다.
또 다른 무속신화 유형에서 천지개벽신화보다 무속과 깊은 관련을 갖고 전해오고 있는 창세신화는 함경도에서 제주도에 이르기까지 여러 지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기록으로 정착되지 않고 지방에 따라 구비 전승되는 까닭에 내용이 조금씩 다른 면이 있다.
1930년대 추엽융은 경기도 오산의 세습무 이종만에게서 열두거리굿의 가사를 모두 채록한 바가 있었다. 그 둘째 거리인 ‘시루말’은 창세신화로서 유사한 성격을 보이고 있어서 그 신화소만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새와 짐승들이 말을 하고 인간은 말을 못하던 태초의 혼돈 시절에
② 천상의 당칠성이 지상에 내려와서 매화부인과 결연한다.
③ 매화부인이 낳은 선문 후문 형제가 부친을 찬가가고 각기 대한국과 소한국을 통치한다.
④ 두 개씩의 해와 달을 철궁으로 쏘아서 하나씩으로 조정하니
⑤ 조선국 어느 면, 어느 마을, 아무게 성씨 집안 정성에 수명장수 축원으로 끝나고 있다.
이상의 내용을 보면 이 ‘시루말’에 두 개씩의 해와 달을 활로 쏘아서 조정한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 해와 달의 조정은 창세신화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해와 달의 조정은 우주 질서의 갱신, 기후와 계정의 조정을 의미하며, 그것은 농작물의 풍작의 바램을 상징한다. 농경사회가 중심이던 고대사회에서는 신화를 통해 풍농을 기원하였다. 그러나 이 신화에서는 이러한 해와 달의 조정만 나왔을 뿐 다른 천지와 인간 창조의 내용은 보기 힘들다. 이것은 인세조정의 주역들이 절대적인 창조자가 아니라 단지 보통의 인간보다 탁월한 능력을 지니고 있는 신(神)적인 요소를 지닌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①에서 알 수 있듯이 선문 후문 형제가 태어나기 전에 이미 인간과 다른 생물들이 존재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위에 예로 든 신화는 다른 창세신화가 가지고 있는 중요한 요소인 인세 차지 경쟁담이 없다. 이러한 인세 차지 경쟁담은 창세신화의 흥미나 의미를 더해준다. 경쟁담 속의 내기(꽃피우기)를 통해 무속이 지닌 생명의 원천을 나타내는 것이고 내기에서 애초의 창조자가 짐으로써 세상의 악이 존재하게 되는 것을 풀이하고 있다.
창세신화에서의 인세 차지 경쟁요소는 건국신화를 비롯한 여러 신화에 나타나는 치소 차지 경쟁 화소의 원류가 된다. 이러한 인세 차지가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는 것을 보아 우리의 무속 신화에 들어있는 창세 시조가 천지인의 창조 뒤에 궁극적으로 인간세계를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우리의 무속신화는 인본주의적 사고 하에 인간을 중시 여기는 세계관을 드러낸다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무속신화는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가창하는 종교의례의 한 구성요소이기에 치료, 생명의 잉태, 농경활동의 풍요 등 통합적 전체성의 회복을 바라기도 한다.
5. 당신화
당신화(堂神話)는 각 부락에 좌정한 당신의 내력을 설명하는 내용으로 주로 당신본풀이로 구비 전승되고 있는데 당신화는 당신의 직능에 따라 내용이 다르고 그 좌정 내력담도 서로 다르다. 당신본풀이로 전해오는 당신화가 가장 많이 발견되는 지역은 제주도인데 제주도에는 하나의 부락에 여러 개의 당이 있는 경우도 있다. 당은 대개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하는 것이기에 당신에 대한 제사를 당굿 또는 당제라고 하는데 제주도에서의 당제는 무(巫)가 주재하는 경우와 마을 사람 중에 선발된 자가 주재하는 경우의 두 가지가 있으며, 당본풀이는 무가 주재할 경우 무가로 읊어진다. 당신본풀이는 재차상 대체로 신맞이, 추물공연, 본풀이, 비녕, 점(신의 뜻을 불러서 들음)의 순으로 진행된다.
단편인 당신본풀이들의 구성요소로는 신명제시, 좌정경위, 신의 역할, 제알제시, 동네 단공 성씨명, 축원사 한둘 줄 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짧은 본풀이가 장편화하는 것은 좌정 경위담의 장편화에 따르는데 좌정경위담들을 장편화시키는 주요 모티브들은 남신의 용출, 수렵육식생활, 불효죄로 무쇠설곽에 담겨 추방된 이들의 해중무용담, 여신의 외부에서의 유입, 남신에의 권농과 미식생활과 주구의 지참, 남녀신의 혼인, 식성으로 인한 남녀갈등, 사시 복지 후의 좌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삼공본풀이를 살펴보자.
①옛날에 거지였던 강이영성과 아랫마을 너설부인인 결혼하여 딸 셋을 낳았는데, 첫딸은 은장아기, 둘째 딸은

키워드

문학,   신화,   myth
  • 가격1,1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8.20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55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