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본문내용
제 1 장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대화 기술은 국제화의 첩경)
< 국제 커뮤니케이션 : 왜 한국인은 약한가? >
유학을 가서 공부를 마친 후 똑같이 미국기업에 입사했지만 대만, 중국, 인도 출신들은 회사에서 고위직까지 올라가는 데 어떻게 하여 한국인들은 차, 부장 수준에서 탈락하고 마는가? 즉 한국인은 왜 성공사례가 중국인이나 인도사람에 비교하여 적은가? 다국적 기업에 30년 이상 근무한 어떤 CEO는 다음과 같이 그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1) 한국사람은 제노포이다 성향이 강하여 이민족에 대한 배척이 두드러진다 즉 이들은 알게 모르게 흑인이나 유대인을 배척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 사람들이 외국인으로 대접해 주고 또 존경하는 경우는 단지 백인인 경우이다.
2) 한국사람은 타민족과 어울려 사는 법에 익숙하지 않다. 왜 냐하면, 항상 타민족으로부터 패히를 받아 왔기 때문에 강한 민족에게는 친절하지만 약한 민족은 철저히 무시하는 성향이 두드러진다.
3) 한민족은 단일 민족으로서 체면을 중시하기 때문에 프래그마티즘이 철저하게 부족하다. 명분이나 체면 중심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인간 관계를 오랜 세월동안 형성해 왔기 때문에 협상과 같은 실리추구에는 대단히 미흡하다.
4) 한국 사람들은 삼강오륜식 교육을 받아 왔기 때문에 어느 정도 친숙해지면 이름을 부를 때 First Name Basis로 상대방을 호칭하는 것에 대단히 서툴다. 즉 나이 많은 사람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과는 수평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아주 어색하다. 그런데 이같이 직함과 성을 부르지 않고 이름을 부르는 것이야말로, 미국 및 유럽사회의 경우 친숙도 및 인간적 친밀감 형성의 잣대에 해당된다.
회사 사원이 CEO를 부를 때 Mr.President 가 아니라 이름만 부르고, 학생이 대학교수를 부를 때 “교수님”이 아니라 이름을 부르는 이런 관행은 우리나라와는 너무나 거리가 멀다.
한국인이 미국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하는 이유들인 앞의 CEO가 분석한 내용을 다시 살펴보자. 그런데 다음의 내용은 현재 우리에게도 그대로 적용이 되고 있는 것이 나닌가.
1) 한국 사람들은 여러 나라에서 온 사람들과 자리를 함께 하면 잘 어울리지 못한다. 어색해하며 겉돌기가 일쑤이다. 나아가 대화의 주제를 잡는데도 익숙하지 못하고, 문화적 가치의 차이 때문에 기껏해야 수동적으로 커뮤니케이션에 참가하는 데 그친다.
2) 한국 사람들은 수평적 관계에 특히 어색헤 한다. 그 대신 수직적 관계에는 익숙해져 이TEk. 삼강오륜의 장유유서 가르침이 어릴 EO부터 뼈 속
(대화 기술은 국제화의 첩경)
< 국제 커뮤니케이션 : 왜 한국인은 약한가? >
유학을 가서 공부를 마친 후 똑같이 미국기업에 입사했지만 대만, 중국, 인도 출신들은 회사에서 고위직까지 올라가는 데 어떻게 하여 한국인들은 차, 부장 수준에서 탈락하고 마는가? 즉 한국인은 왜 성공사례가 중국인이나 인도사람에 비교하여 적은가? 다국적 기업에 30년 이상 근무한 어떤 CEO는 다음과 같이 그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1) 한국사람은 제노포이다 성향이 강하여 이민족에 대한 배척이 두드러진다 즉 이들은 알게 모르게 흑인이나 유대인을 배척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 사람들이 외국인으로 대접해 주고 또 존경하는 경우는 단지 백인인 경우이다.
2) 한국사람은 타민족과 어울려 사는 법에 익숙하지 않다. 왜 냐하면, 항상 타민족으로부터 패히를 받아 왔기 때문에 강한 민족에게는 친절하지만 약한 민족은 철저히 무시하는 성향이 두드러진다.
3) 한민족은 단일 민족으로서 체면을 중시하기 때문에 프래그마티즘이 철저하게 부족하다. 명분이나 체면 중심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인간 관계를 오랜 세월동안 형성해 왔기 때문에 협상과 같은 실리추구에는 대단히 미흡하다.
4) 한국 사람들은 삼강오륜식 교육을 받아 왔기 때문에 어느 정도 친숙해지면 이름을 부를 때 First Name Basis로 상대방을 호칭하는 것에 대단히 서툴다. 즉 나이 많은 사람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과는 수평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아주 어색하다. 그런데 이같이 직함과 성을 부르지 않고 이름을 부르는 것이야말로, 미국 및 유럽사회의 경우 친숙도 및 인간적 친밀감 형성의 잣대에 해당된다.
회사 사원이 CEO를 부를 때 Mr.President 가 아니라 이름만 부르고, 학생이 대학교수를 부를 때 “교수님”이 아니라 이름을 부르는 이런 관행은 우리나라와는 너무나 거리가 멀다.
한국인이 미국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하는 이유들인 앞의 CEO가 분석한 내용을 다시 살펴보자. 그런데 다음의 내용은 현재 우리에게도 그대로 적용이 되고 있는 것이 나닌가.
1) 한국 사람들은 여러 나라에서 온 사람들과 자리를 함께 하면 잘 어울리지 못한다. 어색해하며 겉돌기가 일쑤이다. 나아가 대화의 주제를 잡는데도 익숙하지 못하고, 문화적 가치의 차이 때문에 기껏해야 수동적으로 커뮤니케이션에 참가하는 데 그친다.
2) 한국 사람들은 수평적 관계에 특히 어색헤 한다. 그 대신 수직적 관계에는 익숙해져 이TEk. 삼강오륜의 장유유서 가르침이 어릴 EO부터 뼈 속
추천자료
교과교육론 -의사소통 능력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이론의 패러다임 전환과 합리성이론 비판
교육과 의사소통
[의사소통과_인간관계] 나메세지(나-전달법과 너-전달법)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하여
조직 의사소통
소그룹 의사소통
조직내 의사소통(팀간, 상하간, 동료간 등)이 원활히 되기 위해서 어떤 원인변수가 있는지를 ...
부부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제시
치료적 의사소통 [의약학]
자신의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방법을 기술
부부의 의사소통 유형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설명하고, 그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시기...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검사지 검사 후 자신의 유형을 도출하고 설명하시오
[의사소통의 장애 중 한 가지 선택하여 이론 사례 치료방법 치료결과 부모역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