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UNEP
1. 설립 및 개괄
2. 부서 및 활동
(1) 정책개발과 법무국
(2) 환경평가 및 조기경보국
(3) 환경정책 이행국
(4) 기술, 산업, 경제국
(5) 지역협력국
(6) 환경협약국
(7) 지구환경기금조정국
(8) 정보출판과 대외협력국
3. 주요 사안
II. UNEP 한국 위원회
1. 설립 배경
2. 주요 활동
III. 위원회사업
1. 정보/출판사업
2. e파란 어린이 환경실천단
3.툰자ICC한국위원회
4. 툰자동북아청소년환경네트워크
5. 유넵한국위원회 전국대학생연합
6. 환경토크
7. 환경기금
8. 기획/이벤트
1. 설립 및 개괄
2. 부서 및 활동
(1) 정책개발과 법무국
(2) 환경평가 및 조기경보국
(3) 환경정책 이행국
(4) 기술, 산업, 경제국
(5) 지역협력국
(6) 환경협약국
(7) 지구환경기금조정국
(8) 정보출판과 대외협력국
3. 주요 사안
II. UNEP 한국 위원회
1. 설립 배경
2. 주요 활동
III. 위원회사업
1. 정보/출판사업
2. e파란 어린이 환경실천단
3.툰자ICC한국위원회
4. 툰자동북아청소년환경네트워크
5. 유넵한국위원회 전국대학생연합
6. 환경토크
7. 환경기금
8. 기획/이벤트
본문내용
을 촉진한다.
국제 산호초 행동 네트워크
The International Coral Reef Action Network (ICRAN)
2000년 설립된 국제 산호초 행동 네트워크는 세계 산호초의 감소 및 파괴를 막기 위해 일하고 있는 전문가들 간의 파트너쉽을 위한 네트워크이다. 산호초 관련 과학자, 보존 단체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네트워크는 국제 산호초 이니셔티브의 제안에 기반하여 산호초를 관리, 보존할 수 있는 통합적인 행동 계획을 만들고 있다.
통합적 산악 발전을 위한 국제 센터
The International Centre for Integrated Mountain Development (GRID-ICIMOD)
1983년 설립된 이 센터는 경제적, 환경적으로 건전한 산악 생태계의 발전과 힌두쿠시-히말라야 지역 (the Hind Kush-Himalayan Region)의 산악 인구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방법을 촉진한다.
국가 생물안정성 기반 발전을 위한 UNEP-GEF 프로젝트
UNEP-GEF Project on Development of National Biosafety Frameworks
각 국이 생물안정성에 관한 카르헤나 의정서를 준수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된 3 개년 프로젝트
기술적 협력 유닛
Technical Cooperation Unit
환경 정책 집행 분과 (the Division of Environment Policy Implementation) 내의 이 유닛은 성공 사례 수집 및 보급, 생물다양성, 대지와 수자원, 수자원과 폐기물 관리, 군서도개발도상국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통합적 해안 및 하천 유역 관리 등에 집중하고 있다.
지구 환경 보고서
Global Environment Outlook
가장 최근 버전인 GEO-3은 지난 30여년 간 환경의 주요한 변화들을 개괄하고, 이러한 변화에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그 외 요소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보여준다. 다루고 있는 주요 이슈들로는 대지, 삼림, 생물다양성, 담수, 연안 및 해안 지대, 대기, 도시화, 자연 재해 등이 있다.
세계 보존 감시 센터
World Conservation Monitoring Center
보존 활동과 정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프로그램은 생물종, 삼림, 보호구역, 해양 및 담수, 극지방과 같이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는 거주지 등을 다루고 있다. 또한 무역과 환경의 관계 및 생물다양성 평가의 포괄적인 측면 역시 다루고 있다.
Earthwatch
유엔 시스템과 과학 공동체, 각국 정부 및 NGO 등과의 파트너쉽을 통해 정책 입안에 필요한 ‘통합적인’ 정보를 수집, 제공한다.
※ 지역
자연 자원 유닛
Unidad de Recursos Naturales
중남미의 자연 자원에 관한 포탈 사이트
UNEP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자원 센터
UNEP Regional Resource Centre for Asia and the Pacific (RRC.AP)
RRC.AP는 능력 배양, 데이터 관리, 평가 및 보고 등의 활동을 통해 DEWA의 우선순위들을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집행하는 데에 힘쓰고 있다.
서아시아 지역 사무소
Regional Office for West Asia
서아시아 지역이 UNEP 내에서 충분히 대표될 수 있도록 하고, 지역 내 환경 활동에 전지구적인 초점 분야가 반영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초점 분야들로는 담수, 해양 및 연안 문제, 생물다양성, 대기, 대지, 청정 생산, 공공 인식, 환경 평가, 삼림 등이 있다.
유럽 지역 사무소
Regional Office for Europe
제네바에 기반해 있는 유럽지역 사무소는 이 지역 내에서 UNEP 프로그램을 집행한다. 주요 초점 분야로는 환경법, 생물다양성, 지속가능한 소비, 정보 제공 등이 있다.
(6) 도시화
세계 인구의 약 3분의 1가량이 도시에 살던 1972년에 비해, 이제 전체 인구의 거의 반 가량(47%)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인구의 집중, 그들의 소비 패턴, 이동 패턴 및 도시 경제 활동은 자원 소비와 폐기물 생산 등으로 인해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세계 도시 인구의 약 70 % 가량은 아프리카, 아시아, 혹은 중남미에 살고 있다. 2000년에서 2015년까지 도시 인구는 매년 약 2 %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50년에는 전체 인구의 약 65 % 가량을 이루게 될 것이다.
급속한 도시화는 실업과 빈곤의 증가, 불충분한 도시 서비스, 대지, 금융, 적절한 주거지의 부족, 그리고 환경 파괴 등을 가져온다. 따라서 도시 환경을 지속가능하도록 관리하는 것은 미래에 인류가 직면하는 큰 도전 과제 중 하나가 될 것이다.
빈곤은 도시 환경 악화의 주요 원인이 된다. 한정된 자원을 차지하려는 경쟁에 뒤쳐지거나 해로운 환경 조건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데에 취약한 도시 빈곤층은 도시화의 부정적인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 전체 도시 인구의 약 사분의 일 가량이 빈곤선(the poverty line)보다 낮은 정도의 생활을 하고 있으며, 여성이 호주인 가정의 경우는 그 정도가 더욱 심한 것으로 예상된다.
불충분한 폐기물 수거와 관리 시스템은 특히 개발도상국의 도시들에서 도시 오염과 보건 위험의 원인이 된다. 선진국의 도시들 역시 과거의 환경 파괴적인 생산 방식이나 불출분한 폐기물 관리의 영향을 받고 있다. 잘 계획된 인구 밀집 주거지(densely populated settlements)는 대지용도변경 수요를 줄이고 에너지 절약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며 재활용은 비용 면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만드는 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도시화에 관한 UNEP의 활동
2005년 세계 환경의 날: 녹색 도시
World Environment Day 2005: Green Cities
매년 6월 5일로 제정된 세계 환경의 날은 유엔이 환경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정치적 주목과 행동을 강화하기 위해 펼치는 주요 활동 중 하나이다. 2005년을 위한 주제는 녹색도시였으며, 슬로건은 지구를 위한 계획 (Plan for the Planet!)이었다.
동아프리카의 납 첨가 가솔린에 관한 워크
국제 산호초 행동 네트워크
The International Coral Reef Action Network (ICRAN)
2000년 설립된 국제 산호초 행동 네트워크는 세계 산호초의 감소 및 파괴를 막기 위해 일하고 있는 전문가들 간의 파트너쉽을 위한 네트워크이다. 산호초 관련 과학자, 보존 단체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네트워크는 국제 산호초 이니셔티브의 제안에 기반하여 산호초를 관리, 보존할 수 있는 통합적인 행동 계획을 만들고 있다.
통합적 산악 발전을 위한 국제 센터
The International Centre for Integrated Mountain Development (GRID-ICIMOD)
1983년 설립된 이 센터는 경제적, 환경적으로 건전한 산악 생태계의 발전과 힌두쿠시-히말라야 지역 (the Hind Kush-Himalayan Region)의 산악 인구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방법을 촉진한다.
국가 생물안정성 기반 발전을 위한 UNEP-GEF 프로젝트
UNEP-GEF Project on Development of National Biosafety Frameworks
각 국이 생물안정성에 관한 카르헤나 의정서를 준수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된 3 개년 프로젝트
기술적 협력 유닛
Technical Cooperation Unit
환경 정책 집행 분과 (the Division of Environment Policy Implementation) 내의 이 유닛은 성공 사례 수집 및 보급, 생물다양성, 대지와 수자원, 수자원과 폐기물 관리, 군서도개발도상국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통합적 해안 및 하천 유역 관리 등에 집중하고 있다.
지구 환경 보고서
Global Environment Outlook
가장 최근 버전인 GEO-3은 지난 30여년 간 환경의 주요한 변화들을 개괄하고, 이러한 변화에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그 외 요소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보여준다. 다루고 있는 주요 이슈들로는 대지, 삼림, 생물다양성, 담수, 연안 및 해안 지대, 대기, 도시화, 자연 재해 등이 있다.
세계 보존 감시 센터
World Conservation Monitoring Center
보존 활동과 정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프로그램은 생물종, 삼림, 보호구역, 해양 및 담수, 극지방과 같이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는 거주지 등을 다루고 있다. 또한 무역과 환경의 관계 및 생물다양성 평가의 포괄적인 측면 역시 다루고 있다.
Earthwatch
유엔 시스템과 과학 공동체, 각국 정부 및 NGO 등과의 파트너쉽을 통해 정책 입안에 필요한 ‘통합적인’ 정보를 수집, 제공한다.
※ 지역
자연 자원 유닛
Unidad de Recursos Naturales
중남미의 자연 자원에 관한 포탈 사이트
UNEP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자원 센터
UNEP Regional Resource Centre for Asia and the Pacific (RRC.AP)
RRC.AP는 능력 배양, 데이터 관리, 평가 및 보고 등의 활동을 통해 DEWA의 우선순위들을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집행하는 데에 힘쓰고 있다.
서아시아 지역 사무소
Regional Office for West Asia
서아시아 지역이 UNEP 내에서 충분히 대표될 수 있도록 하고, 지역 내 환경 활동에 전지구적인 초점 분야가 반영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초점 분야들로는 담수, 해양 및 연안 문제, 생물다양성, 대기, 대지, 청정 생산, 공공 인식, 환경 평가, 삼림 등이 있다.
유럽 지역 사무소
Regional Office for Europe
제네바에 기반해 있는 유럽지역 사무소는 이 지역 내에서 UNEP 프로그램을 집행한다. 주요 초점 분야로는 환경법, 생물다양성, 지속가능한 소비, 정보 제공 등이 있다.
(6) 도시화
세계 인구의 약 3분의 1가량이 도시에 살던 1972년에 비해, 이제 전체 인구의 거의 반 가량(47%)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인구의 집중, 그들의 소비 패턴, 이동 패턴 및 도시 경제 활동은 자원 소비와 폐기물 생산 등으로 인해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세계 도시 인구의 약 70 % 가량은 아프리카, 아시아, 혹은 중남미에 살고 있다. 2000년에서 2015년까지 도시 인구는 매년 약 2 %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50년에는 전체 인구의 약 65 % 가량을 이루게 될 것이다.
급속한 도시화는 실업과 빈곤의 증가, 불충분한 도시 서비스, 대지, 금융, 적절한 주거지의 부족, 그리고 환경 파괴 등을 가져온다. 따라서 도시 환경을 지속가능하도록 관리하는 것은 미래에 인류가 직면하는 큰 도전 과제 중 하나가 될 것이다.
빈곤은 도시 환경 악화의 주요 원인이 된다. 한정된 자원을 차지하려는 경쟁에 뒤쳐지거나 해로운 환경 조건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데에 취약한 도시 빈곤층은 도시화의 부정적인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 전체 도시 인구의 약 사분의 일 가량이 빈곤선(the poverty line)보다 낮은 정도의 생활을 하고 있으며, 여성이 호주인 가정의 경우는 그 정도가 더욱 심한 것으로 예상된다.
불충분한 폐기물 수거와 관리 시스템은 특히 개발도상국의 도시들에서 도시 오염과 보건 위험의 원인이 된다. 선진국의 도시들 역시 과거의 환경 파괴적인 생산 방식이나 불출분한 폐기물 관리의 영향을 받고 있다. 잘 계획된 인구 밀집 주거지(densely populated settlements)는 대지용도변경 수요를 줄이고 에너지 절약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며 재활용은 비용 면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만드는 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도시화에 관한 UNEP의 활동
2005년 세계 환경의 날: 녹색 도시
World Environment Day 2005: Green Cities
매년 6월 5일로 제정된 세계 환경의 날은 유엔이 환경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정치적 주목과 행동을 강화하기 위해 펼치는 주요 활동 중 하나이다. 2005년을 위한 주제는 녹색도시였으며, 슬로건은 지구를 위한 계획 (Plan for the Planet!)이었다.
동아프리카의 납 첨가 가솔린에 관한 워크
키워드
추천자료
청소년 육성정책 및 제도
성폭력 범죄예방 및 대책방안
한국 유통산업의 문제점과 단계별 규제개혁 및 평가
호텔경영에 있어 지식경영과 관리자의 리더십유형 및 종사원의 직무만족
우리나라 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 및 복지시설의 역할
공동모금회의 조직구조와 기능적 현황 및 정착발전을 위한 과제
주택법상 하자담보 및 하자보수 책임에 대하여
지역사회협의회의 개념정의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기관방문을 통한 인터뷰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 학교에서의 반부패교육 실태 및 프로그램 개발방향
노인복지관의 이해 및 발전 전략 고찰
물류 허브터미날의 이해 및 기업물류 전략 고찰
로레알그룹의 사례 및 글로벌전략과 한국시장 진출전략,로레알그룹,로레알마케팅전략,로레알분석
CITI 은행의 한국 진출 및 현지화 전략 (씨티은행 은행 소개)
강원랜드 인사관리 현황과 문제점 및 발전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