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자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와 자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통적 시와 자연의 관계

2. 청록파와 자연

3. 시와 자연

4. 발표를 마치며.

본문내용

1. 전통적 시와 자연의 관계
문학과 자연은 옛날부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문학의 기원을 자연의 모방에 두었고, 프래밍거의 ‘시학사전’에서는 자연이 문학의 진실성을 가늠하는 기준인 동시에 시학의 개념을 규정하는 척도인 것으로 나타나 있다. 특히 현대에 이르러서는 급속히 발전하는 과학문명 속에서 자연은 인간의 고독과 갈등을 극복해 주며 위로해 주는 필수적 요인이 되고 있다. 우리 문학의 경우 자연은 우리가 겪어온 역사적 특수성과 깊은 연관을 갖는다. 강호가도 [江湖歌道]라는 말이 생겨날 만큼 자연시가 주류를 이루었던 조선시대의 시가들은 \'자연미의 발견\'이라는 역할을 담당했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자연시가 주류를 이루었었다.
송강 정철
● 성산별곡(星山別曲)
정철(鄭澈)
엇던 디날 손이 星山(성산)의 머믈며셔
棲霞堂(서하당) 息影亭(식영정) 主人(주인)아 내 말 듯소
人生(인생) 世間(세간)의 됴흔 일 하건마
엇디 江山(강산)을 가디록 나이 녀겨
寂寞(적막) 山中(산중)의 들고 아니 나시고
松根(송근)을 다시 쓸고 竹床(죽상)의 자리 보아
져근덧 올라안자 엇던고 다시 보니
天邊(천변)의 구름 瑞石(서석)을 집을 사마
나 드 양이 主人(주인)과 엇디고
滄溪(창계) 흰 믈결이 亭子(정자) 알 둘러시니
天孫 雲錦(천손운금)을 뉘라셔 버혀 내여
닛 펴티 헌토 헌샤
山中(산중)의 冊曆(책력) 업서 四時(사시) 모더니
눈 아래 헤틴 景(경)이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9.02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1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