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용어사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학용어사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다섯째, 신소설로 이인직의 \'혈의 누\'를 비롯한 \'자유종\', \'은세계\', \'치악산\', \'귀의 성\' 등 다양한 작품이 있다. 여섯째, 번안 소설로 \'장한몽\', \'설중매\', \'해왕성\' 등의 작품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신단 공안(神斷公案) 소설로 일종의 작자 미상의 재판 소설이 있는데, 주로 \'황성 신문\'에 연재되었다. 개화기 소설은 대개 미신이나 구습에 대한 배격과 사회 개혁적인 시각, 강한 정치성을 바탕으로 하는 풍자 의식과 비판적 관점을 지니고 있으나, 구성상으로는 고대 소설적인 면이 많
이 나타나고 있다.
객관 Object (영)
주관의 반대가 되는 말. 주관의 인식 및 행동의 대상이 되는 것을 말한다. 요컨대 주관에 대립이 되는 것으로서 주관으로부터 구별되는 모든 사물을 일컫는다. 객관적이라고 하는 것은 주관의 움직임과는 독립되어 있어 보편 타당한 입장에 서는 것을 의미한다. 객관적 비평이라고 하는 것은 객관적으로 어떤 일정한 기준을 정하고 그것에 따라 비평하는 입장이다. 시에 있어서의 객체는 현실이며, 현실과 시인의 내부(주체)와의 관계가 시를 쓰게 하는 큰 원인이 된다.
객관적 상관물(客觀的 相關物, objective correlative)
감정을 객관화하거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공식 역할을 하는 대상물을 가리킨다. 엘리어트에 의하면 어떤 특별한 정서를 나타낼 공식이 되는 한 떼의 사물, 정황, 일련의 사건으로서, 바로 그 정서를 곧장 환기시키도록 제시된 외부적 사실들이다. 구체적인 사물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정서를 환기시킨다.
객관주의
주관주의에 대치된다. 모든 것, 즉 실재. 가치, 진리, 이법 (理法) 등은 주관적 인식 또는 인간적 실천에 의하지 않아도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나타난다고 보는 입장이다. 예술상에 있어서는 예술가의 주체적인 인식과 실천을 떠나서 현실의 객관적인 진실을 묘사하려 하는 태도이다. 사물의 객관성을 존중하는 입장으로서는 의미가 있으나 단순한 객관주의는 방관적인 안목만 가진다,
객관화·주관화
「객관화」는 한 작품의 내부에서 작가가 모든 소설 내적 요소를 자신의 직접적인 개입없이 간접적으로 보여 주고 제시하려 하는 태도를 지칭하며, 「주관화」는 그와 대응되는 의미, 작가가 작품속에서 자기 자신의 경험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거나 자기의 개인적 기질, 판단, 가치관 및 감정을 투사하는 태도를 지칭한다. 서술의 방법이나 종류로 볼 때 간접제시, 묘사, 대화 등은 객관화의 결과이며 예비서술, 논평 등은 주관화의 산물들이다. 서사 소통에서의 거리를 내정하게 유지시켜 주어 독자들은 텍스트 내의 허구적 환상에 빠져들기가 좀더 용이해지므로 현대의 서사물은 객관화의 방법을 선호하는 것이다.
거리(distance)
소설을 구성하는 각 주체들 사이에 밀착된 정도를 가리키는 용어로, 물리적인 것이 아니라 얼마나 잘 이해하고 공감하고 있느냐 하는(또는 그 반대로 얼마나 냉정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느냐 하는) 다분히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작가 - 화자 - 독자\'를 중심으로 고찰되며, 여기에서 소설의 서사 구조의 주체인 \'등장 인물\'이 거리 발생의 중요한 축이 된다.
\'작가 - 등장 인물 - 독자\' 간의 거리가 1인칭에서는 가장 짧아지고 관찰자 시점에서는 멀어지며, 전지적 시점에서는 작가가 어떤 태도를 취하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진다. 또, 일반적으로 각 주체간의 거리가 좁으면 좁을수록 감상적인 소설이 될 우려가 있으며,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공감을 주는 요소를 잃어버린다고 할 수 있다.
[시점과 거리]
1인칭 주인공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 telling
가깝다 멀다
서술자------------------대상-------------------독자
멀다 가깝다
1인칭 관찰자 시점, 작가 관찰자 시점 : showing
1인칭 주인공 시점에서 서술자와 대상의 거리가 가깝다. 독자가 등장 인물인 \'나\'의 세계에 접근하기 어렵다.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서술자와 대상의 거리는 좁혀진다.
작가 관찰자 시점에서 서술자와 대상의 거리가 먼 반면, 독자와 대상의 거리는 가깝게 된다.
극적 화자인 \'나\'가 나오는 1인칭 시점에서 서술자와 독자 사이의 거리는 가깝다.
건달 소설(=악한 소설)
건달, 좀더 정확하게는 \'재미있는 무뢰한\'을 뜻하는 스페인어 \'피카로(picaro)\'에서 유래한 소설 양식의 개념으로 이 양식은 주로 건달의 이야기를 다루며, 기사들의 환상적인 로멘스나 상류층의 이상주의적 문학에 맞서는 하류층 문학, 또는 기존의 관습에 대한 반동의 형태를 지니는 문학으로서의 특징을 가진다.
주로 하층 계급에 속하는 인물이 주인공이 되어, 비정하고 부도덕한 현실 사회에 맞서 재치 있는 임기응변과 심각하지 않은 탈선을 범하는, 일종의 사회적 모험담의 성격이 짙다. 세르반테스의 \'돈 키호테\'는 이 부류의 가장 대표적 작품이며, 마크 트웨인의 \'톰 소여의 모험\'에도 이러한 성격이 나타나 있다. \'피카레스크(picaresque) 소설\'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걸작
흥미있고 의미있는 경험을 바탕으로 해서 뛰어나게 잘 씌어진 나머지 독자를 압도하는 문학 작품을 가리킨다. 이것은 이론적인 개념이 아니라 주관적이고 심정적이며 무엇보다도 독자의 열렬한 호응에 의해 소산되는 개념에 지나지 않는다.
결말
전통적인 플롯의 개념으로 한 편의 서사물(소설)을 설명할 때 그 마지막 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끝, 종결, 대단원 등의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결말은 팽팽한 플롯 구조를 지니고 있는 단편 소설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며 작품이 지닌 중심 의미를 효과적으로 부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장편 소설에서는 이런 기능들이 다소 느슨해지거나 그 앞의 단계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작품의 성공적 결말은 그 작품이 지닌 의미를 효과적으로 드러나게 함으로써 독자에게 선명한 \'인상\'을 남겨 주어 작품의 가치를 알게 해 준다.
경기체가(景幾體歌)
시가 형태의 하나로서 \"별곡체\" 또는 \"경기하여가\"라고도 한다. 고려 고종 때부터 조선조 중엽 때까지 계속된 긴 연시(聯詩)이다. 형태는 한 연이 2절로 나누어지고 \"경긔 엇더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58페이지
  • 등록일2007.09.12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8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