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1. 쓰기 교육이론
1.1 형식주의 쓰기 이론
1.2 구성주의 쓰기 이론
1.3 사회적 구성주의 쓰기 이론
1.4 대화주의 쓰기 이론
1.5 장르 중심 쓰기 이론
1.6 후기 과정중심 쓰기 이론
2. 쓰기 교육과정 분석 및 비판
2.1 쓰기 교육과정 분석
3. 교과서 분석 및 비판
3.1 교과서 분석
3.2 교과서 비판
4. 대안(교재․지도법) 제시
4.1 쓰기 교육 목표설정
4.2 쓰기 능력의 구성 요소
4.3 교수학습 모형
4.4 쓰기 과정별 교수․학습 아이디어
4.5 대안 교과서 제시
4.6 대안 교과서 교수 학습 방안
*참고문헌
1.1 형식주의 쓰기 이론
1.2 구성주의 쓰기 이론
1.3 사회적 구성주의 쓰기 이론
1.4 대화주의 쓰기 이론
1.5 장르 중심 쓰기 이론
1.6 후기 과정중심 쓰기 이론
2. 쓰기 교육과정 분석 및 비판
2.1 쓰기 교육과정 분석
3. 교과서 분석 및 비판
3.1 교과서 분석
3.2 교과서 비판
4. 대안(교재․지도법) 제시
4.1 쓰기 교육 목표설정
4.2 쓰기 능력의 구성 요소
4.3 교수학습 모형
4.4 쓰기 과정별 교수․학습 아이디어
4.5 대안 교과서 제시
4.6 대안 교과서 교수 학습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쓰기 교육 이론
지난 20여 년간에 걸쳐 언어심리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 분야에서 행해진 쓰기 연구들은 대부분 쓰기 행위를 보다 타당하고 설득력있게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기저를 찾는 데 주안점을 두어 왔다(박영목 외, 1988 : 282~287). 전통적인 수사학에서 생각하던 ‘쓰기’와 달리, 현대의 쓰기 연구는 쓰기 행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밝혔다.
첫째, 대부분의 학생들과 전문적인 필자들은 좀처럼 줄거리를 작성하는 일이 드물다. 대신에 그들은 먼저 글 전체를 비재하는 핵심적인 아이디어를 찾아내는 일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둘째, 대부분의 필자들은 쓰고자 하는 글의 방향 혹은 특성 등을 구성하는 일련의 목적 및 계획으로부터 시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목적이나 계획은 전통적인 수사론에서 강조하는 줄거리와는 다르다. 셋째, 글을 잘 쓰는 필자 또는 숙련된 필자들의 쓰기 과정과 글을 잘 쓰지 못하는 필자 또는 미숙한 필자들의 쓰기 과정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차이는 전통적인 수사론에서 강조하는 내용들과는 거리가 멀다. 넷째, 쓰기 시작 이외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쓰기 교과서에서 제시한 쓰기의 규칙들을 그대로 따르는 일이 매우 드물다. 이는 쓰기에 관한 고전적 수사이론의 가정들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도 쓰기 연구가들 중에는 수사론적 측면에서의 연구를 계속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는데, 이들 또한 쓰기의 계기적 절차 및 단계들에 관한 초기연구가들의 통찰이 필자의 실제적인 쓰기 과정을 적절하게 기술하지 못하고 있음을 밝혀 주고 있다. 예비 쓰기 하기, 초고작성하기, 고쳐 쓰기, 교정하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선조적(線條的) 모델은 회귀적(回歸的) 모델로 그 방향을 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1940년대 이후의 쓰기 이론을 정리해 보기로 한다. 많은 학자들이 쓰기 이론을 형식주의 쓰기 이론, 구성주의 쓰기 이론, 사회적 구성주의 쓰기 이론, 대화주의 쓰기 이론 네 가지로 분류한다. (Nystrand, M., Greens, S., Wiemelt, J., 1993 : 267~333, qkrdudahr, 1994 : 199~ 219). 또한 최근에 보다 다양한 학문을 기반으로 장르중심 쓰기 이론, 후기 과정중심 쓰기이론도 쓰기 연구에 접근하고 있다.
㉠ 1940년대 ~ 1960년대 중반 : 형식주의 쓰기 이론
㉡ 1960년대 후반 ~1980년대 초 : 구성주의 쓰기 이론
㉢ 1980년대 : 사회적 구성주의 쓰기 이론
㉣ 대화주의 쓰기 이론
㉤ 장르 중심 쓰기 이론
1.1 형식주의 쓰기 이론
1960년대 중반까지는 쓰기 이론이 형식주의(Formalism)에 근거하였다. 이때는 신비평이 위세를 날리던
지난 20여 년간에 걸쳐 언어심리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 분야에서 행해진 쓰기 연구들은 대부분 쓰기 행위를 보다 타당하고 설득력있게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기저를 찾는 데 주안점을 두어 왔다(박영목 외, 1988 : 282~287). 전통적인 수사학에서 생각하던 ‘쓰기’와 달리, 현대의 쓰기 연구는 쓰기 행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밝혔다.
첫째, 대부분의 학생들과 전문적인 필자들은 좀처럼 줄거리를 작성하는 일이 드물다. 대신에 그들은 먼저 글 전체를 비재하는 핵심적인 아이디어를 찾아내는 일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둘째, 대부분의 필자들은 쓰고자 하는 글의 방향 혹은 특성 등을 구성하는 일련의 목적 및 계획으로부터 시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목적이나 계획은 전통적인 수사론에서 강조하는 줄거리와는 다르다. 셋째, 글을 잘 쓰는 필자 또는 숙련된 필자들의 쓰기 과정과 글을 잘 쓰지 못하는 필자 또는 미숙한 필자들의 쓰기 과정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차이는 전통적인 수사론에서 강조하는 내용들과는 거리가 멀다. 넷째, 쓰기 시작 이외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쓰기 교과서에서 제시한 쓰기의 규칙들을 그대로 따르는 일이 매우 드물다. 이는 쓰기에 관한 고전적 수사이론의 가정들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도 쓰기 연구가들 중에는 수사론적 측면에서의 연구를 계속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는데, 이들 또한 쓰기의 계기적 절차 및 단계들에 관한 초기연구가들의 통찰이 필자의 실제적인 쓰기 과정을 적절하게 기술하지 못하고 있음을 밝혀 주고 있다. 예비 쓰기 하기, 초고작성하기, 고쳐 쓰기, 교정하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선조적(線條的) 모델은 회귀적(回歸的) 모델로 그 방향을 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1940년대 이후의 쓰기 이론을 정리해 보기로 한다. 많은 학자들이 쓰기 이론을 형식주의 쓰기 이론, 구성주의 쓰기 이론, 사회적 구성주의 쓰기 이론, 대화주의 쓰기 이론 네 가지로 분류한다. (Nystrand, M., Greens, S., Wiemelt, J., 1993 : 267~333, qkrdudahr, 1994 : 199~ 219). 또한 최근에 보다 다양한 학문을 기반으로 장르중심 쓰기 이론, 후기 과정중심 쓰기이론도 쓰기 연구에 접근하고 있다.
㉠ 1940년대 ~ 1960년대 중반 : 형식주의 쓰기 이론
㉡ 1960년대 후반 ~1980년대 초 : 구성주의 쓰기 이론
㉢ 1980년대 : 사회적 구성주의 쓰기 이론
㉣ 대화주의 쓰기 이론
㉤ 장르 중심 쓰기 이론
1.1 형식주의 쓰기 이론
1960년대 중반까지는 쓰기 이론이 형식주의(Formalism)에 근거하였다. 이때는 신비평이 위세를 날리던
키워드
추천자료
[구성주의] 정보화 사회와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
[학습이론]실제 수업에서의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적용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대하여..
정보화시대에서의 구성주의의 이론적 위치
[구성주의]구성주의의 개념, 구성주의의 유형, 구성주의의 유래, 구성주의의 중요성, 구성주...
구성주의 유아교육
교육심리학중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대한 레포트로 그 특징과 교육적 함의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모든것
구성주의 이론 중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의 이론을 정리하고 보육현장에서의 적용방...
구성주의 이론 중 하워드 가드너의 이론을 정리하고 보육현장에서의 적용방안을 서술
[아동수학지도] 수학적 측면에서의 비고스키의 사회, 문화적 구성주의 이론을 설명하시오 -...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대하여 비교하고 논하시오.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의 교수학습의 원리 비교와 유아수학교육과 유아과학...
유아교육과=교육과정=교육에서 구성주의 이론의 정의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구성주의에 근거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