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H환자의 간호과정 사례연구 보고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ICH환자의 간호과정 사례연구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8
9.0
8.9
pH는 산염기 균형에 대한 장애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검사
protein
-
-
-
신장에서 요가 만들어 질 때 혈중 단백이 세뇨관에서 재흡수 되어 혈중으로 되돌아가는 기전과 관련.
glucose
-
-
-
세뇨관이 고농도의 포도당을 재흡수 할 수 없는 경우 소변에서 포도당 검출됨을 이용
ketone body
-
-
-
당 대신 지방산의 분해가 일어남에 따라 지방산 대사의 종산물인 케톤이 요중으로 유출되는 것 확인
bilirubin
-
-
-
적혈구가 간에서 분해될 때 만들어지는 담즙색소의 요중 유출 확인.
Occult blood
Trace
-
-
-
비정상은 존재, 수혈반응, 용혈성 빈혈, 화상
Urobilinogen
-
-
-
십이지장으로 배설된 빌리루빈이 일부는 변으로 배설되고 일부는 간으로되돌아갈 때, 신장이나 혈중으로 들어가 용혈이 일어나는지 확인.
Nitrite
-
-
-
요로감염증의 여부를 진단, 양성이면 세균학적 검사가 재 요구된다.
WBC
0-1
1-4
RBC
5-9
20-29
신장방광염증
Sugar Fasting
60-120
118
urea nitrogen
8-20
Chemistry
sodium
35-150
감소: 탈수, 전해질 상실, Addison질병, 이뇨제복용, 만성 신부전증, 만성 사구체신염,굶주림, 당뇨병사 산독증, 간경화증, 울혈성 심부전증, 수분과잉섭취, 과다 정맥주입
증가: 수분섭취 부족, ADH부족으로 인한 수분 과다상실, 쿠싱증후군,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potassium
3.5-5.1
증가: 신질환, 장폐색, 외상, 화상, 저 aldosterone증, spironolactone이뇨제복용후
감소: K섭취저하,K배설상승, 위장관 튜브,장기간 흡인,구토,중조과잉투여,간경화증, 쿠싱증후군,호르몬 복위요법, 굶주림, aldosteone증
protein
6-8
7.4
6.4
증가: 사구체신염, 전신성 홍반성낭창, 신증후군
albumin
3.8-5.3
4.2
3.1
증가: 다발성 골수종(글로부린 분획)
감소: 열상으로 인한 혈장상 단백뇨
PT()% normal
80-120
86
PT INR
0.9-1.12
1.08
PT(ONT.sec)
11-13
11.3
혈액 응고 시간
PT TEST sec
11-13
12.1
aPTT
23.5-38.5
30.0
활성화된 혈액응고 시간
*혈액검사
구분
정상
11/17
12/3
12/15
원인
보상방법
pH
7.35 - 7.45
7.460
7.460
7.519
7.35이하
호흡성산증Co2과잉-호흡억제
약물중추신경손상
만성폐쇄성폐질환COPD폐렴 흉벽질환
대사성산증(강산과잉
당뇨, 쇼크
신부전, 설사)
7.45이상
호흡성알칼리증(Co2결핍과호흡:
흥분 통증 인공호흡기 과다호흡과산)
대사성알칼리증(강염기과잉
가성소다중독
장기간구토
비위관배액)
호흡성산증
호흡성 :호흡량과 호흡수증가(앰브)
대사성 :신장이 PH를 높이기 위해 HCo3보유를증가시킴
과다환기
대사성산증
호흡성:폐에서 PH를 올리기위해 Co2를 내보냄
대사성:신장에서 PH를 올리기위해
H+배출량을 증가시킨다
호흡성알칼리증
호흡성: 자신이
내쉰Co2를 들이
마심-종이봉지사용
대사성:신장이PH 를낮추기위해 HCo3배출을증가시킴
대사성알칼리증
호흡성:폐에서 PH를낮추기위해 Co2를보유시킴
대사성:신장에서 PH를낮추기위해 H+배출량을감소시킨다
PCo2
35-45mmHg
31.8
37.5
35.8
HCo3
22-26mEq/L
22.1
27.1
28.5
PO2
80-100mmHg
89.3
75.3
85.1
50mmHg이하일경우 심각한 저산소증
*신생아:40-60mmHg
*60세이상:80mmHg
이하라도문제되지않음
SO2
95-100%
97.3
96.0
97.3
*PO260-95mmHg:SO285%이상이 유지됨
*PO250mmHg이하:SO2 이 급격히 하강
BE
(base exess)
-2 ~+2mEq/L
-1.7
3.5
5.6
비호흡성 산염기 장애
투약
약명 (성분명)
효능/효과
투여량
금기/부작용
Bisolvon
진해 거담제.
-다음 질환에는 객담배출 곤란: 급,만성 기관지염, 폐결핵, 진폐증, 수술후, 기관지 확장증.
-기관조영 후 조영제의 배출촉진
1회 1~2앰플 1일 2회 근육 또는 정맥주사.
ㆍ금기: 중증 신장애 환자
ㆍ부작용: 쇽, 오한, 구토, 오심, 심계항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Flumarin
-패혈증, 감염성 심내막염
-외상 및 수술창 등의 표재성 2차감염
-인후두염, 편도염,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의 감염 시, 만성 호흡기 질환의 2차 감염
성인 : 1~2g를 2회로 분할하여 정맥 또는 점적 정맥주사 .
쇽, 과민반응, 급성 신부전, 빈혈, 황달, 설사, 복부팽만감, 발열, 호흡곤란, 전신권태감 등.
Cinalong
혈압강하제.
본태성 고혈압.
성인은 1일 1회 5 ~ 10mg을 아침식사 후 경구투여. 연령ㆍ증상에 따라 적의 증감한다.
다만, 중증고혈압증에서는 1일 1회 10 ~ 20mg을 아침식사 후 경구투여.
두통, 볼면, 심전도이상, 안면홍조, 변비, 구토, 발진, 소양감, 혈청콜레스테롤의 상승, 간장 신장 장애 등.
Sermion
순환계용약.
뇌경색후유증에 수반되는 만성뇌순환장애에 의한 의욕저하의 개선.
고혈압의 보조요법
노인성 동맥경화성 두통
1차성 퇴행성치매, 혈관성치매 및 복합성 치매와 관련된 다음 치매증후군의 일차적치료.
성인 치매치료: 1회 30㎎ 1일 1 ~ 2회 식전 경구투여.
기타의 증상 : 1회 5 ~ 10㎎ 1일 2-3회 식전에 경구투여.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금기: 급성 심근경색 환자, 급성 출혈 환자, 교감신경효능약을 투여받고 있는 환자, 현저한 서맥 환자.
식욕부진, 설사, 변비, 구역, 구토, ALT. AST 상승, 어지러움, 기립성 조절장애, 발진, 두드러기, 가려움, 홍조, 열감 등.
Muscota
위점막 보호작용, 위점막 혈류량 증가작용, 활성산소 생성 억제 작용
H.pylori 감염에 의한 cytokine 생성 억제 및 염증 반응 억제효과
급, 만성 위염 및 위궤양 치료
1 tal. 1일 3회
과민증(습진, 발진), 소화기(변비, 복부
  • 가격1,2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10.06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94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