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ry disease
2) History of ethanol ingestion
3) History of drug ingestion(phenytoin, phenobarbital
Mg
1.9~2.5 mg/dL
2.0
정상
Uric Acid
2.5~6.3 mg/dL
5.0
정상
CRP(s)
0.0~0.5 mg/dL
0.1
0.0
정상
PT sec.
11.6~14.5 sec.
12.0
12.9
정상
PT INR
0.87~1.16 INR
0.88
0.96
정상
PT%
80~125 %
125
107
정상
Activated PTT
30.0~45.0 sec.
32.8
33.5
정상
Hct
(hematocrit-적혈구용적)
33.3~40.8 %
40.4
정상
WBC
3400~9300 ul
5200
▼ 2700
항암제 투여로 인한 골수부전이나 과립 백혈구 감소증, 영양결핍, 계속되는 감염, 자가면역질환, 소화성 궤양,알레르기
RBC
3.60~4.68 *100 ul
▲ 4.88
▲ 4.79
진성다혈구증,저산소증이 있는 만성폐질환,이차적인 다혈구증, 혈액이 농축되게 되는 탈수
Hgb
11.2~14.0 g/dL
13.6
정상
MCV
(mean cell volume
-평균 적혈구 용적)
81.8~97.0 fl
87.5
84.3
정상
MCH
(mean corpuscular hemoglobin-평균 적혈구헤모글로빈양)
27.4~33.4 pg
29.3
28.4
정상
MCHC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
33~35 g/dl
33.2
정상
Platelet count
127~307 *1003/ul
▼22.5
RDW-cv
(red blood cell districution width index-적혈구 분포 폭지수)
11.2~14.0 %
12.3
정상
PDW
(platelet distribution width-혈소판 분포)
14.5~16.1 fl
▼ 8.6
감소하는 경우는 별 의미가 없다.
MPV
(mean platelet volume -평균 혈소판 용적)
6.0~11.2 fl
Seg.neutrophil
50~75 %
58.5
정상
Lymphocyte
(림프구)
20~44 %
22.7
정상
Eosinophil
(호산구)
1~5 %
▲10.8
과면역알러지, Addison\'disease
Monocyte
(단구, 단핵세포)
2~9 %
Basophil
0~2 %
▲2.8
정상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적혈구침강속도)
2~16 mm/hr
▲ 30
▲ 36
콜라겐 장애(결합조직의 면역장애),임신, 염증장애, 감염, 급성 심근경색증, 심한 빈혈, 골수증식성장애,신질환(신장염)
AFP
0~11.1 IU/ml
Hemoglobin
11.2~14.0 g/이
▲15.3
만성일산화탄소중독증, 심장질환, 혈색소농축
Hemotocrit
33.3~40.8 %
▲46.1
다혈구증, 고산병, 폐기종, 선천성 심질환, 황달
-면역
임파절비대등의 증상은 보이지 않는다.
체온은 액와로 측정시 36.5도이다.
(3)배설
1.위장/대장
평소배변습관은 이틀에 한번 정도의 배변을 보신다고 하셨다.
설사와 가까운 보통 변을 보시며 배변을 3일이상 안하면 보호자가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을 먹인다고 하였다.(마그밀정)
복부를 신체검진하였을때 타진과 촉진시 특별히 이상한 병변은 보이지 않았다.
2.신장/요
도뇨는 하지 않은 상태였으며 소변은 하루에 3~4번정도보는데 기저귀를 하고 있어서 보호자가 정확히는 모른다고 하였다.
소변은 약간 붉으스름하면서 노란빛을 띄며 냄새는 약을 먹어서인지 기저귀를 갈때마다 톡쏘는 냄새가 난다고하였다.
소변량은 보통이며 자주 방광팽만이 있다거나 하지는 않은것 같다고 보호자가 말했다.
3.생식기
외생식기검진시 환자의 보호자가 한쪽 고환만 자꾸 축 늘어져있는데 ,몸을 조금 일으켜앉거나 조금 만져주면 다시 대칭을 이룬다고 말하였다.
또한 전립선에 관련된 질환등은 없다고 하였다.
(4)순환
1.신경
병원에 입원하기 직전에는 증상의 악화로 신경이 예민해지고 계속된 동통의 호소로 잠을 설치는등의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하였다.
입원후 치료로 증상이 호전되어 통증에 덜 예민해졌지만 여전히 머리와 팔의 통증을 호소한다고 하였다.
*GCS점수
13/15점만점으로 측정되서 혼수의 범주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개안반응
언어반응
운동반응
13점/
15점만점
자발적으로 눈을 뜬다:4
혼돈된 회화:4
동통에 국소적 반응을 보인다:5
관찰반응
반응
점수
개안반응
자발적으로 눈을 뜬다
+4
불러서 눈을 뜬다
3
통증자극에 의해서 눈을 뜬다
2
전혀 눈을 뜨지 않는다
1
언어반응
지남력이 있다
5
혼돈된 회화
+4
혼락된 회화
3
의식불명의 음성
2
전혀없다
1
운동반응
명령에 따른다
6
동통에 국소적 반응을 보인다
+5
자극이 움츠린다
4
이상굴절반응을 한다
3
이상신전반응을 한다
2
반응이 없다
1
2.심장
심장박동기와 같은 장치는 설치하지 않으셨고 특별히 심장수술에 대한 경력은 없으셨다.
심박동/리듬은 정상이시고 심음/심잡음도 정상이시고 양와위에서의 혈압은 평균130/80이였다.
청진기를 대고 심음을 청진하였을때 특별히 이상병변은 없었다.
3.말초
맥박은 평균 84회/분이었고 피부온도도 정상이시며 나이가 많진 않지만 나이에 비해서 피부색도 밝고 건강하였는데 오른쪽어깨부터 팔끝까지 마비상태라서 피부의 색도 더 희멀건하고 탄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였다.
고상지두는 아닌듯하나 오른팔손톱이 밖을 향해 자라지 않고 안쪽으로 두껍게만 자라고 있어서 보호자가 오른팔손톱은 깍아줄수 없다고 하였다.
체온은 평균 36.3도를 유지하셨다.
특별한 혈관충혈이나 부종같은 증상도 보이지 않았다.
(5)산소공급
흉부검진시 특이한 병변은 보이지 않으셨다.
호흡수는 20회로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였더,
비익호흡은 보이지 않으며 기침을 자주 하시고 객담배출의 양도 적지는 않다고 하셨다.
호흡을 할때 불편함은 없으며 인공호흡기는 사용하지 않으신다고 하셨다.
(6)신체통합성
피부는 나이에 비해 대체로 건강하고 탄력있는 편이었는데 오른쪽어깨부터의 피부색이 더 희
2) History of ethanol ingestion
3) History of drug ingestion(phenytoin, phenobarbital
Mg
1.9~2.5 mg/dL
2.0
정상
Uric Acid
2.5~6.3 mg/dL
5.0
정상
CRP(s)
0.0~0.5 mg/dL
0.1
0.0
정상
PT sec.
11.6~14.5 sec.
12.0
12.9
정상
PT INR
0.87~1.16 INR
0.88
0.96
정상
PT%
80~125 %
125
107
정상
Activated PTT
30.0~45.0 sec.
32.8
33.5
정상
Hct
(hematocrit-적혈구용적)
33.3~40.8 %
40.4
정상
WBC
3400~9300 ul
5200
▼ 2700
항암제 투여로 인한 골수부전이나 과립 백혈구 감소증, 영양결핍, 계속되는 감염, 자가면역질환, 소화성 궤양,알레르기
RBC
3.60~4.68 *100 ul
▲ 4.88
▲ 4.79
진성다혈구증,저산소증이 있는 만성폐질환,이차적인 다혈구증, 혈액이 농축되게 되는 탈수
Hgb
11.2~14.0 g/dL
13.6
정상
MCV
(mean cell volume
-평균 적혈구 용적)
81.8~97.0 fl
87.5
84.3
정상
MCH
(mean corpuscular hemoglobin-평균 적혈구헤모글로빈양)
27.4~33.4 pg
29.3
28.4
정상
MCHC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
33~35 g/dl
33.2
정상
Platelet count
127~307 *1003/ul
▼22.5
RDW-cv
(red blood cell districution width index-적혈구 분포 폭지수)
11.2~14.0 %
12.3
정상
PDW
(platelet distribution width-혈소판 분포)
14.5~16.1 fl
▼ 8.6
감소하는 경우는 별 의미가 없다.
MPV
(mean platelet volume -평균 혈소판 용적)
6.0~11.2 fl
Seg.neutrophil
50~75 %
58.5
정상
Lymphocyte
(림프구)
20~44 %
22.7
정상
Eosinophil
(호산구)
1~5 %
▲10.8
과면역알러지, Addison\'disease
Monocyte
(단구, 단핵세포)
2~9 %
Basophil
0~2 %
▲2.8
정상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적혈구침강속도)
2~16 mm/hr
▲ 30
▲ 36
콜라겐 장애(결합조직의 면역장애),임신, 염증장애, 감염, 급성 심근경색증, 심한 빈혈, 골수증식성장애,신질환(신장염)
AFP
0~11.1 IU/ml
Hemoglobin
11.2~14.0 g/이
▲15.3
만성일산화탄소중독증, 심장질환, 혈색소농축
Hemotocrit
33.3~40.8 %
▲46.1
다혈구증, 고산병, 폐기종, 선천성 심질환, 황달
-면역
임파절비대등의 증상은 보이지 않는다.
체온은 액와로 측정시 36.5도이다.
(3)배설
1.위장/대장
평소배변습관은 이틀에 한번 정도의 배변을 보신다고 하셨다.
설사와 가까운 보통 변을 보시며 배변을 3일이상 안하면 보호자가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을 먹인다고 하였다.(마그밀정)
복부를 신체검진하였을때 타진과 촉진시 특별히 이상한 병변은 보이지 않았다.
2.신장/요
도뇨는 하지 않은 상태였으며 소변은 하루에 3~4번정도보는데 기저귀를 하고 있어서 보호자가 정확히는 모른다고 하였다.
소변은 약간 붉으스름하면서 노란빛을 띄며 냄새는 약을 먹어서인지 기저귀를 갈때마다 톡쏘는 냄새가 난다고하였다.
소변량은 보통이며 자주 방광팽만이 있다거나 하지는 않은것 같다고 보호자가 말했다.
3.생식기
외생식기검진시 환자의 보호자가 한쪽 고환만 자꾸 축 늘어져있는데 ,몸을 조금 일으켜앉거나 조금 만져주면 다시 대칭을 이룬다고 말하였다.
또한 전립선에 관련된 질환등은 없다고 하였다.
(4)순환
1.신경
병원에 입원하기 직전에는 증상의 악화로 신경이 예민해지고 계속된 동통의 호소로 잠을 설치는등의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하였다.
입원후 치료로 증상이 호전되어 통증에 덜 예민해졌지만 여전히 머리와 팔의 통증을 호소한다고 하였다.
*GCS점수
13/15점만점으로 측정되서 혼수의 범주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개안반응
언어반응
운동반응
13점/
15점만점
자발적으로 눈을 뜬다:4
혼돈된 회화:4
동통에 국소적 반응을 보인다:5
관찰반응
반응
점수
개안반응
자발적으로 눈을 뜬다
+4
불러서 눈을 뜬다
3
통증자극에 의해서 눈을 뜬다
2
전혀 눈을 뜨지 않는다
1
언어반응
지남력이 있다
5
혼돈된 회화
+4
혼락된 회화
3
의식불명의 음성
2
전혀없다
1
운동반응
명령에 따른다
6
동통에 국소적 반응을 보인다
+5
자극이 움츠린다
4
이상굴절반응을 한다
3
이상신전반응을 한다
2
반응이 없다
1
2.심장
심장박동기와 같은 장치는 설치하지 않으셨고 특별히 심장수술에 대한 경력은 없으셨다.
심박동/리듬은 정상이시고 심음/심잡음도 정상이시고 양와위에서의 혈압은 평균130/80이였다.
청진기를 대고 심음을 청진하였을때 특별히 이상병변은 없었다.
3.말초
맥박은 평균 84회/분이었고 피부온도도 정상이시며 나이가 많진 않지만 나이에 비해서 피부색도 밝고 건강하였는데 오른쪽어깨부터 팔끝까지 마비상태라서 피부의 색도 더 희멀건하고 탄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였다.
고상지두는 아닌듯하나 오른팔손톱이 밖을 향해 자라지 않고 안쪽으로 두껍게만 자라고 있어서 보호자가 오른팔손톱은 깍아줄수 없다고 하였다.
체온은 평균 36.3도를 유지하셨다.
특별한 혈관충혈이나 부종같은 증상도 보이지 않았다.
(5)산소공급
흉부검진시 특이한 병변은 보이지 않으셨다.
호흡수는 20회로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였더,
비익호흡은 보이지 않으며 기침을 자주 하시고 객담배출의 양도 적지는 않다고 하셨다.
호흡을 할때 불편함은 없으며 인공호흡기는 사용하지 않으신다고 하셨다.
(6)신체통합성
피부는 나이에 비해 대체로 건강하고 탄력있는 편이었는데 오른쪽어깨부터의 피부색이 더 희
키워드
추천자료
cbr infarction case
난소암 환자 케이스
ICH(Intracerevral hemorrhage) Case study
ICH 환자 case study
[두개내 출혈] ICH (Intracranial hemorrhage)
MICU-ICH케이스 자료입니다.
간호사정 사정도구 NS case - C-SDH(chronic subdural Hemorrage)
신경외과케이스스터디-지주막하출혈 (SAH)
[간호 케이스] 뇌동맥류,고관절탈구,Cerebral infaction,hip dislocation,HTN,THR 케이스
NSICU, T-SDH (Traumatic Subdural Hematoma), case
성인간호학, NICU CASE STUDY 경막하출혈
신경외과 중환자실 NICU CAST STUDY 지주막하출혈
(A-SDH) 급성 경막하출혈 NSICU 케이스 [A - SDH (Acute - subdural hemorrhage)]
[간호학과] NSICU(신경외과중환자실) acute SDH (급성 경막하 혈종・출혈/Acute Su...
소개글